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펙터클 이미지 : 탈연속성과 몰입의 서사

        정찬철 ( Jeong¸ Chan Cheol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1 아시아영화연구 Vol.14 No.1

        영화의 제작과 배급과 상영이 필름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된 이후로, 영화학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변화들에 대한 사유와 논의가 ‘포스트시네마(post-cinema)’라는 용어를 중심으로 개진되었다. 필름이라는 기술 미디어의 조건에서 규범이었던 개념이 디지털이라는 기술적 조건에서는 선택적인 것이 되거나 수정되어야 했다. 이 논문은 지금까지 포스트시네마 담론의 장에서 스티븐 쉬비로(Steven Shaviro)가 제시한 탈연속성 개념을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탈연속적 영화 이미지의 체계를 기존의 연속성 기반의 영화가 추구했던 봉합적 몰입이 아닌 디제시스 내에 존재하는 의미로 공간적 ‘몰입’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한다. 공간적 몰입을 추구하는 영화 이미지의 체계를 스펙터클 이미지라 명명하고자 한다. 오늘날 디지털 시각효과가 낳은 결과라는 발전론적 도식이 아닌, 토마스 엘새서(Thomas Elsaesser)의 미디어고고학 기반 영화사 인식을 따라서, 일종의 순환과 차별적 반복이라는 탈역사적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Since cinema’s transition from film to digital in its all areas from production to exhibition, ideas and discussions concerning this technological change have been advanced around the term of post-cinema. It was argues that many concepts and terms in cinema studies that were firmly considered as norms in the age when was the main medium for the film industry are to be redefined or deconstruced in the age of digital filmmaking. Critically reviewing Steve Shaviro’s concept of ‘post-continuity’ which he suggested as a new regime of cinematic image in the digital age, this paper will explain that post-continuous shots mainly focus on delivering spectacular images and then putting audiences into the cinematic world rather then putting them out of the diegetic world. This paper will suggest to call the cinematic structure as ‘the spectale-image.’

      • KCI등재후보

        할리우드가 재현하는 한국전쟁과 미국군인, 1950-1953

        정찬철 ( Chan Cheol Jeong ) 조선대학교 동북아문제연구소 2014 동북아연구 Vol.29 No.1

        한국전쟁이 할리우드가 2차 세계대전을 다룬 전쟁영화를 통해 구축한 영웅으로서의 미국군인 이미지에 균열을 일으켰던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이 영웅 이미지의 균열이 한국전쟁 기간 동안 제작된 할리우드의 한국전쟁 영화 속 미국군인의 재현방식을 지배했던 것은 아니다. 반대로 할리우드의 한국전쟁 영화는 다음 세 가지 목적을 위해 제작되었다. 균열된 이미지의 회복, 동아시아 내 미국의 정치적 중요성의 선전, 그리고 미국의 한국전쟁 참전의 정당화. 본 논문은 할리우드의 제작사들이 어떠한 정치적 그리고 산업적 배경 속에서 한국전쟁 영화를 제작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에서 출발해, ‘회복’, ‘선전,’ 그리고 ‘정당화’라는 이 세 가지 목적이 할리우드 한국전쟁 영화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철모 The Steel Helmet> (사뮤엘 퓰러 Samuel Fuller, 1951)와 <전장의 서커스단 Battle Circus> (리차드 브룩스 Richard Books, 1953), 이 두 편의 영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During the Korean War,1950-1953, Hollywood made about thirty-two feature films, most of which were co-produced with the Department of Defense. The image of American soldiers during the Korean War, as many historians claim, was both part of that of the American soldiers in the World War II and somewhat different. Agony, sorrow, discouragement, and fear formed their war experience in the distant country of Korea. These images were captured by war correspondents such as David Douglas Duncan and effected not only the ways in which the public were to see the war, but also how the Truman administration managed the war. The previous studies on Hollywood’s Korean war movies have focused particularly on these questions: why such different images appeared, how the U.S government responded to them, and how these images changed during the course of the war. But,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from which these negative images came originally and how Hollywood’s Korean war movies tried to bring it back to the heroic image of the American soldier during World War II. By analyzing two Hollywood’s Korean War films, The Steel Helmet and Battle Circus, this paper will show how and why the image of the American G.I as victims was put into Hollywood’s Korean war movies that were made during the Korean war and how it was recovered to its original status in the history of American G.I., the comeback hero.

      • KCI등재

        영화역사학의 기술적 전환

        정찬철(Chancheol Jeong) 한국영화학회 2017 영화연구 Vol.0 No.72

        첫 번째, 본 논문은 어떠한 이유에서 영화 역사의 기술적 전환이 오늘날 디지털 영화 시대에 들어서 요구되는지를 설명하며, 기술적 전환이 던지는 영화, 기술, 그리고 역사에 관한 중요한 물음의 갈래를 소개한다. 둘째, ‘영화기술사’에서 ‘기술적 영화사’로의 기술적 전환을 위해 그 동안 특별한 구분을 하지 않았거나, 부수적인 것으로 간주된 ‘기술로서의 영화’를 하나의 단일한 개념으로 그리고 타자화된 개념으로 바라보는 인식적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도구 혹은 수단의 관점으로 영화와 예술에 개입한 기술에서 벗어나, 앞서 질문했던 것처럼, 예술, 문화, 사회적 매체로서 영화의 개념에 차이와 단절을 창출한 요인으로서 기술에 대한 이해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영화의 역사에 대한 기술 결정론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기술적 전환’을 위한 두 가지의 학문적 실천으로 ‘테크노-시네마’와 ‘테크노-시네마-아트’를 제안한다. The technological turn in the historiography of cinema is here introduced as a way to re-investigate ‘what is cinema?’, the ontological question concerning cinema, not only in terms of its aesthetic values, but more rather in terms of its technological identities. The concept offers an insight into how to think cinema archaeologically from its beginning to its transition to post-cinema in the age of algorithmic reproduction. Among others who suggested various theories, methods, and ideas on the definitions of cinema as technology and art, which is conceptualized as techno-cinema and techno-cinema-art, this paper focuses on the French filmmaker and theorist Jean Epstein’s guidance. Based on Epstein’s ideas on cinema as technology and art, this paper will explore how to do the technological turn in cinema studies.

      • KCI등재

        완전영화의 테크놀로지: 바쟁, 시네마스코프, 공간영화

        정찬철 ( Jeong Chancheol ) 한국비교문학회 2019 比較文學 Vol.0 No.78

        바쟁은 영화가 소리와 컬러와 깊이감의 테크놀로지를 통해 이르지 못한 사실주의 경지에 비로소 시네마스코프를 통해 완전히 도달 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바쟁에게 시네마스코프는 완전영화라는 절대적이고 초월적인 리얼리즘의 완성을 현실화할 수 있는 바로 그러한 완전한 테크놀로지였다. 이 논문은 『영화란 무엇인가?』에서는 파편적으로 읽을 수밖에 없었던 완전영화와 영화 테크놀로지의 관계, 혹은 보다 보편적으로 영화와 테크놀로지에 대한 바쟁의 사유를 더들리 앤드류(Dudley Andrew)가 엮고 번역한 『앙드레 바쟁의 뉴미디어 Andre Bazin’s New Media』에 실린 시네마스코프와 시네라마 그리고 3D 영화에 관한 글을 통해 분석한다. 첫째, 본 논문은 바쟁이 어떠한 이유에서 시네마스코프를 완전영화의 테크놀로지로서 간주했는지를 3D와 시네라마에 대한 바쟁의 비판적 시각과 비교해 들여다볼 것이다. 둘째, 본 논문은 바쟁이 완전영화를 구성하는 영화적 이미지로서 제시한 ‘공간영화 the cinema of space’ 개념을 바쟁의 기존의 영화적 공간에 대한 이해와 접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공간영화’의 현재적 의미를 뉴미디어의 ‘몰입감’과 연결하고자 한다. Andre Bazin argued that the emergence of CinemaScope, Cinerama, and 3D in the 1950s opened the era of a cinema of space where the integrity of the real is to be restored truly spatially beyond spatialised time, the form of montage. He envisioned the complete rendering of space with the spectator’s participating perception and, in this respect, took the immersive screen technologies decisive steps toward his concept of total cinema. Bazin, however, thought that the cinema of space might not be completed even with all the cinematic images available in the age of film. In this paper, I will introduce Bazin’s concept of ‘cinema of space’ that he envisioned through the immersive screen technologies of the 1950s as it can be associated not only conceptually but also practically with the immersive nature of post-cinematic images in the 21<sup>st</sup> century.

      • KCI등재

        회전하는 이미지(들) : 시네마, 모빌리티, 모더니티

        정찬철(Jeong, Chancheol)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0 No.27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history of cinema in terms of its technological conditions. The medium of cinema is a technological complex, comprised of various technological elements such as the lens, film, electricity, and light. This paper will look into the history of cinema’s emergence in the age of modernity through, among others, the technologies of rotating images. This is because the rotating is a dynamic which made the medium to operate as are the gramophone, magnetic tape, and video tape recorder. Also this is because the rotating produces the specificity of the medium of technological reproduction. Firstly, this paper will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film history to turn from the history of cinematic representations to that of rotating images technologically. Secondly, the pre-cinema will be revisited by focusing on the technolgy of rotating sequential images. Finally, this paper explores the socio-cultural aspects of cinematic mobility by relating it with automotive vehicles and their effects of crash, and the cinema as ultra spatiotemporal medium, by analyzing early films about car explosions or crashes and Dziga Vertov’s A Sixth Part of the World (1926) and The Eleventh Year (1928).

      • KCI등재

        해외 로케이션 영화의 글로컬 알레고리, 1980∼1987

        정찬철(Jeong, Chan Cheol),정태수(Jeong, Tae Soo)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통일인문학 Vol.67 No.-

        본 연구는 1980~1987년 사이에 유행처럼 제작되었던 ‘해외 로케이션 영화’를 들여다본다. 이 시기 동안 제작된 해외 로케이션 영화 속의 이국적 도시공간은 이전과 달리 단지 배경으로만 존재하기보다는 직접적으로 로컬의 정체성, 역사적 그리고 정치적 서사와 결속되었다. 로컬의 서사는 이민자, 혼혈아의 자기 정체성과 같이 80년대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었던 역사적이고 정치적 양상을 지닌 공동체적 경험이었다. 특히 이민자의 서사를 다루었던 <상한 갈대>(유현목, 1984)와 <깊고 푸른 밤>(배창호, 1985)은 한국인 이민자의 민족적 그리고 인종적 정체성 혼돈의 기호와 징후 사이에서 한국과 미국의 식민지적 관계, 즉 지배와 피지배의 이분법적 관계를 드러내는 데만 머물지 않고, 자신의 민족적 정체성과 길항하는 이민자 개인을 통해서 민족이라는 튼튼하고 균일한 질서에 균열을 일으킨다. 또한 이 시기 해외 로케이션 영화는 외화쿼터획득을 목적으로 한 ‘졸속영화’의 제작과 에로영화로 물든 1980년대 한국영화 산업의 질적 부흥을 위한 영화적 ‘기획’이었다. 게다가 대부분 해외 로케이션 영화는 일반 영화의 3, 4배의 예산이 투자되었던 ‘대작’ 영화였다. 따라서 해외 로케이션 영화 속의 해외 도시공간은 무엇보다도 한국관객의 시각을 충족시킬 수 있는 명승지와 화려한 풍경과 같은 이국적 볼거리이어야 했다. 제작사는 이국적 도시 이미지를 통해 졸속영화의 제작과 에로영화의 범람으로 인해 줄어든 영화관객을 되찾고 싶었던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첫째, 이 시기 해외 로케이션 영화에 등장하는 글로벌 도시공간은 제작사의 상업적 목적 속에서 전략적으로 선택된 공간이다. 둘째, 이 시기 해외 로케이션 영화의 글로벌 도시공간은 ‘글로컬 Glocal’ 공간이다. 왜냐하면 한국인 이민자의 자기 정체성과 떠나온 민족 사이의 갈등이 표출됨으로써, 글로벌 도시공간은 ‘글로컬’ 이라는 혼성적 공간으로 변화되기 때문이다. 특히, 글로컬 도시공간은 민족 서사로 봉합되는 전체 서사 내부에서 균열적인 탈민족 서사로 재독(Re-reading)할 수 있는 지배적 기호로 작동한다는 점에서 글로컬 알레고리가 된다. During the period from 1980 to 1987, Korean film industry was in crisis. The industry lost touch with the public as it made what the 5th Republic wanted movies that ideologically helped the regime’s political and cultural projects to settle down its authority. For this aim, the Regime’s tool was its annual film rule that film production had to follow and reflected in order to get any ticket to import foreign movies by which they survived. In such political and cultural conditions, a strategy of filmming abroad emerged among leading film productions to meet the Regime’s film politcy and also their attempt to get back the lost public by making good films. It was successfully as it became a boom. What was interesting was that international location movies brought in a new space into Korean cinema, foreign urban spaces that related with the local, Korean’s collective memories such as the Korean War, immigration into America. What more interesting was that such local narratives in global urban spaces revealed that the Regime want to reshape such images of Koreans in global spaces into nationalist ones. This paper claims that international location moves of this period were the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Regime’s political and cultural project to strengthen the Korean nationalism.

      • KCI등재

        포스트시네마로의 전환

        정찬철(Chancheol Jeong) 한국영화학회 2015 영화연구 Vol.0 No.64

        21세기에 들어서 영화는 디지털 기술의 유입으로 완전히 변했다. 필름은 CCD와 DMD로, 필름의 입자(Grain)는 픽셀(Pixel)로, 그리고 현상액은 소프트웨어로 전환되면서, 새천년과 함께 영화의 제작, 배급, 그리고 상영에 이르는 모든 단계가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했다. 이 전환이 단순히 기술적인 차원에만 머무는 것은 아니다. 이는 지금까지 ‘영화적인 것’이라고 알려진 것들이 변화하는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전환이다. 스티븐 쉬비로는 이러한 변화를 새로운 영화 체계의 등장, 즉 ‘포스트시네마’의 등장을 보여주는 징후로 보았다. 이 새로운 영화체계의 등장을 역사화하고 개념화하기 위한 시도에서 본 논문은 필름의 종언과 포스트시네마 시대로의 전환, 그리고 이 전환의 징후에 관한 논의를 매체사적인 관점에서 논의한다. Over the last two decades, what we called cinema was thoroughly changed by digital technology. Film was replaced by CCDs, grain with pixels, and chemicals with software. These changes were not simply technical ones, but rather something that, in the Benjaminian sense, was profound to be able to liquidate what had been known as cinema. They have been massive enough to shape the gradual emergence of a different cinematic regime, which Steven Shaviro called a post-cinema movingimage regime, than those which dominated the twentieth century, the film. As one of the attempts to theorise and historicise such a new cinematic regime and its birth, first, this article discusses the fin de siecle pronouncements of film’s death, and secondly, cinema’s transition from celluloid-based moving images to digital moving images. Finally it explores the decay of cinema’s physical reality in the age of digital filmmaking as a symptom of the emergence of the post-cinematic age.

      • KCI등재

        할리우드가 재현하는 한국전쟁과 미국군인, 1950-1953

        정찬철 ( Chan Cheol Jeong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4 동북아연구 Vol.29 No.1

        한국전쟁이 할리우드가 2차 세계대전을 다룬 전쟁영화를 통해 구축한 영웅으로서의 미국군인 이미지에 균열을 일으켰던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이 영웅 이미지의 균열이 한국전쟁 기간 동안 제작된 할리우드의 한국전쟁 영화 속 미국군인의 재현방식을 지배했던 것은 아니다. 반대로 할리우드의 한국전쟁 영화는 다음 세 가지 목적을 위해 제작되었다. 균열된 이미지의 회복, 동아시아 내 미국의 정치적 중요성의 선전, 그리고 미국의 한국전쟁 참전의 정당화. 본 논문은 할리우드의 제작사들이 어떠한 정치적 그리고 산업적 배경 속에서 한국전쟁 영화를 제작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에서 출발해, ‘회복’, ‘선전,’ 그리고 ‘정당화’라는 이 세 가지 목적이 할리우드 한국전쟁 영화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철모 The Steel Helmet> (사뮤엘 퓰러 Samuel Fuller, 1951)와 <전장의 서커스단 Battle Circus> (리차드 브룩스 Richard Books, 1953), 이 두 편의 영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During the Korean War,1950-1953, Hollywood made about thirty-two feature films, most of which were co-produced with the Department of Defense. The image of American soldiers during the Korean War, as many historians claim, was both part of that of the American soldiers in the World War II and somewhat different. Agony, sorrow, discouragement, and fear formed their war experience in the distant country of Korea. These images were captured by war correspondents such as David Douglas Duncan and effected not only the ways in which the public were to see the war, but also how the Truman administration managed the war. The previous studies on Hollywood’s Korean war movies have focused particularly on these questions: why such different images appeared, how the U.S government responded to them, and how these images changed during the course of the war. But,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from which these negative images came originally and how Hollywood’s Korean war movies tried to bring it back to the heroic image of the American soldier during World War II. By analyzing two Hollywood’s Korean War films, The Steel Helmet and Battle Circus, this paper will show how and why the image of the American G.I as victims was put into Hollywood’s Korean war movies that were made during the Korean war and how it was recovered to its original status in the history of American G.I., the comeback hero.

      • KCI등재

        구조 및 입체 이성질체 디아민 함유 폴리이미드의 구조-특성 상관관계

        유환(Hwan-Chul Yu),정재우(Jae-Woo Jung),정진원(Jin-Won Jeong),정찬문(Chan-Moon Chung) 한국고분자학회 2015 폴리머 Vol.39 No.6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구조의 2무수물과 디아민 이성질체를 사용하여 폴리이미드를 합성하고, 폴리이미드의 화학구조-특성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2무수물로서는 방향족과 지방족 구조를 사용하였고, 디아민은 phenylenediamine과 diaminocyclohexane 화합물의 구조 및 입체 이성질체 구조를 사용하였다. 합성된 폴리이미드의 용해성, 광투명성, 열적 특성 등을 조사하여 구조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1,2 디아민 함유 폴리이미드는 1,4 디아민 함유 폴리이미드에 비하여 용해성과 광투명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1,2 디아민의 도입이 더 불규칙하게 구부러진 폴리이미드 구조를 가지게 하여 조밀한 분자 쌓임을 방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분자간의 인력을 약화시킨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지방족 디아민의 경우 trans < cis < trans-cis mixture의 순으로 폴리이미드의 광투명성이 높아지고 유리전이온도(Tg)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도 상기의 순으로 조밀한 분자 쌓임이 더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Polyimides have been prepared from a variety of dianhydrides and isomeric diamines, and their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 has been studied. Aromatic and aliphatic dianhydrides were reacted with constitutional and stereo isomers of phenylenediamine and diaminocyclohexane. Solubility behavior, optical transparency,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polyimides were investigated and the effect of their chemical structure on the properties was studied. Polyimides based on 1,2 diamines showed higher solubility and higher optical transparency than those of 1,4 diamine-containing polyimides. This is probably attributed to more irregularly bent structures of 1,2 diamine-based polyimides. The bent structure would result in less close chain packing, and consequently, weaker intermolecular interactions between polyimide chains. In the cases of aliphatic diamine-based polyimides, optical transparency increased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ecreased in the order of trans, cis, and trans-cis mixture. This is also attributable to decrease in the degree of close chain packing in the same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