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정신건강 및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정하윤,이경수,Jung, Ha-Yun,Lee, Kyung-Soo 한국임상보건과학회 2015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Vol.3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intended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elf-esteem, mental health and suicidal ideat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338 nursing students who studied in 2 nursing colleges in Gyeongsangnam-do.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November 1 to 10, 2014. The data ware analyzed by Frequencies,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0.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ed : First, the average of stress, self-esteem, mental health, and suicidal-ideation was $2.60{\pm}0.57$, $3.64{\pm}0.44$, $2.18{\pm}0.38$, and $1.46{\pm}0.37$ points. Second, suicidal ide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ersonality, adaption of environment, health status, satisfaction on nursing major, and satisfaction on school life. Third, suicidal ideation was correlated with mental health positively and self-esteem negatively. Forth, the influencing factor in suicidal ideation of participants was mental health, self-esteem, and adaptation of environment, $R^2=.669$. Conclusion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unseling and regular education program to decrease stress, suicidal ideation and raise self-esteem, mental-health, and adaptation of environment are required, practical education program should to conducted and studies showing its results and effect are also needed.

      • KCI등재후보

        시간에 따른 의치접착제의 인장 결합강도와 세포독성의 변화

        정하윤,김지환,이근우,심준성,문홍석,Jung, Ha-Yoon,Kim, Jee-Hwan,Lee, Keun-Woo,Shim, June-Sung,Moon, Hong-Seok 대한치과보철학회 200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7 No.2

        연구목적: 많은 의치 환자들은 의치의 유지력, 안정성 그리고 저작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의치접착제를 사용하고 있다. 이상적인 의치접착제는 독성이나 자극이 없고, 구강점막에 편안함을 제공하고, 나쁜 냄새나 맛이 없어야 한다. 의치접착 크림의 세포독성 여부를 확인하고, 의치접착제의 효과와 시간에 따른 유지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의치접착크림의 세포독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mouse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MTT 시험을 통해 의치접착크림의 농도와 1일에서 4일까지의 시간에 따른 세포독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의치 접착제가 유지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와 시간에 따른 유지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무치악 덴티폼과 이에 맞는 의치상을 제작하여 의치 접착제 적용 후 3일까지의 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1. 의치접착크림은 농도와 시간에 따라 세포독성이 관찰되는 것은 없었다. 2. 의치접착크림과 인공타액을 동시에 사용한 경우 통계학적으로 가장 높은 인장 결합강도를 나타내었고, 의치접착크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인장 결합강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다. 이는 인공타액과 의치접착크림의 인장 결합강도의 단순 합계보다 높았다. 3. 의치접착크림과 인공타액을 동시에 사용한 군에서 도포 후부터 1시간 후까지 인장 결합강도는 최대치를 기록하였고 3시간부터 인장 결합강도는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12시간 후는 최대 인장 결합강도의 70%, 1일후에50%까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의치접착크림은 1일에서 4일까지 세포독성이 없었고 의치의 유지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타액과 같이 작용하여 효과를 더 발휘할 수 있었다. 향후 장기적인 사용에 따른 다양한 세포독성 실험과 접착력의 감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Statements of the problem: Many denture wearers occasionally use denture adhesives to improve denture retention, stability and chewing efficiency. An ideal denture adhesive is nontoxic, non-irritating, and provides comfort to the oral mucosa.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and adhesive properties of a selected denture adhesive. Material and methods: To test cytotoxicity of the selected denture adhesive, mouse fibroblast cells were used in MTT testing. Cytotoxicity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denture adhesive and incubated for 1 to 4 days. To examine adhesive property, a denture base was fabricated on an edentulous dentiform. The adhesive was applied to the denture base, then tensile bond strength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change in retention during 3 days. Results and Conclusion: 1. 1% and 2% concentration denture adhesive cream had no cytotoxicity. 2.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the group with both denture adhesive and artificial saliv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 only denture adhesive(P<.05).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the group with denture adhesiv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ith only artificial saliva(P<.05). 3. The tensile bond strength had no significant change during 1 hour,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After 1 day, it decrease to half.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tested denture adhesive had no cytotoxicilty and was effective in improving denture retention. The adhesive strength began to continuously decrease after 1 hour and it decreased to half at 1 day after application.

      •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정하윤,이경수,Jung, Ha-Yun,Lee, Kyung-Soo 한국임상보건과학회 2015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Vol.3 No.3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mental health in nursing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575 nursing students who studied in 3 nursing colleges in B city and Gyeongsangnam-do.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October 21 to 30, 2013. The data ware analyzed by frequencies, t-test, one 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9.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ed : First, the average of mental health was $1.77{\pm}0.58$ points. Second, mental heal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housing style, pocket money, adaption of environment, health status, and grade point average. Third, the influencing factor in mental health of participants was age, pocket money, health status, and housing style, $R^2=.163$. Conclusions. Development of guidance program to improve ment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in recommended.

      • 일반논문 : 세대와 정책투표 연구의 현황 및 쟁점

        정하윤 ( Ha Yoon Jung ) 한국선거학회 2014 선거연구 Vol.4 No.1

        이 글은 세대와 정책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현재까지 어떠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연구 쟁점 및 문제점을 살펴본 뒤, 향후 세대와 정책을 연계할 수 있는 연구주제를 제안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현재 한국 선거에서 유권자의 투표선호를 결정함에 있어 정책의 영향력이 증가함에 따라 다수의 연구가 이루어졌고, 진행 중에 있다. 이들 연구에서는 누가 정책투표를 하고, 어떠한 정책에 민감한지, 과연 정책과 세대가 유의미한 변수가 될 수 있는지가 쟁점으로 제기된다. 우선 정책투표에 있어 세대차이가 존재하는지의 연구에 있어서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개념조작의 문제가 제기된다. 정책이슈에 대한 세대의 선호 차이는 정책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가능하지만, 세대효과 혹은 연령효과와 같은 해석 문제가 수반된다. 이러한 점들은 세대와 정책 변수의 측정, 조작 및 연구결과 해석의 문제로 이어지는데, 정책투표를 이념, 정당, 지역투표 혹은 사회경제적 지위와 분리하여 설명이나 해석이 가능할 것인가의 쟁점이 제기된다. 특히 한정된 설문문항과 객관성이 떨어지는 조사결과 해석은 연구범위를 좁혔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구 설계와 결과 해석을 제약하였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세대와 정책투표의 연구는 부동층과 중도파의 설명, 시간의 개념이 내포된구성적 효과 등을 연계할 때 의미를 지닐 것이다. 따라서 세대와 정책의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통시적 연구, 다양한 척도를 사용한 다차원적 분석이 필수적이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status and issues of researches on generation and policy-based voting in Korea. As policy or issue which is comeout in election campaigns has influenced voters’ voting behavior, there have been much researches on policy-based voting and elections. These researches focuses on a type of voters who have decided to vote on a basis of policies or issues and a type of policies to which voters are sensitive. Also it is suggested that policy and generation can be meaningful variables for electoral studies. In researches that deal with the generation gap in policy- based voting, a concept manipulation has become an issue in relation to survey questions. In case of researches which subjects were differenceamong generations in terms of the policy issues, a matter of interpretation in generation effect or age effect has been raised. For further study on generation and policy-based voting, it isn’t only needed to explain swing voters or centrist voters, to relate the constitutive effect embedded in time-concept but also to do multi-dimensional analysis using various measur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제도화 과정과 쟁점

        정하윤(Hayoon Jung) 명지대학교 미래정치연구소 2014 미래정치연구 Vol.4 No.1

        이 글은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제도화를 추진하였던 주체들의 입법 시도를 중심으로 민주시민교육 제도화 논의과정과 쟁점을 제시하고, 향후 제도화의 가능성을 논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민주주의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정치에 참여하는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시민 육성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민주시민교육의 제도화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1990년대부터 민주시민교육의 제도화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는데, 여기에는 공적 및 사적 부문의 다양한 행위자들이 참여하였고, 민주시민교육의 제도화를 위한 입법 시도도 다수 존재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회에 상정되거나 논의된 민주시민교육 제도화 관련 법안들은 폐기되거나 합의를 이루지 못하였다. 법제화과정에서 제기되었던 쟁점으로는 제도화의 다양한 주체, 제도화 방향 및 방식, 기존 법과의 충돌 등을 들 수 있다. 제도화 주체와 관련하여 여러 주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민주시민교육을 시행 중에 있는데, 상설기구를 어느 소속으로 할 것인가에 대해 합의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제도화의 방향 및 방식에 있어서는 중립성, 국가-시민 관계 설정의 쟁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기존의 관련 법들은 민주시민교육의 법제화에 있어 중복 혹은 충돌 문제를 야기하였다. 향후 민주시민교육의 제도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주체들 간 이해관계 조정뿐만 아니라 교육의 수요자인 시민들 간 사회적 합의와 교육의 내용 및 방향에 대한 고안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suggests the process and issues of institutionalization of civic education focusing on the interaction among actors who have promoted the legislation of civic education. The core of civic education is to stabilize democracy and to foster voluntary citizen. In this regar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ivic education and a continuous education process are needed to achieve that goal. Despite of several trials to institutionalize civic education in Korea, it turned out to be failure in enacting laws. Until now, the various issue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ivic education are brought up in terms of the main actor of civic education, the direction and ways of institutionalization, and the collision with existing laws. Even though all stakeholders have come to an agreement with the necessity of institutionalization of civic education, they have held different views that who is going to take charge of a institution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discussion of institutionalization haven’t raised only the concerns about the neutrality but also the collision or overlapping with existing laws.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ivic education in Korea, it is necessary to coordinate different views among stakeholders, to achieve social consensus, and to deliberate the content and direction of civic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코칭역량이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정하윤(Jung Ha-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코칭역량이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이 어떻게 매개역할을 하는지 분석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9년 6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1년 6개월 동안 S, Y 평생교육원에서 코칭이나 교육을 받은 대학생 241명의 설문내용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코칭역량과 진로태도성숙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대한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그리고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통해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하였다. 결과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역량, 진로태도성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자아존중감 하위요인 간에는 대체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코칭역량과 진로태도성숙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코칭역량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진로태도성숙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확인하였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요소가 진로상담에 더욱 더 활용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coaching capabilitie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analyze how career-determining self-effectiveness and self-respect play a medium role.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the survey of 241 college students who received counseling or education at the S and Y Lifelong Education Centers was used for analysis for a year and a half from June, 2019 to December 2020.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competenc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mediate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ectiveness and self-esteem. Results The main findings derived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generally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coaching competencies, career attitude maturity, career decision self-effectiveness, and self-respect subfactors. Second, career decision self-effectiveness and self-resp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capabilitie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was confirmed that coaching capab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college students career-determining self-effectiveness, self-respec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that career-determining self-effectiveness and self-respect factors needed to be more used for career counseling.

      • 제19대 총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홍보활동 평가

        정하윤 ( Ha Yoon Jung ) 한국선거학회 2012 선거연구 Vol.2 No.2

        이 글은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중앙선관위의 선거관리, 그 중에서도 홍보활동의 목표를 정당성, 평등성, 자유 확보로 설정하고, 유권자 투표참여 유도 및 유권자 알 권리 충족을 기준으로 선관위의 홍보활동이 이를 충족하였는지를 평가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19대 총선에서 중앙선관위는 중립과 공정성의 가치는 지키면서, 후보자와 유권자 간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선거를 관리하면서, 유권자의 자발적인 투표참여 유도, 후보자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 제공, 그리고 준법·공명·매니페스토 정책선거 확산을 홍보활동의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활동의 결과, ``유권자 투표 참여 유도’는 다양한 홍보매체를 통해 이루어졌는데, 그 중 TV광고가 가장 효과적인 매체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관위의 투표참여 독려 홍보는 유권자들에게 그다지 영향력이 높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유권자 알 권리충족’의 경우, 선관위가 유권자에게 제공했던 선거제도 관련 정보는 어느 정도 충분하였지만, 매니페스토 운동의 경우 아직 대부분의 국민이 이를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매니페스토 운동을 인지한 경우에는 선관위의 홍보활동이 어느정도 영향력이 있었다. 향후 선관위 홍보활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첫째, 유권자의 이용 용이성과 정보성을 향상시키며, 둘째, 유권자에 대한 정보 제공 측면에서 선거 자유를 확대하고, 셋째, 중앙선관위의 신뢰성을 회복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aims at evaluating the electoral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public relation activity of National Election Commission(NEC) in the 19th Election for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in Korea on the basis of the democratic legitimacy, equality and freedom. For meeting this goal, this study evaluates the PR performance of NEC in terms of encouraging voters to exercise their ballots and providing the public with accurate and timely information. As a result, the former has not been so effective in making people participate in voting. In case of the latter, the NEC has provided enough information, but ``policy-oriented campaign (Manifesto)`` has not been pervasive in the public.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ublic relations in the NEC, it is neede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for voters, promote the freedom of election and expression, and restore the credibility of NEC.

      • 남북한 통일 이후 사회통합과 민주시민교육의 방향

        정하윤 ( Ha Yoon Jung )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 2012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보 Vol.13 No.2

        이 글은 남북한 통일 및 사회통합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및 접근법의 변화와 이를 반영할 수 있는 민주시민교육의 역할 및 방향을 논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 동안 북한을 이질적인 사회로 간주하는 국민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남북한 사회통합 논의와 접근법은 민족 중심 접근법에서 다문화주의, 간문화주의 혹은 공동체주의 중심 접근법으로 변화가 이루어졌다. 통일과 사회통합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에서는 남북한의 같음과 다름, 혹은 보편성과 특수성의 조화 등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통일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은 통일 이후 사회통합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변화와 접근법의 전환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젊은 층의 통일에 대한 관심 및 의지 부족은 교육의 방향과 역할 전환 문제를 제기한다. 민주시민교육은 문제의식을 강화시키고 정치적 해결안을 준비하는데 발판이 됨으로써 진정한 남북한 사회통합을 이루는데 핵심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따라서 통일 이후 사회통합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간문화주의 혹은 공동체주의에 근거한 민주시민교육의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제도화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changing approaches toward South-North Korea unification and the role and direction of civic education reflecting this change. The discussion and approach to Korea unification have gone through a process of change from ethnocentric approach to multiculturalism, interculturalism or communitarianism. The new approach to unification emphasizes the acceptance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r universality and special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owever, these changing approaches and perception to unification have not been embedded in the existing unification and civic education process. Civic educ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integrating two heterogeneous societies in terms of enhancing consciousness of people and preparing political solutions. As a result, it is needed to arrange the civic education based on the interculturalism or communitarianism and to institutionalize the civic education for preparing social integration after Korea unification

      • KCI등재

        한국 녹색운동의 정치제도화의 기회구조에 관한 연구

        정하윤(Jung, Ha Yoon),신두철(Shin, Du Chel)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4

        본 연구는 한국 녹색운동의 정치제도화 과정과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 정치체제 내 녹색정당의 가능성과 한계를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부분의 시민운동은 제도 정치 외부에 존재하지만, 녹색정당으로의 발전은 의사결정과정뿐만 아니라 권력 구조의 변화에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한국의 녹색운동은 제도권 외부에서 정치권에 대한 영향력 행사 차원에서만 머무르지 않고 정치제도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도는 운동 내부의 역동성과 한국의 정치기회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설명이 가능하다. 연구 결과, 한국 녹색운동의 역사적 발전은 운동 내부의 역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정치제도화를 위한 정치적 자원을 제공하였다. 외적으로 한국의 사회구조와 정치기회구조는 운동정당의 정치제도화에 제도적 맥락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탈물질주의적 가치는 아직 주변부에 머물러 있고, 특히 폐쇄적인 선거제도와 정당 설립 및 존립 등이 명시된 정당법은 녹색운동의 정당 이행에 있어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정치적 동맹의 경우, 진보정당과의 연합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환경운동 내부의 결집 문제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우호적인 조건은 아니었다. 그러나 녹색정당이 주장하는 가치를 대변하는 기존 정당의 부재와 기존 정당의 소극적인 환경에 대한 입장은 한국 정치체제 내 가장 큰 기회구조라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ssibilities and constraints of political institutionalization of Green Movements in Korea focusing on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It makes possible to answer why green movements transform into political parties instead of putting pressure on decision-making process outside of a political instituti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green movements in Korea isn’t only influenced by the internal dynamics of movements itself but also by the external factors of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including post-materialism, electoral system, structure of environmental policy and political coalition. As a result, a historical development of green movements has enhanced capabilities within movements and it becomes the political resources for transforming movements into parties. In case of social structure and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it can act as an institutional context on movement parties. In Korea, the unprevailing values of post-materialism, a closed electoral and party system, and a divergence within green movements constrain movements to be institutionalized. However, the absence and passiveness of existing parties which represent green values as a priority can be the political opportunity for green movement pa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