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찰옥수수 자식계통 식미관련 특성 및 계통 분류

        정태욱,김선림,문현귀,손범영,김시주,김순권,Jung Tae-Wook,Kim Sun-Lim,Moon Hyeon-Gui,Son Beom-Young,Kim Si Ju,Kim Soon Kwon 한국작물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0 No.suppl1

        작물과학원에서 육성한 찰옥수수 자식계통을 대상으로 농업적 형질 및 품질관련 특성 등을 분석하여 계통군화 시켜 교배 모, 부본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 품질육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물과학원에서 육성한 찰옥수수 64개 자식계통에 대해서 옥수수 낱알형태를 조사한 결과 백립중은 $11.7\~37.3g$,과 피두께 $11\~77mm$, 립장 $5.8\~9.6mm$, 립폭 $6.5\~10.0mm$, 립두께 $4.1\~6.8mm$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2. 이화학적 특성 분석에 있어서는 단백질 함량은 $8.7\~15.8\%$, 지방 $2.3\~5.8\%$, 유리당 $1.1\~11.0\%$, 아밀로펙틴 $78.5\~93.8\%$의 다양한 변이분포를 보였다. 3. 아밀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초기호화온도는 $64.5\~79.1^{\circ}C$, 최고점도 $14.8\~221.8$ RVU, 최저점도 $12.2\~109.6$ RVU, 최종점도 $20.1\~212.6$ RVU였으며 강하점도는 $2.0\~l12.2$ RVU, 치반점도 $-81.3\~85.3$ RVU, 응집점도 $7.9\~105.0$ RVU로 나타났다. 4. Texture 분석을 한 결과 껌성 $91\~383$, 경도 $181\~394$, 씹힘성 $73\~370$의 범위에 속하였다. 5. 64개 자식계통을 대상으로 단백질 등 14개 형질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을 한 결과 제 1주성분은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고 경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주로 저식미 계통군으로 분류되며 백립중과 립장이 부의 값이어서 소립의 형태를 보였으며 제2주성분은 립장, 립폭, 백립중 등이 정의 값을 나타내어 대립의 계통군들이 포함되며 경도와는 부의 상관을 보여 식미가 양호한 계통군으로 분류되었다. 6. 제1주성분과 제2주성분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한 결과 8개 자식계통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scatter diagram에서 제1주성분이 작아지고 제2주성분이 커지는 좌측 상단부에 분포한 VII, VIII군에 속한 계통들이 주로 식미가 높으며 조숙종보다는 중, 만숙종들이 대부분 이였다.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select inbred lines which have a good eating quality and desirable segregates during inbreeding of waxy corn. The 64 inbred lines showed a large variance in their kernel shape and weight. 100-kernel weight, pericarp thickness, kernel length, kernel width, and kernel thickness ranged $11.7\~37.3g,\;11\~77{\mu}m,\;5.8\~9.6mm,\;6.5\~10.0mm$, and $4.1\~6.8mm$, respectively. The physicochemical analysis of 64 waxy corn inbred lines showed crude protein, crude fat, free sugar, and amylopectin content ranging $8.7\~15.8\%,\;2.3\~5.8\%,\;1.1\~11.0\%,\;and\;78.5\~93.8\%$, respectively. The texture property analysis of 64 inbred lines by texture analyzer showed a big difference. Gumminess, hardness, and chewiness of 64 inbred lines ranged $91\~383,\;181\~394,\;and\;73\~370$, respectivel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14 characteristics related to kernel quality showed that $73.1\%$ of the total variation could be attributed to the first five principal components. Biological meaning of the principal component was explained clearly b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rincipal components and character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appeared to correspond to small kernel and bad eating quality,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appeared to correspond to large kernel and good eating quality. The 64 inbred lines were classified into 8 groups by the cluster analysis using the first and second principal component. Among the groups, group VII and VIII included inbred lines with good eating quality that had thin pericarp thickness, low protein content, large kernel, and soft tenderness.

      • KCI등재

        찰옥수수 자식계통의 주요 품질특성과 관련된 SSR마커

        정태욱,문현귀,손범영,김선림,김순권,Jung, Tae-Wook,Moon, Hyeon-Gui,Son, Beom-Young,Kim, Sun-Lim,Kim, Soon-Kwon 한국작물학회 2006 한국작물학회지 Vol.51 No.suppl1

        작물과학원에서 육성한 찰옥수수 자식계통들을 대상으로 SSR 마커를 이용하여 자식계통간 유연관계 등을 분석하고 계통군화 시켜 교배 모, 부본 선정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으며 종실의 품질특성들과 연관되어 있는 분자마커를 선발하여 품질육종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품질 찰옥수수 품종육성에 이용하기 위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64개 자식계통의 genomic DNA증폭에 의해 30개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하여 전체 225개, 마커 별로는 $2{\sim}13$개, 평균 7.5개의 alleles가 관찰되었으며 PIC값은 $0.14{\sim}0.87$의 범위였고 평균 0.69의 다양성을 보였다. 2. 증폭된 밴드의 유무를 이용하여 계통간 유전적 거리를 구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군집분석을 한 결과 9개 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특히 I군의 경우 64계통 중 41%인 26계통이 포함되었으며 나머지 군들은 $3{\sim}9$개의 자식계통이 포함되었다. 3 유전적 거리에 의한 자식계통군의 분류 결과를 기존에 육성된 교잡종들과 비교해 본 결과 찰옥1호의 모, 부본인 KW1, KW2는 각각 I군과 VII군, 찰옥2호의 모, 부본인 KW7, KW3은 각각 I군과 VIII군에 속해 있었으며, 고식미 교잡종인 찰옥4호는 모, 부본인 KW33과 KW35는 I군과 IV군, 일미찰의 모, 부본인 KW51, KW35도 I군과 IV군에 속해 있어서 원연간에 교잡이 이루어 진 것으로 나타났다. 4. 30개 SSR 마커에 의해 발생된 대립인자와 품질관련 특성들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아밀로펙틴 함량 등 8개 형질과 관련되는 마커를 선발하였다. 이 마커들 중 umc 1019는 아밀로펙틴, 단백질 함량과 연관되었으며 umc1020은 아밀로펙틴 함량, 최고점도 및 전체적 기호도와 관련되었고 bnlg1537은 백립중, 립장, 립폭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작할 수 있었다. 이 환원유(還元乳)를 일정(一定)한 조건(條件)에서 한국 영양권장량과 비교(比較)했을 때, 모든 영양소(營養素)를 충분(充分)히 공급(供給)할 수 있었는데 나이아신 만이 권장량에 미달하였다. 또한 분유(粉乳) C에서 철분이 약간 미달했고, 비타민A는 1일(日) 권장량에 6배(倍)나 되어 앞으로 재검토(再檢討)를 요(要)하는 문제라 하겠다. 4. 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은 분유간(粉乳間)에 다수 차계(差界)를 보였으며, 필수(必須)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이 우유에 가까웠던 점(點)으로 보아 아미노산 조절(調節)은 없었는듯 하였다. 발효유의 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은 우유와 거의 같았다. 5. 지방산(脂肪酸)의 조성(組成)은 전체(全體) 포화지방산대(飽和脂肪酸對)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의 비(比)가 3종(種)의 분유간(粉乳間)에 비슷하였고, 특히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의 조성(組成)이 모유(母乳)와 유사(類似)하거나 높아 이들 지방산(脂肪酸)이 첨가(添加)되어 있음을 나타냈다. 이상의 여러 결과(結果)들을 종합(綜合)할 때 3종(種)의 분유간(粉乳間) 영양효과(營養效果)는 비슷하고, 조제분유(調製粉乳)의 일반조성(一般組成), 무기질(無機質) 및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있어서 모유(母乳)에 상당히 접근(接近)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한편 철분, 비타민 등(等)의 강화(强化)로서 단일식품(單一食品)으로서의 효용성(效用性)을 높인 것은 사실이나, 일부 영양소(營養素)의 지나친 강화(强化)문제는 좀더 신중히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성(構成) polyol은 glycerol뿐이 었으며 세포외(細胞外) 지질(脂質)의 구성(構成) polyol은 glycerol, mannitol, xylitol 및 arabitol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ssess genetic diversity of waxy corn inbred lines and to identify SSR markers related to major characteristics affected kernel quality for improving waxy corn $F_1$ hybrid with good quality. Diversity of 64 waxy com inbred lines was evaluated using 30 microsatellite markers. The 30 microsatellite markers representing 30 loci in the maize genome detected polymorphisms among the 64 inbred lines and revealed 225 alleles with a mean of 7.5 alleles per primer. The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 value ranged from 0.14 to 0.87, with an average of 0.69. Based on Nei's genetic distances, the 64 inbred lines were classified into 9 groups by the cluster analysis. The group I included 26 inbred lines (41%), other groups included 3 to 9 inbred line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to identif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markers and major characteristics that affect kernel quality. The analysis showed that umc1019 was related to amylopectin and crude protein content, me 1020 to amylopectin content and peak viscosity, and bnlg1537 to 100-kernel weight, kernel length, and kernel width.

      • KCI등재

        찰옥수수 교잡종의 식미관련 주요 특성

        정태욱,김선림,문현귀,손범영,김시주,김순권,Jung Tae wook,Kim Sun Lim,Moon Hyeon Gui,Son Beom Young,Kim Si Ju,Kim Soon Kwon 한국작물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0 No.suppl1

        풋찰옥수수 $F_1$ 교잡종들을 대상으로 식미관련 주요 특성분석 및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고품질 찰옥수수 품종육성에 이용하기 위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찰옥1호 등 6개 $F_1$ 교잡종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단백질 함량은 $11.2\~13.1\%$, 지방 $5.1\~6.0\%$, 아밀로펙틴 $91.8\~92.6\%$, 유리당 $4.5\~6.6\%$ 범위에 속하였으며 단백질 함량은 찰옥1호가 가장 높았고 연농1호가 가장 낮았으며 지방은 찰옥1호, 연농1호가 낮았고 수원45호가 높았으며 아밀로펙틴 함량은 유의성이 없었다. 유리당 함량은 찰옥4호가 가장 높았다. 2. 과피두께는 연농1호, 찰옥4호, 수원45호, 흑점찰이 $34\~47{\mu}m$로 얇은 반면 찰옥1호, 찰옥2호 등은 $64\~81{\mu}m$로 두꺼웠으며 100립중은 수원45호가 가장 무거웠고(41.9g), 흑점찰이 가장 가벼웠다(27.8 g). 3. 아밀로그램 분석은 풋옥수수 상태(DAP25)에서는 연농1호, 찰옥4호, 수원45호 등이 최고, 최저, 최종점도 및 강하점도, 응집점도의 값이 모두 찰옥1호, 찰옥2호, 흑점찰 보다 높게 나온 반면 종실용 상태(DAP45) 시료는 반대로 연농1호, 찰옥4호, 수원45호 등이 낮게 나타났다. 4. 풋옥수수를 증자 후 시간대별 노화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texture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화도의 차이가 교잡종 별로 뚜렷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시간대별로는 증자 후 6시간 까지는 품종 내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다가 6시간 이후 서서히 증가하면서 22시간 이후부터는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5. 전체적 기호도에 있어서 연농1호, 찰옥4호, 수원45호가 각각 6.8, 7.1, 6.9의 높은 값을 나타내어 고식미 교잡종들로 구분이 되었고 찰옥1호, 찰옥2호, 흑점찰 등은 5.0, 5.6, 4.5의 낮은 값을 보였다. 6. 찰옥수수 전분의 아밀로펙틴 분지분포를 분석한 결과 DP값에 있어서 b1 fraction$(DP\geq12)$의 분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각 fraction별로 교잡종간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아 본 시험에서는 식미의 차이가 뚜렷함에도 불구하고 아밀로펙틴 분지분포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 관능검사의 전체적 기호도는 유리당, 백립중, 립장, 림폭, 응집점도 등과 정의 상관을 보였고 과피두께, 경도, 껌성, 씹힘성 등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품질기준을 설정해 보면 저식미 교잡종인 찰옥1호(100)를 표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고식미 교잡계인 연농1호, 찰옥4호, 수원45호의 유리당 함량은 $6.2\~6.6\%(111\~l18)$, 립장 $8.8\~9.7(99\~109)$, 립폭 $9.8\~10.5mm(111\~l19)$, 백립중 $38.6\~41.9g(113\~123)$, 아밀로그램의 응집점도 $28.2\~30.6RVU(123\~133)$, 과피두께 $34\~41{\mu}m(42\~51)$, texture 분석의 경도 $460\~513(43\~48)$, 씹힘성 $125\~139(51\~57)$, 껌성 $130\~148(49\~56)$의 범위에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electable criteria in evaluating waxy corn $F_1$ hybrids for developing good eating quality waxy corn variety. The physicochemical property analysis of 6 waxy corn $F_1$ hybrids - Chalok1, Chalok2, Heugjeomchal, Yeonnongl, Chalok4, and Suwon45- showed a range of $11.2\~13.1\%$ for crude protein, $5.1\~6.0\%$ for crude fat, $91.8\~92.6\%$ for amylopectin, and $4.5\~6.6\%$ for free sugar content. The pericarp thickness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related to tenderness in waxy corn was ranged $34\~47{\mu}m$ in 4 waxy corn hybrids - Yeonnongl, Chalok4, Suwon45, and Heugjeomchal. On the other hand, it was ranged $64\~81{\mu}m$ in Chalok1 and Chalok2. The amylogram analysis by rapid visco analyzer showed that in fresh waxy corn hybrid (DAP25), all amylogram properties except setback were higher in Yeonnongl, Chalok4, and Suwon45 compared to those of Chalokl, Chnlok2, and Heugjeomchal. However, in matured waxy corn hybyids (DAP45), the result was the opposite - the amylogram properties were higher in Chalokl, Chalok2, and Heugjeomchal than those of Yeonnongl, Chalok4, and Suwon45. The texture analysis showed that gumminess, chewiness, and hardness increased dramatically with the time after the cooking in Chalokl and Beugjeomchal. On the other hand, these above pyoperties did not change as rapidly with the time in Yeonnongl, Chalok4, and Suwon45. Gumminess, chewiness, and hardness did not increase much within 6 hours after steamingr but increased significantly 32 hours after steaming. Therefore, we have reached a conclusion that texture analysis of cooked waxy corn should be carried out 6 hours after steaming. In the sensory evaluation, Yeonnongl, Chalok4, and Suwon45 revealed higher palatability -6.8, 7.1, and 6.9 respectively - than. that of Chnlokl, Chalok2, and Heugjeomchal. The palatability analysis of 6 waxy corn hybrids showed palatability positively correlating with free sugar content,100-kernel weight, kernel length, kernet width, and consistency, but negatively correlating with pericarp thickness,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 KCI등재후보

        암특이적 대사에 대한 한의학적 연구의 현황 및 전망

        정태욱,김은영,최희진,최희정,하기태,Chung, Tae-Wook,Kim, Eun-Yeong,Choi, Hee-Jin,Choi, Hee-Jung,Ha, Ki-Tae 대한암한의학회 2015 大韓癌韓醫學會誌 Vol.20 No.1

        Generally, normal cells synthesize adenosine triphosphate (ATP) through oxidative phosphorylation in the mitochondria. However, they produce ATP through lactic acid fermentation on hypoxic condition. Interestingly, many cancer cells rely on aerobic glycolysis for ATP generation instead of mitochondrial oxidative phosphorylation, which is termed as "Warburg effect". According to results from recent researches on differences of cancer cell metabolism from normal cell metabolism and because chemotherapy to suppress rapidly growing cells, as a side effect of cancer treatment, can still target healthy cells, there is merit in the development of small-molecule inhibitors targeting metabolic enzymes such as pyruvate dehydrogenase kinase (PDHK), lactate dehydrogenase (LDH) and monocarboxylate transporter (MCT). For new anticancer therapy, in this review, we show recent advances in study on cancer cell metabolism and molecules targeting metabolic enzymes which are importantly associated with cancer metabolism for cancer therapy. Furthermore, we would also like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molecules targeting metabolic enzymes using herbal medicines and their constituents for anticancer drugs.

      • KCI등재

        A finite element analysis of implant-supported overdenture on the effect of anterior cantilever

        정태욱,김영수,김창회,Jung, Tae-Wook,Kim, Young-Soo,Kim, Chang-Whe,Ling, Booi-Cie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itics 199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36 No.1

        두개의 임플랜트로 지지되는 overdenture를 이용한 하악무치악환자의 치료법은 경제적이면서, 실용적인 치료로 인정을 받고 있다. 하지만 해부학적인 조건으로 임플랜트를 설측 혹은 후방에 식립해야 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bar설계는 bar가 구강저 상방을 지나게 되어 혀운동, 발음, 위생관리 등에 많은 문제점을 부여한다. 이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전방부 치조제 상에 보철물의 회전을 허용하는 angular bar를 설계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설계는 임플랜트에 불리한 moment를 유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유지력과 지지능력, 경제적인 면 때문에 angular bar는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angular bar의 전방 cantilever양을 달리하여 임플랜트 및 주변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삼차원 유한요소분석법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공사이의 하악골을 단순화시킨 준하악골모형에 직경 3.75mm인 브로네마르크 임플랜트 2개를 길이가 13,15mm인 경우로 설정하여 제 1소구치 부위에 식립하였다. 두 임플랜트를 연결하는 bar는 전방부 cantilever양을 0-5mm, 1mm씩 하여 6가지 경우를 가정하고 제작하였다. 각각 bar 중앙부에 수직압 (90도) 35N, 경사압(120도) 70N, 수평압(0도) 10N을 가하였으며 이때 나타나는 응력 분산형태와 임플랜트의 골유착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최대주응력(인장력)과 변위량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antilever양이 증가할수록 주변피질골과 임플랜트로 응력이 집중되었으며 상부 보철물의 변위량도 커졌다. 2. Cantilever양에 대한 수평압의 영향은 크지 않았으며 임플랜트 길이가 긴 것이 변위량과 응력이 작았다. 3. 경사압에 대한 응력의 변화는 cantilever양의 증가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띠었으며 임플랜트길이가 응력 및 변위의 양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4. 수직압에 대한 응력의 변화는 초기에는 완만한 증가를 보이다가 일정 시점 지난 후에는 증가율이 커지는 경향을 띠었다. 증가현상이 두드러지기 전에는 길이의 증가가 응력의 분산효과는 가져왔으나 이후에는 길이의 응력분산 효과는 없었다. 5. 응력분포양상은 cantilever양이 증가할수록 골조직을 통한 분산정도는 작아지고 특정부위의 피질골과 임플랜트, 상부보철물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6. 임플랜트와 주변 골조직으로의 응력분산능력이 예후를 좌우한다는 점에서 angular bar는 적합치 못하며 부득이한 경우는 임플랜트 길이를 길게 하고 최대한 3mm이내로 cantilever양을 제한하는 것이 추천된다.

      • KCI등재

        혈소판농축혈장 내의 성장요소가 조골세포주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정태욱,김영수,김창회,장경수,임영준,Jung Tae-Wook,Kim Yung-Soo,Kim Chang-Whe,Jang Kyung-Soo,Lim Young-Jun 대한치과보철학회 200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2 No.2

        Statement of problem: Platelet-rich plasma(PRP) is well known to be very effective method to stimulate and accelerate the healing of bone and soft tissue.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which deal with the mechanisms of the PRP on the activation of the osteoblasts.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wth factors in PRP on the activity of osteoblasts. Material and method: To evaluate the effect on human, human osteoblast cell line was cultured. PRP was extracted from the blood of a healthy volunteer. Using the recombinant growth factors of PDGF, $TGFT-\beta$, IGF-1, bFGF which are mainly found at bone matrix and their neutralizing antibody, the effect of PRP on the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f osteoblasts was evaluated. To evaluate the autocrine and paracrine effects, conditioned media(CM) of PRP was made and compared with PRP. By the western blot analysis, the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in PRP, CM was examined. Cell morphology was compared by the light microscope. Results : 1) The effects of CM on osteoblast were similar to the effects of PRP. 2) PRP, CM, recombinant $TGF-\beta$, bFGF, IGF-1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ellular attachment than control(p<0.05) in the cell attachment assay. In the cell proliferation assay, PRP, CM, recombinant $TGF-\beta$, IGF-1, bFGF, PDGF increased significantly cell proliferation(p<0.01). Among the recombinant growth factors, IGF-1 showed the highest cellular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3) In the western blot assay, bFGF, IGF-1, PDGF weve equally expressed in PRP and CM. 4) The attachment of osteoblast cell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addition of neutralizing antibody against $TGF-\beta$, IGF-1(p<0.05). In the cell proliferation assay, the addition of neutralizing antibody against $TGF-\beta$, bFGF, PDGF, IGF-1 decreased significantly the cellular proliferation(p<0.05). The amount of decreasing in the cell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is the highest in at-lGF-1. 5) The cells in control group were flattened and elongated with a few cellular processes in the a light microscope. But, the cells appeared as spherical, plump cells with well developed cellular processes in experimental groups. The cells in PRP and CM had more prominent developed features than recombinant growth factor groups. Conclusions : These findings imply that PRP maximize the cellular activity in early healing period using the synergistic effect, autocrine, paracrine effects of growth factors and increase the rate and degree of bone formation.

      • KCI등재

        오버행과 스큐 구조를 가지는 영구자석 직류전동기의 2차원 유한요소해석 방법 및 최적 설계

        정태욱(Tae-Uk Jung),서정랑(Jung-Rang Seo),이강원(Kang-Won Lee)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8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32 No.4

        Permanent magnet DC motors are gradually being replaced by other motors due to the durability limitation of driving method through mechanical rectification, but they are still widely used for simple control methods and so on. In order to improve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permanent magnet DC motor, an overhang structure and a skew structure are mainly applied. In order to analyze the performance through a finite element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it is inevitable to use the three-dimensional model and it takes a long time compared to the two-dimensional model.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reflect the overhang structure and the skew structure in the two - dimensional analysis model.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w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roposed model with the 3D model.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ermanent magnet DC motor, the design parameters were selected and optimized through the proposed model.

      • KCI등재

        종축 자속형 영구자석 동기 발전기의 전자기적 구조 변경에 따른 출력특성 비교

        정태욱(Tae-Uk Jung),배병덕(Byung-Duk Bae),김회천(Hoe-Cheon Kim)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1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5 No.6

        Generally, the structure without the stator core Axial Field Permanent Magnet (AFPM) generator was simple and there was nearly no cogging toque. And because it had the wide driving rate area, it had been being mainly used in the small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However, AFPM generator with non-slotted stator can’t generate high voltage at low wind speed due to long air-gap. It is the reason of output efficiency drop. Therefore, in this paper, the AFPM synchronous generator with internal rotor and dual slotted stators for the small wind turbine is studied, and deal with a cogging torque minimization through the determination of optimum pole-arc ratio.

      • KCI등재
      • KCI등재

        문학에 새겨진 도래와 침략

        정태욱(Jung, Tae Uk) 동아시아일본학회 2013 일본문화연구 Vol.48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Yokoku ?『Naniwa』and ?『Hakurakuten』? which was written in medieval ages, with the view of the advent and the aggression. These two works are written about foreigners who wanted to come to Japan for the purpose of spreading their culture. And more over the writers of these two books are assumed as one man whose name is Zeami. Even though the writer of Yokoku ?『Naniwa』? and ?『Hakurakuten』? are regarded as one man Zeami, but these two books have difference. The leading characters of these two books, Wani and Hakurakuten, were described as conflicting positions. Wani, the leading character of ?『Naniwa』? showed the shape of teacher and the communicator of chinese culture and books to Japanese. So he was described as the trader who had the perspective. But Hakurakuten, the leading character of ?『Hakurakuten』? showed the shape of the imperialist of high culture. Thus he was described as a failed trader who had only cultural unification. But inspite of antipathy against Japanese, Hakurakuten was the scale of cultural difference, and furthemore he became the step stone of cultural ripening. Finally 『Hakurakuten』 showed a way of cultural trad with invasion and rej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