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하버마스와 아도르노의 자유론

        정진범(Jinbum Chung) 사회와철학연구회 2021 사회와 철학 Vol.- No.42

        이 연구는 리벳의 실험에 기반하여 지난 2000년대 초중반 독일에서 이루어진 자유의지-결정론 논쟁을 재조명하면서, 이 논쟁에 대한 하버마스의 입장 및 그의 아도르노 해석을 다룬다. 먼저 이 논쟁의 근대적 틀을 제시한 칸트의 제3이율배반론을 간략히 살핀 뒤, 이를 하버마스와 아도르노가 어떤 식으로 계승하며 자유의지를 옹호하고 있는지, 또 하버마스와 아도르노의 근본적인 입장 차이는 무엇인지를 밝힐 것이다. 하버마스와 아도르노는 모두 칸트의 초월론적 자유 이념이 전제하는 두 세계 이 원론에 반대하면서, 인간적 자유는 자연 속에서, 그리고 자연에 의하여 조건 지어진다고 이해하고 있다. 이 점에서 하버마스와 아도르노는 모두 조건적 자유의 옹호자이다. 반면 자유의 조건성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이들은 상이한 관점을 견지한다. 하버마스에게서 자유의 조건성은 근본적으로 행위의 근거로 설명된다. 반면 아도르노에게서 자유의 조건성은 합리화될 수 없는 주체 내적 행위 동인으로서의 충동을 의미한다. 하버마스의 이성 중심적 자유론과 아도르노의 탈중심적 자유론은 각각 칸트의 이율배반론이 갖는 의미를 보존하되, 오늘날 실천적 자유를 보다 설득력 있게 해명하기 위한 두 가지 상이한 시도라는 의미가 있다. 특히 아도르노의 자유론은 이성 중심성을 떠나서 자유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단초를 제공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In Germany in the 2000s the debates on free will and determinism took place, which were stimulated by the results of Libet’s experiment. This study deals with Habermas’ position about the debates and his interpretation of Adorno. Kant’s doctrine of third antinomy will be treated first because it provides the modern framework for the debates. Then it will be explained how Habermas and Adorno adopt Kant’s thought and defend free will, and what kind of differences there are between Habermas and Adorno. Both are against the two-worlds doctrine presupposed by Kant’s idea of transcendental freedom, and agree that human freedom exists in nature and is conditioned by nature. In this sense, they are the defenders for conditional freedom. However, they represent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conditionality of freedom. For Habermas, the conditionality of freedom means the reasons for the action. For Adorno, however, it means impulse as a motive for action that cannot be rationalized. Habermas’ reason centered theory of freedom and Adorno’s decentralized theory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hat pays attention to the significance of Kant’s classical insight in the third antinomy and at the same time convincingly explains the practical idea of freedom today.

      • KCI등재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의 음악창작 교수·학습 방안

        정진원 ( Chung Jin-won ),석문주 ( Seog Moon Joo ),오지향 ( Oh Jihyang ),이수진 ( Lee Soojin ),최미영 ( Choi Mi Young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1 미래음악교육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Covid-19 상황 이후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온라인 연계 음악학습 방법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 접근을 위한 시도로서 앱 기반 음악창작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음악학습의 장·단점과 함께 창작학습 모형을 상상과 탐색, 계획과 구성, 수정과 정련, 그리고 발표와 공유의 네 단계로 구성하였다. 창작학습 모형에 맞게 음악 앱의 다양한 기능들을 구조적으로 연동할 수 있는 창작 단계별 앱 활용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기 위한 교수ㆍ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 기대할 수 있는 학습 특성들이 특히 음악창작 학습에 있어서 많은 가능성을 함의하고 있다는 것과 온라인 학습 환경은 음악학습 전반에 긍정적 변화 동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드코로나 시대에 맞는 음악학습 영역의 확장을 위해 음악교과에서 온라인 학습 공간 및 다양한 음악 앱 활용에 대한 다각도의 이론과 실천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 online music learning method, which is continuously required after the Covid-19 situation, and to propose an app-based music cre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s an attempt to approach it. In the study, along with the pros and cons of music learning in an online learning setting, the creative learning model consisted of four stages: imagining and exploring, planning and making, revising and refining, and presenting and sharing is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the creative learning model, the application of creative stages that can structurally link various functions of the music app was presented,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suggested to utilize it.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that can be expected in the online learning situation imply many possibilities, especially in music creative learning, and that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can act as a positive changing driver in the overall music learning. In order to expand the field of music learning suitable for the living with Covid-19 plan, research and discussion on various theories and practices on the use of online learning setting and various music apps in music subjects will be necessary.

      • KCI우수등재

        자기보존의 역설과 그 사상적 기원

        정진범(Jinbum Chung)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2

        자기보존의 역설은 『계몽의 변증법』 의 주요 테제 중 하나이다. 그에 따르면 인류의 역사는 자기보존의 역사이자 동시에 자기파괴의 역사라는 것이다. 이 논문은 『계몽의 변증법』에서 제시된 자기보존 개념이 갖는 독특성에 주목하면서, 그것을 기존 자기보존 개념의 사상사적 맥락으로부터 고찰함으로써 그 역사적 고유성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논문의 테제는 니체의 사상이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의 자기보존 개념의 숨겨진, 그러나 중요한 역사적 원천이라는 것이다. 사상사적 맥락에서 볼 때 니체가 자기보존 개념에 한 기여는 이 개념을 현 상태에의 머무름과 새로운 상태로의 도약으로 나누었다는 데에 있다. 그러나 이 내적 분화는 두 상태 사이의 긴장과 대립을 함축하게 되며, 거기서 자기파괴의 가능성이 함께 나타나게 된다. 니체에 의해 다만 건드려지기만 했던 이 가능성이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에 의해 주제화된다.

      • KCI등재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의 영향 변인

        정진자 ( Jin Ja Chung ),임명희 ( Lim Mung H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7 No.4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의식의 차이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북지역 대학생 109명(장애대학생 39명, 일반대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의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첫째,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장애유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대학생이 비장애대학생에 비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성숙도는 독립변인 중 장애유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즉진로성숙도에서 일반대학생에 비해 장애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낮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the self-efficacies for career decision and career-maturities of college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paper researches and analyzes the self-efficacies for career decision and the career-maturities from 109 college students (39 disabled students, 70 able-bodied students) in Jeollabuk-do. These are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study. The first, the comparative study discloses that a physical disorder has influence on the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 A disabled student shows a negative attitude about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 A physical disorder has influence on the subordinate-spheres; to collect job information, to set a goal, and to evaluate oneself. A disabled student shows a negative attitude more than an able-bodied student does. There is no variable influence on other subordinate-spheres; to set a plan and to solve a problem. The second, a physical disorder among independent variables has influence on career-maturity. A disabled student has a lower career-maturity than an able-bodied student has. There are no variables to have influence on a decisive attitude, a compromise attitude an inclination among the subordinate-spheres. A disabled student has a lower independent spirit and a lower participation attitude which shows the rate of an active participation in process of decision one``s way than an able-bodied student has. The differences come from difference school years also. This paper has some limited areas. The first, there is no balance of sex and number of research object from each school year. The second, there is no enough number of disabled student to compare each disorder case The third, there is a difficulty to compare each religion and to compare each school department because there is no control of variable according to religions and school departments.

      • KCI등재

        전환학습을 통한 적응학습에서 임파워먼트와 네트워킹의 영향 및 팀 요인의 조절효과

        정진아 ( Chung Jin Ah ),한태영 ( Han Tea Young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7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4 No.2

        변화의 요구가 일상화된 시대에 조직구성원의 지속적 학습은 조직효과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Arneson, 2006). 이러한 관점에 입각해서 본 연구는 서비스업 종사자들의 지속학습과정을 연구하여 전환학습을 통한 적응학습에 이르는 과정을 검증하였다. 개인수준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네트워킹이 각각 전환학습에 주는 영향을 검증하여, 순차적으로 적응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전환학습과 적응학습의 관계에서 팀 수준 변수인 팀 학습풍토와 팀 지식특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교차수준의 영향력을 연구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서 45개의 팀에서 198명의 서비스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개인 및 팀 수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과정에 대한 모형은 AMOS를 사용하고, 개인 및 팀 수준의 관계는 HLM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전환학습을 통해 적응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 매개로 확인되었으며, 네트워킹이 전환학습을 통해 적응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전환학습과 적응학습의 관계에서 팀 수준인 팀 학습풍토와 팀 지식특성의 조절효과는 각각 유의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속학습활동을 자극할 수 있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of members in organizations contributes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imes of ever-changing demands(Arneson, 2006). Based on this viewpoin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of service personnel and the process toward adaptive learning through transformative learning. At the individual level,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networking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ir effects on adaptive learning. At the team level, team learning climate and team knowledge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formative learning and adaptive learning, as cross-level moderators. In order to test the research model, individual and team level surveys were conducted to 198 service personnel in 45 teams. AMOS was used to examine the model for the learning process, and HLM was used to analyze the moderation effects at the team level. The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adaptive learning through transformative learning was confirmed by partial mediation, whereas the effect of networking on adaptive learning through transformative learning was not significant.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team learning climate and the team knowledge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ition learning and the adaptive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provi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stimulate the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 SCIESCOPUSKCI등재

        폴리감마글루탐산 및 구연산을 혼합한 인산칼슘 시멘트의 역학 및 생물학적 분석

        정진화 ( Jin Wha Chung ),김정만 ( Jung Man Kim ),김승수 ( Sung Soo Kim ),권순용 ( Soon Yong Kwon ) 한국조직공학·재생의학회 2009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Vol.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nd evaluate the injectable alpha tricalcium phosphate(α-TCP) cement mixed with poly-gamma-glutamic acid(PGGA) and citric acid. α-TCP and PGGA component powders and citric acid solution were prepared. After mixing each 5, 10 and 15 wt% PGGA with α-TCP powder, the best match was decided by mechanical study. And then studies of initial setting time, pH, released calcium ion, mechanical strength, dynamic viscosity were done after mixing each 5, 10 and 15 wt% citric acid solution with α-TCP cement incorporated with 10 wt% PGGA. Also, cell proliferation assay using osteoblast and confocal microscope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10 wt% PGGA mixed with α-TCP cement was the best mechanical strength(compression strength; 50 MPa & diametral tensile strength; 18 MPa), but the initial setting time was about 90 minutes. After mixing various weight percents of citric acid, mixing with 10 wt% citric acid showed 80 MPa of compression strength, 22 MPa of diametral stensile strength and 5 minutes of initial setting time. As compared to control(MIIG™ 115), this match showed higher absorbance in cell proliferation assay, more individualization of actin and more activation of integrin in confocal microscope. Conclusively, α-TCP cement mixed with 10 wt% PGGA and 10 wt% citric acid showed good mechanical and biologic results. This study can be applied clinically to making injectable calcium phosphate cement bone substitute.

      • KCI등재

        고려인 · 사할린 한인과 한국인의 역사연대와 문화통합

        정진아(Chung, Jin A)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통일인문학 Vol.61 No.-

        한반도에는 식민과 이산, 분단의 역사가 지속되고 있다. 남과 북의 주민뿐만 아니라 일제의 지배로 인해 동아시아 지역에 흩어져 살던 코리언 디아스포라 또한 두 분단국가의 강력한 구심력과 지역적인 체제 분단과 대립의 자장에 영향을 받으면서 자신의 삶과 역사를 구축해왔다. 지금까지 동아시아의 식민과 지역적 분단에 대한 성찰과 문제제기는 많았지만, 동아시아에서 한(조선)민족의 식민과 이산, 분단의 상처에 대해서 논의하고, 이에 대한 극복과 통합의 방안을 모색하는 논의는 거의 없었다. 남북의 주민과 동아시아의 코리언 디아스포라는 식민과 분단, 냉전의 역사 속에서 신음해왔다는 공통점을 가지지만, 서로에 대한 역사기억은 어긋나있다. 고려인은 항일운동과 러시아혁명, 사회주의 소련 건설의 주역으로서, 사할린 한인은 일제 강제징용의 희생자로서 자기 역사를 정리해왔다. 한국인은 사할린 한인에 대해서는 일본 제국주의의 피해자라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지만, 한국과 적대적이었던 소련의 충실한 국민으로 살아왔던 고려인에 대해서는 조국을 배신한 ‘배신자’라는 담론을 강하게 투영하고 있다. 어긋난 역사기억은 코리언의 통합을 저해하고, 민족 내부의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 어긋난 역사기억이 코리언의 문화 공존과 통합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남한 중심의 획일적인 역사에서 벗어나 코리언의 다양한 역사로 민족사를 재정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고려인, 사할린 한인과 한국인의 문화 공존과 통합은 같은 혈연과 민족이라는 당위성이나, 민족 내부의 위계 속에서 다수와 주류에 일방적으로 적응하도록 강요하는 것을 통해서는 만들어질 수 없다. 민족사의 재구성과 역사연대를 통해 역사적 존재로서 민족을 성찰하고, 불가항력적인 역사 속에서 분열되었던 민족 구성원 간의 차이와 상처, 그들의 성장과정을 온전히 이해하며, 연대하고자 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가르치고 배울 때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코리언의 역사연대는 식민과 이산, 분단, 전쟁과 냉전으로 인해 찢기고 상처 입은 동아시아 코리언의 민족적 자존심을 북돋고, 서로를 역사와 문화를 깊이 이해하는 과정이자, 코리언 문화 공존과 통합의 토양이 될 것이다. The Korean Peninsula is still in the middle of continuing history of colonization, diaspora, and division. Not only the residents of South and North Korea but also Korean Diaspora scattered around East Asian regions during th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have been establishing their own life and history under the influence of the powerful centripetal force of the two divided states and within the magnetic field of division and confrontation among the regional regimes. There have been many reflections and issues raised on the colonization and regional division of East Asia, but few discussions have been made on the wounds of colonization, diaspora, and division of Korean people in East Asia, and few efforts have been made to overcome the wounds and to promote integration. South and North Korean residents and Korean Diaspora in East Asia share the commonality that they have struggled through the history of colonization, division, and the Cold War, but their memory of history goes against each other. Goryosaram has constructed their history as the heroes of the anti- Japanese campaigns, the Russian Revolution, and the construction of the socialist Soviet Union, and Sakhalin Koreans as the victims of forced conscription by Japan. In contrast, South Koreans have formed the consensus that Sakhalin Koreans are the victims of Japanese imperialism, but their perception of Goryosaram strongly projects the discourse of ‘betrayer’ unfaithful to the homeland as they were faithful to the Soviet Union that was hostile to Korea. Such conflicting memories of history undermine the integration of Koreans and instigate conflicts within Korean people. In order to prevent conflicting memories of history from hindering the cultural co?existence and integration of Koreans, it is required to reconstruct ethnohistory by getting away from the South?North Korean?centered fixed history and accommodating various histories of Koreans. That is, the cultural co?existence and integration of Goryosaram, Sakhalin Koreans, and South Koreans cannot be attained merely by appealing to the sameness of blood or ethnicity or by adaptation forced one?sidedly by the majorities and main streams in hierarchy within the nation. They can be achieved when we reflect the people as historical beings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ethnohistory and historical unity, understand fully differences among different groups of Koreans, their wounds, and the process of their growth, and teach and learn with a desire for solidarity. In this sense, the historical unity of Koreans will encourage the national pride of Koreans in East Asia who have been torn down and wounded by colonization, diaspora, division, wars and the Cold War, promote deeper understanding of each other’s history and culture, and provide rich soil for the cultural co?existence and integration of Kor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