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처리 온도에 따른 수경재배인삼의 화학성분과 효소활성

        초롱(Cho Rong Hwang),은미(Eun Mi Joung),이상훈(Sang Hoon Lee),황인국(In Guk Hwang),김용범(Yong Bum Kim),재현(Jae Hyun Jeong),이준수(Junsoo Lee),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6

        열처리에 따른 수경재배인삼과 잎줄기의 화학성분과 효소활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90, 110, 130 및 150℃에서 2시간 열처리한 후 갈변도, 5-HMF, 유리당, 유기산 함량, 효소활성을 살펴보았다. Tyrosinase와 ACE 저해활성 등 효소활성은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그 활성이 증가하였다. Maillard 반응의 중간 및 최종 단계의 생성물인 5-HMF, 유리당, 유기산의 함량은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5-HMF 함량은 수경재배인삼과 잎줄기 모두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수경재배인삼에서는 fructose, glucose 및 sucrose 3종류의 당이 검출되었다. Sucrose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fructose 및 glucose 함량은 증가하였다.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당류가 단당류로 분해되고 지속적인 열분해로 인하여 HMF, furfural 및 5-methyl furfural 등과 유기산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유기산 함량 또한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이용을 위하여 다양한 열처리 조건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enzyme activities from hydroponic-cultured ginseng roots (HGR) and leaves (HGL) with various heating temperatures (90, 110, 130, and 150℃) for 2 hours. The UV-absorbance and browning intensity of heated ginseng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eating temperature. 5-HMF content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The free sugars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were detected and sucrose content decreased, but fructose and glucose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Malic, citric, lactic, and oxalic acid contents were 817.52, 722.25, 122.06, and 18.43 mg%, respectively, in HGR and 682.84, 338.21, 90.37, and 0 mg%, respectively, in HGL at 150℃. Tyrosinase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eating temperature. These results show that various components and activities of HGT and HGL significantly increase with heating temperature.

      • 효율적인 의료 시스템 구축을 위한 iBATIS 적용 연구

        정초롱(Cho-Rong Jeong),박상현(Sang-Hyun Park),황희(Hee-Joung Hwa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10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0 No.-

        의료시스템 전산화에 있어서 신뢰성과 영속성은 필수 사항이다. 하지만 의료법은 사회적 정책적인 요인에 따라 지속적으로 법령이 변화하고 있으며, 의료법 변화에 따라 구축 되는 의료시스템도 계속적으로 수정이 이루어진다. 이는 시스템 영속성을 낮추며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을 소모하게 만든다. 또한 매번 sql을 변경하거나 유지보수 그리고 프로그램의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의료시스템의 영속성과 개발 및 유지보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오픈소스 ORM(Object Relation Mapping) 기술 중 iBATIS의 SqlMap 프레임워크를 의료시스템 설계 및 구축에 적용하였다. Trustability and perpetuity are essential item in medical treatment system computerization. However, Medical Services Law medical treatment system that statute is changing, and is constructed according to Medical Services Law change continuously according to social political factor continuously correction attain. This makes to lower system perpetuity and consume a lot of expenses in maintenance. Also, change sql every time or maintenance and program of to develop difficulty follow. Hereupon. in this treatise, while describe often source ORM (Object Relation Mapping) to heighten perpetuity and development of medical treatment system and efficiency of maintenance, applied SqlMap framework of ibatis to medical treatment system design and construction.

      • KCI등재

        열처리 온도에 따른 더덕과 도라지의 화학성분과 항산화활성

        초롱(Cho-Rong Hwang),오승희(Seung-Hee Oh),김현영(Hyun-Young Kim),이상훈(Sang-Hoon Lee),황인국(In-Guk Hwang),신유수(Yu-Su Shin),이준수(Jun-Soo Lee),헌상(Heon-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6

        열처리에 따른 더덕과 도라지의 성분과 항산화활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110~150℃에서 2시간 열처리한 후 항산화활성 및 유리당, 유기산, 5-HMF 함량을 살펴보았다. 총폴리페놀 함량은 대조구에서 각각 0.60 및 0.59 ㎎ GA eq/g이었으며, 150℃에서는 각각 6.31 및 7.34 ㎎ GA eq/g으로 증가하였다. 항산화활성은 열처리 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환원력도 대조구의 0.1 및 0.06에서 열처리 후 0.54 및 0.50으로 증가하였다. 더덕의 fructose 함량은 120℃까지는 증가하다가 130℃ 이상에서는 감소하였으며 sucrose의 함량은 130℃ 이상의 온도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도라지 fructose 함량은 130℃까지는 계속 증가하였으나 140℃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였으며 sucrose 함량은 더덕과 마찬가지로 130℃ 이상의 온도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은 더덕과 도라지에서 모두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5-HMF 함량은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110 및 120℃에서는 변화가 작았지만 130℃ 이상의 온도에서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eoduk (Codonopsis lanceolata) and Doragi (Platycodon grandiflorum) with heating. Deoduk and Doragi were heated to 110~150℃ for 2 hour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Deoduk and Doragi reached high values of 6.31 and 7.34 ㎎/g, respectively, at 150℃.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raw Deoduk and Doragi were 0.60 and 0.59 ㎎/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 of Deoduk and Doragi decreased from 13.94 and 6.83 ㎎/㎖, respectively, in raw samples to 0.81 and 0.94 ㎎/㎖, respectively, in samples heated to 150℃.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eoduk and Doragi increased from 0.43 and 0.21 ㎎ AA eq/g, respectively, in raw samples to 3.55 and 4.83 ㎎ AA eq/g, respectively, in samples heated to 150℃. The reducing power of raw Deoduk and Doragi was 0.1 and 0.06, respectively, which was increased to 0.54 and 0.50, respectively, in samples heated to 150℃. Fructose content decreased after heating to 130℃. The sucrose content of the samples increased slowly with heating up to 120℃, but was not detected at warmer temperatures. The organic acid and 5-HMF of the samples in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temperature.

      • KCI등재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

        초롱(Cho Rong Hwang),황인국(In Guk Hwang),김현영(Hyun Young Kim),강태수(Tae Soo Kang),김윤배(Yun Bae Kim),주성수(Sung Soo Joo),이준수(Junsoo Lee),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2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에 대한 항산화물질과 항산화활성을 분석한 결과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37.50 ㎎ GA eq/g이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 240.61 ㎎ GA eq/g로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26.50 ㎎ catechin eq/g 이었지만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는 105.57 ㎎ catechin eq/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IC?? 값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1.07 ㎎/㎖이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는 0.08 ㎎/㎖로 높았다. 총 항산화력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34.48 ㎎ AA eq/g이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는 382.00 ㎎ AA eq/g으로 높았다. 환원력은 1 ㎎/㎖의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은 0.45이었지만,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는 0.75로 높았다.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32.01%로 높았고 용매 분획물에서는 오히려 감소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의 IC??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26.71μg/㎖로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n the dropwort (Oenanthe javanica) and its solvent fraction. The dropwort was extracted with 70% (v/v) ethanol, and then partitioned using the solvents of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aqueous. The ethyl acetate fraction contained the highest phenolic and flavonoid of 240.61 ㎎ GA eq/g and 105.57 ㎎ catechin eq/g, followed by ethanol extract of 37.50 ㎎ GA eq/g and 26.50 ㎎ catechin eq/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 on the solvent fractions increased in the order of ethyl acetate, butanol, ethanol extract, chloroform, aqueous, and hexane with 0.08, 0.58, 1.07, 2.43, 2.47, and 3.31 ㎎/㎖, respectively.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value of 382 ㎎ AA eq/g in ethyl acetate fraction. Reducing power and chelating effect on the ethanol extracts and its solvent fraction were in range of 0.23~0.75 and 0~32.01%, respectivel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 was the lowest value of 26.71 μg/㎖ in ethyl acetate fraction.

      • KCI등재

        열처리 양파로부터 항산화물질의 분리동정

        황인국(In Guk Hwang),김현영(Hyun Young Kim),이상훈(Sang Hoon Lee),초롱(Cho Rong Hwang),오승희(Seung Hee Oh),우관식(Koan Sik Woo),김대중(Dae Joong Kim),이준수(Junsoo Lee),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3

        열처리한 양파 착즙액의 ethyl acetate 분획물로부터 항산화물질을 분리·동정하기 위하여 1, 2차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reparative TLC 및 HPLC를 이용하여 항산화활성 물질을 분리·정제하였다. GC/MSD, ¹H-NMR 및 <SUP>13</SUP>C-NMR spectrum 결과로부터 구조 동정한 결과 분리된 물질은 2,3-dihydro-3,5-dihydroxy-6-methyl-4H-pyran-4-one(DDMP)으로 확인되었다. DDMP의 항산화활성의 IC50값은 241.6 ㎍/mL이었으며, vitamin E의 69.2 ㎍/mL와 C의 45.3 ㎍/mL보다는 낮은 활성을 보였고 BHT의 268.0 ㎍/mL보다는 높은 활성을 보였지만 유의적인(p>0.05)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추후 DDMP를 기능성물질로 활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생리활성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antioxidant substance in heated onion. The isolation of active compound was performed in three steps: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reparative TLC, and preparative HPLC. The structure of the purified compound was determined using spectroscopic methods, i.e., ultraviolet, mass spectrometry, 1H-NMR, 13C-NMR, and DEPT.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isolated compound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α-tocopherol, ascorbic acid,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using DPPH and ABTS assay. The isolated compound was identified as 2,3-dihydro-3,5-dihydroxy-6-methyl-4H-pyran-4-one (DDMP). The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IC50) of the DDMP was in the following order: ascorbic acid (45.3 ㎍/mL)>α-tocopherol (69.2 ㎍/mL)>DDMP (241.6 ㎍/mL)>BHT (268.0 ㎍/mL). In addition, DDMP showed strong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569.0 mg AA eq/g.

      • KCI등재

        고추장 및 김치용 고춧가루의 입도별 품질 특성

        오승희(Seung Hee Oh),황인국(In Guk Hwang),김현영(Hyun Young Kim),초롱(Cho Rong Hwang),박수민(Soo Min Park),황영(Young Hwang),유선미(Seon Mi Yoo),김행란(Haeng Ran Kim),김혜영(Hae Young Kim),이준수(Junsoo Lee),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5

        매운 고추와 맵지 않은 고추를 이용하여 고추장 및 김치용으로 분쇄된 고춧가루의 입도별 분포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색도, ASTA값 및 캡사이신 함량을 비교분석 하였다. 품종에 관계없이 고추장용 고춧가루에서는 425~300 ㎛의 크기가 가장 많았고 이를 기준으로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커질수록 그 함량이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용 고춧가루에서는 1000 ㎛ 이상의 입도를 가지는 고춧가루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고추장용보다 입도분포가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고춧가루의 색은 입자의 크기에 따라 색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색도 값(Hunter Lab)이 증가하였다. ASTA값 역시 크기가 작을수록 높은 값을 보였다. 입도별 시료의 capsaicinoids 함량은 전반적으로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증가하여 색도와 ASTA값의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입도별 고춧가루의 물리적 특성은 고춧가루의 품질평가 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보다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 of red pepper powders of Hanbando and Cheongyang cultivars by particle size. Two types of powder samples for pepper paste and Kimchi were prepared, and capsaicinoid contents, Hunter Lab color values, and ASTA values by particle size distribution were investigated.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normal in the pepper paste powder; however, an abnormal distribution was shown for the Kimchi powder. In addition, the greatest particle sizes were 300~425 ㎛ in the pepper paste powder. In accordance with smaller particle size, redness (a-value), ASTA values, and capsaicinoid contents increased. Redness (a-value) by particle size was in the range of 15.13~31.34, and ASTA values were in the range of 53.35~96.87. Capsaicinoid contents by particle size were in the range of 1.90~6.05 ㎎/100 g for Hanbando and 156.65~235.10 ㎎/100 g for Cheongyang.

      • KCI등재

        품종과 재배지역에 따른 고춧가루의 물리적 특성

        오승희(Seung Hee Oh),김현영(Hyun Young Kim),초롱(Cho Rong Hwang),황인국(In Guk Hwang),황영(Young Hwang),유선미(Seon Mi Yoo),김행란(Haeng Ran Kim),김혜영(Hae Young Kim),이준수(Junsoo Lee),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4

        품종 및 재배지역에 따른 고춧가루의 물리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이완밀도, 압축밀도, 압축시험, 안식각, 비회복성일 및 응력이완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완밀도는 0.40~0.50 g/㎤ 범위에 있었으며 압축밀도는 0.49~0.67 g/㎤ 범위에 있었다. 하우스너 비는 음성에서 재배된 청양품종과 PR마니따품종이 가장 높았다. 안식각은 35.1~41.7°의 범위를 보였으며, 압축성은 0.0046~0.0092, 압축비는 1.003~1.040 범위이었다. 비회복성 일은 68~80%의 범위를 보였다. k₂값은 1.25~1.56의 분포를 보였고, 이완성은 28.02~42.03%의 범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수원의 부촌과 음성의 PR 마니따 품종이 가장 응집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해진 힘에 따른 응집성과 유동성은 음성에서 재배된 PR마니 따품종이 가장 컸으며, 영양에서 재배된 청양품종이 탄성체의 성질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고춧가루의 물리적 특성은 식품가공 공정의 설계 및 운용 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red pepper powders according to cultivation area and variety. Values for density, compressive characteristics, dynamic angle, irrecoverable work, and stress relaxation were analysed. Loose bulk density ranged between 0.40 and 0.50 g/㎤, and tapped bulk density ranged between 0.49 and 0.67 g/㎤. The highest Hausner ratio was 1.369 for PRmanitta cultivated in Eumseong and the lowest value of was 0.194 for Buchon cultivated in Yeongyang. Compressibility ranged between 0.0046 and 0.0092. The highest compression ratio was 1.040 for Myeongjak cultivated in Suwon, and the lowest value was 1.007 for Buchon cultivated in Yeongyang. Dynamic angles ranged between 35.14 and 41.70°. The highest irrecoverable work value was 79.9% for PRmanitta cultivated in Eumseong and the lowest value was 67.9% for Nokgwang cultivated in Suwon. The greatest k₂ and relaxation values of stress relaxation characteristics were 1.56 and 42.03%, respectively, for Cheongyang cultivated in Yeongy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