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사만평의 표현구조와 의미해석에 관한 연구

        정창준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1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시사만평이 갖는 표현구조와 의미해석을 야콥슨이 주창한 커뮤니케이션 기능 모델을 적용하고 분석하였는데, 6가지 기능 각각에서 시사만평의 해석이 일어나는 의미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중앙일간지 3개 신문인 경향신문, 서울신문, 한겨레신문의 시사만평 3점에 대해 6가지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경향신문의 시사만평 사례에서는 시적 기능이 두드러져 나타났는데, 이는 그림기호와 언어기호가 각각의 역할로써 기능하였을 뿐 아니라, 이 둘의 기호가 상호작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일러스트레이션의 독특한 그림체 표현은 시적기능의 발현에 주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서울신문의 시사만평 사례에서는 상위언어적 기능이 우세하였으며, 한겨레신문 시사만평 사례에서는 감정표현적 기능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결국, 시사만평에서 야콥슨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모델을 적용하여 의미해석을 시도해 본 바, 의미발생과 해석에 있어서 6개 커뮤니케이션 기능에 따라 의미를 해석할 수 있었으며, 개별 만평마다 지배적인 기능의 존재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시사만평에서 시적 기능이 강화될 경우 그 효과는 더 커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미디어 특성에 따른 광고 크리에이티브에 관한 연구

        정창준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7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8 No.2

        기업이 실행하는 대외적인 소통수단에서 광고활동은 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기술결정론을 따르는 연구자들에 의하면 기술발전에 따른 미디어로 인간 행동이 적응하거나 반응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인간소통의 문제에 대응하는 디지털 정보 가공수단 기술 발전이후, 인터넷이라는 판도라의 상자가 열리고, 여기에 적응하는 인간의 미디어 행동은 새로운 미디어 특성인 상호작용성 등의 속성에 따라 소극적 접촉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미디어 행동으로 변모하게 된다. 이러한 미디어 특성의 환경변화는 특히 1990년대 중반 인터넷 미디어 활성화 이후부터 2000년대를 지나면서 미디어 업계를 중심으로 광고업계에서는 놀랄만한 기록들을 갱신하면서 변화의 부침을 거듭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른 광고 크리에이티브가 어떻게 적응 또는 적극적 변신을 시도하고 있는지, 크리에이티브에 있어서 질적인 변화의 양상을 거시적인 입장에서 정리하여, 미래의 발전 방향을 조망하고자 한다. 맥루한의 인간 오감으로서의 미디어 개념은 기술결정론에 기반 한 이론으로 여전히 미디어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유효하며, 이른바 미디어가 담는 텍스트의 기술성과 구술성에 대한 논의는 미디어의 특성에 따른 컨텐츠 현상을 설명하는 데에 좀 더 질적인 측면으로 논의를 풍부하게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이 논의를 위해 야콥슨의 과정적 ․ 의미론적 기능이론을 같이 적용하여 미디어특성에 따른 광고 크리에이티브에 대해 사례를 들고 분석하였다. The advertisement forms that is done to communicate for various customers are continuously diversified. After being opened the Pabdora’s box Internet, the human being’s behavior for a media are adapted themselves as the position of positive behavior. In this these, the macroscopic perspective for advertisement creativity was discussed Mashall McLuhan’s media theory and Roman Yakobson’s communication functional theory. Todays the direction that is going on seemed to move forward to the ancient real world where the mankind of all are communicate, act, experience, and share with each other without any other obstacles. All those can be facilitated by the new digital communication technology.

      • 인쇄광고에서 텍스트와 이미지와의 관계유형 연구

        정창준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3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4 No.3

        인쇄광고에서의 텍스트와 이미지는 광고메시지 의미를 발생시키는 주 요소로서 기능하는데, 지금까지는 주로 메시지 효과론 연구에 관심의 초점이 맞추어져 왔던 바, 메시지를 구성하는 두 가지 요소가 일으키는 의미발생요소로서의 연구는 미미했다. 본 연구는 인쇄광고메시지에서 두 가지 주 요소인 텍스트와 이미지에 대한 관계를 추적ㆍ탐구하였는데, 글과 그림, 언어와 조형예술이라는 이원적 대립 또는 상호텍스트성에 초점을 맞추었고, 문학적ㆍ조형예술적 이론을 토대로 논의를 전개 하였다. 이론적 논의에서 도출된 주요 단서는 광고메시지 두 가지 요소를 관통하는 것은 바로 도상기호가 가지는 도상성이며 도상을 너무 쉽게 시각적인 것에만 양보하거나 연결시킬 것은 아니며 “부재하는 대상을 환기시키는 능력이 있는 기호”로서의 정의에 충실하자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이 기호자체와 유사한 대상을 상상하도록 하는 이미지 발현의 강력한 힘을 가지기 때문인 것이다. 즉 오늘날의 광고 텍스트와 이미지를 파악해 보자면 독창적이고 풍부한 상상력을 자극하고 호소력 있는 광고메시지가 이 두 요소의 결합된 힘의 배분에 따라 메시지 전달 효과에 영향을 주는 창의적 광고메시지의 탄생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요약하자면, 글자, 그림, 카피와 비주얼, 언어와 이미지 또는 광고텍스트와 이미지와의 관계에 대해 더 이상 자연/관습, 도상/상징 등의 대립쌍으로서 구분 짓기 보다는 서로 대화하고 공존하는 관계쌍으로 파악해야 할 것이다. The texts and Images as elements in the printed advertisements function a crucial role of advertising message communication. In this study, the relation typology was verified by the tool of literature and art methodology. The theoretically deduced cues are iconographic natures as "those two elements could evoke the absent objects. When the texts and images were analyzed in the successful advertisements, they have the originality, imagination in the massage. And the effects of the advertising messages have done interactive good work by those key elements. So that iconographic nature would make it possible to imagine that it's crucial in the creative advertisements.

      • 인터넷 소호몰에 대한 온라인 구전효과 연구

        정창준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0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2 No.1

        Through rapid developments in the industry, the environment of internet technology is standardizing. As this standardization occurs on a social level, measures to overcome unemployment in the form of individual SOHO entrepreneurs are activated. In the introductory stage of E-commerce, distribution mainly lied in the form of large comprehensive malls. However, smaller forms of specialized malls are gradually penetrating the online market. As internet coverage rapidly increases and assimilates into our daily lives, the interest in online word-of-mouth is on a rising trend. The actual exchange of word of mouth is spreading widely amongst consumer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many SOHO mall proprietors utilizing word of mouth in leveraging their sales promotion activities. When we consider the ever-growing number of Internet users and its utilization rate, more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word-of -mouth communication via the online environment. Therefore, focusing on online purchasing behavior,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impacts of exposing promotion messages in messenger chat rooms on word-of-mouth of consumers intending to purchase from online SOHO malls. 인터넷 기술 환경의 급속한 발달과 더불어 개인 사업자의 온라인 소호몰 개설이 활성화되고, 인터넷 전자 상거래의 출범 초반 대형 종합몰 위주의 유통에서 점차적으로 소호형태의 전문몰이 대거 온라인 시장으로 진입하고 있다. 그리고 인터넷이 생활 한가운데로 일상화 되면서 온라인 환경에서의 판매촉진을 위한 구전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온라인상에서 소비자들간에 구전정보가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이러한 구전정보를 많은 소호몰 운영자들이 판매촉진 활동에 활용함으로써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 나날이 급증하는 인터넷 사용자의 수와 그 활용도를 고려할 때, 온라인 상황에서의 구전 활동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이를 통한 이해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소호몰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가 메신저의 채팅룸에서 판매촉진 메시지를 접했을 때 발생되는 온라인 구전효과를 소비자 태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실제로 중국 소비자를 위한 저가격 위주의 상품으로 구성된 인터넷 패션 쇼핑몰을 개설하였으며, 이를 통해 피 실험자들에게 메신저의 채팅룸을 통한 구전활동을 일정기간 펼친 후, 구전효과에 대한 태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1. 인터넷 소호몰의 온라인 참여여부에 따라, 쇼핑몰 신뢰도ㆍ쇼핑몰 호감도ㆍ상품 호감도ㆍ상품 구매의도는 어떻게 차이가 나는가? 2. 인터넷 소호몰의 온라인 구전 단계에 따른 구전 직접 참여/간접 참여에 따라 소비자의 쇼핑몰 신뢰도ㆍ쇼핑몰 호감도ㆍ상품 호감도ㆍ상품 구매의도는 차이가 나는가?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소호몰의 온라인 구전 참여자는 온라인 구전 비참여자 보다 쇼핑몰 신뢰도ㆍ쇼핑몰 호감도ㆍ상품 호감도ㆍ상품구매의도가 훨씬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구전 단계 중 구전 직접 참여자는 간접참여자 보다 쇼핑몰 신뢰도ㆍ쇼핑몰 호감도ㆍ상품 호감도ㆍ상품구매의도에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연구결과에 대한 의의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온라인 관련 기존 연구들이 자료수집과 방법에 있어서 주로 의견 등을 구하는 설문에만 의존하였기 때문에, 실제 온라인 구매상황에서의 소비자 반응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었던바,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운영 중인 온라인 소호몰의 형태와 동일하게 소호몰을 연구자가 직접 개설하여 실험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외적 타당성이 확보된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겠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구전 정보의 대표적 유형중 하나인 실시간 메시지로서 판매자-소비자간 상호작용적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였으며, 또한 구전단계 즉, 직접대화와 간접대화와의 구전효과가 쇼핑몰 신뢰도ㆍ쇼핑몰 호감도ㆍ상품 호감도ㆍ상품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 하였다.

      • 광고 수용자의 매체 레퍼토리 형성에 관한 연구

        정창준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0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2 No.2

        오늘날 넘치는 상품의 종류뿐만 아니라 한층 진화하고 있는 매체환경에서 광고수용자들이 필요한 상품정보를 모두 접촉하는 일은 불가능해 보인다.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광고수용자들은 제한된 시간ㆍ공간ㆍ재원 등으로 각종 정보 모두를 접촉할 수 없으므로 일정한 매체의 조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광고수용자들이 광고라고 하는 컨텐츠를 소비할 때 형성하는 매체 레퍼토리의 실체에 대해 유형ㆍ조합형태ㆍ이용동기 등을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서 먼저, 광고수용자들이 형성하는 매체 레퍼토리의 유형으로는 다음과 같이 모두 10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즉, ①TV+신문+인터넷+주변사람, ②TV+인터넷+판매장, ③TV+인터넷+주변사람, ④인터넷+주변사람+판매장, ⑤신문+인터넷, ⑥TV+인터넷, ⑦TV+주변사람, ⑧신문+주변사람, ⑨인터넷+주변사람, ⑩인터넷+판매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체 레퍼토리를 형성하는 각 매체들의 관계는 대체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로서 나타났는데, TV+인터넷, 인터넷+주변사람 등의 관계가 주요 매체 레퍼토리를 형성하여 기능하고 있었다. 기타 신문, 라디오, 케이블 TV광고에 대한 매체 레퍼토리의 기능과 관련해서는 광고수용자들의 매체관심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 미디어융합과 광고표현의 변화에 관한 연구

        정창준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5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6 No.2

        급속한 광고환경 변화는 IT기술과 소비자행동의 변화와 연동한다. 특히 기술발전은 미디어 환경을 크게 변화시켰고, 인터넷을 비롯한 모바일 기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발전으로 이른바 미디어 융합시대로 접어들었다. 마샬 맥루한(Marshall McLuhan)의 예견대로 이제는 인간신체의 오감을 동시공간적으로 확장하려는 기술로 발전함에 따라 일인미디어로서의 모바일은 가장 앞서가는 미디어 융합기기의 총아로서 손색이 없다. 이제 이러한 기기들을 갖춘 소비자들은 과거의 일방적인 메시지가 아니라 능동적인 메시지 생산자와 수용자로서 메시지의 생산, 공유, 감성, 관계로 이어지는 오감을 동시공간적으로 충족시키려는 미디어 융합의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이 연구는 광고표현 또는 Creative의 변화양상을 점검해보고, 그 의미들을 살펴 보았다. 미디어 융합시기의 현재 첫 번째 큰 흐름은 커뮤니케이션 크리에이티브의 해결을 위한 첨단 기술들이 속속 개입하여 독창적인 문제해결책들이 제시되고 있었으며, 기업광고와 상품광고의 차원을 넘어 소비자를 향해 인류애를 고양하는 차원으로 메시지의 지향점이 한층 발전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Rapidly shift of the Advertising Circumstance change undergoes with the Information technology and transition of consumer behavior. Especially media environment undergoes by the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ternet, mobile, hardware, software, and other tools leads to new era of media convergence. With these smart tools, more positive consumers are ready to do any other things like a fulfilling, interesting works to satisfy by himself at any time, place etc. They all have a positive bold action will not just pass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