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콜라주 미술치료가 요양시설 치매노인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진숙,이근매 한국미술치료학회 2010 美術治療硏究 Vol.17 No.1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콜라주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문제행동을 가진 12명의 치매노인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으로 구성하였고, 실험집단에게는 주 2회 총 15회기의 집단콜라주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치매노인의 문제행동사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t-test, paired t-test이다.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각 회기별로 연구대상들의 문제행동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치매노인의 문제행동에 대한 사전-사후 분석결과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콜라주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문제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특히 반복질문이나 소음을 내는 등의 반복행동을 하는 초조성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으며 화를 내거나 큰 소리를 내는 공격성이나 간호에 대한 저항도 줄어들었다. 둘째,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콜라주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회기별에 따른 치매노인의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회기가 진행되면서 집단원 간에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부정적인 언어가 줄어들며 불안이나 초조성으로 인해 일어나는 문제행동들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콜라주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요양시설에 있는 치매노인의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초 나타났다. Research instrument used to measure the behavioral changes and to observe the effect, of which the data has been comparatively analyzed using the t-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hough behavior problems record shee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behavior problems of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post-test compared with the pretest. Second, collage group art therapy has changes to positive behavior of elderly with dementia as the therapy sessions went by. As the therapy progressed, they were able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more readily, there was reduction in use of negative words, and decreased their behavior problems caused by uneasiness or fretfulnes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collage group art therapy by Recollection Techniques program for elderly with dementia has a significant effect in deceasing their behavior problems. Furthermore, this program could be used to help reduce behavior problems and prevent progress of dementia for those who are at the nursing home.

      • KCI등재후보

        모빌리티 로컬 Mobility Local의 관점에서 본 오정희의 「중국인 거리」

        정진숙,유춘동 (재)한국연구원 2023 한국연구 Vol.- No.13

        Th is article is to examine how Oh Jung-hee’s novel Chinese Street focuses on migrants on the border after the Korean War from the perspective of mobility. While the focus of modern mobility is on means of transportati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hysical, social, geographical, and physical movements of migrants who have not been suffi ciently studied by textual research. John Urry’s book Mobility discusses the joy and pain people get from moving, which come from people, things, and information. Whil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delicate representation of middle-aged women in Oh’s novels,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geographical movement of ‘father’ and the process of physical movement of ‘I’ are depicted. Th erefore, this paper presents various and new horizon movements in the backdrop of Chinese Street. 이 글은 오정희의 소설 「중국인 거리」를 존 어리(John Urry, 1946~2016)가 제시한 모빌리티의 주요 이론을 적용하여 작품의 면모를 살펴본 것이다. 「중국인 거리」는 한국 전쟁이 끝난 직후에 인천의 차이나타운을 배경으로, 주인공의 성장 과정과 당대의 사회·생활상을 작가의 섬세한 시선으로 그려낸 수작으로 평가받는 작품이다. 이 소설은 그동안 여성문학의 관점이나 성장소설의 시각에서 주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주인공이 고향에서 인천 차이나타운으로 이사 온 것을 계기로 작품이 진행되고 그 의미가 부각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모빌리티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이 작품의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방법론을 통한 작품의 분석은 이 작품을 입체적이면서 다각도로 접근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편의점 PB상품 패키지디자인의 구성요소가 소비자태도 및 구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스낵류를 중심으로 -

        정진숙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4

        우리는 동일 상권 내에 서로 다른 브랜드의 편의점이 위치해 있는 것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국내 편 의점 시장은 다른 오프라인 유통업체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근 5년간 연평균 17%의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이러한 성장은 인구 노령화 및 가족 구성원 수 감소로 근거리, 소량 구매 패턴의 소비문화 변화에 따른 시장 변화에 따른 것으로 업체 간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수익성과 차별화를 높이기 위해 PB상품(Private Brand Products)과 서비스 비중을 꾸준히 확대하면서 질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편의점의 PB상품 중 스낵류를 중심으로 소비자들의 이용형태와 패키지디자인 구성요소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반응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대표 편의점 4개사를 연구범위로 선정하였 다. 연구과정은 첫째 패키지디자인과 소비자태도 및 구매의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국내외 관련서적과 선행 연구논문을 고찰하여 재정리하였다. 둘째 각 편의점의 PB상품의 스낵류 패키지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셋째 설문지를 통하여 인구통계학적 조사와 소비자태도와 구매의도를 조사하였다. 넷째 자료 분석에는 SPSS 프로 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키지디자인의 구성요소 중 일부가 소비자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감도에 따른 구매의도에 양의 상호관계를 확인할 수도 있었다. 따라서 효과적인 마 케팅을 위해서는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요소들을 바르게 선택하고 조합해서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구매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 We can look easily that convenience stores of the different brands are located within the same commercial. The domestic convenience store market is keeping the strong growth of the annual average 17% in spite of the depression of the other off-line distributors for recent 5 years. This growth has been due to changing market conditions caused by near and small purchases-consumption culture followed social changes such as population aging, decreasing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In the fierce competition between distributors, convenience stores are continuing to keep qualitative growth by expanding the weight of PB products and services to get the higher profit and differenti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s and reactions of consumers about the package design elements of the PB snack products in convenience stores. For this study, 4 representative CVS brands were selected. For the first step of this study, it was conducted to survey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package design,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s a second, analysis of package design elements about the snacks of PB products in convenience stores were conducted. Thirdly with the questionnaire, demographical investigation was performed and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were investigated. Lastly, SPSS was used for analysis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package design gives a plus(+) effect on consumer’s attitude. Second, consumer’s attitude gives a plus(+)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it is needed efforts to rightly choose and combinate the visual elements of the package design, which met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r the effective marketing.

      • KCI등재

        대학생의 우울 수준에 따른 ‘자신이 좋아하는 날(FKD)’ 그림검사 반응 연구

        정진숙,김갑숙 한국미술치료학회 2010 美術治療硏究 Vol.17 No.3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material to identify that the FKD(Favorite Kind of Day) test has validity as a diagnosing tool for the depress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by analyzing comparatively and specifically the depression level and FKD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subject is 46 male university students and 107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D city. The research tool is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the favorite weather drawing test. The collected data materials are analyzed by SPSS(ver.17.0 for Windows). The cross tabulation analysis i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FKD responsive characteristics by depression level, and the discriminant analysis ,nits valid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case in FKD responsive characteristic by depress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ace utilization, consistency of expression, quality of line in the whole element, and in the sun, rain in the weather element, and in pink, grey, black in the color element. It means that the depression group uses the space much as a whole, has a so, consistency in expression of weather and background, and uses a breaking and loose line a lot. The group do not express the sun a lot, but express rain a lot, and uses pink, grey, black color. Therefore, it can be possible to say that the FKD test has a reliable validity as a drawing projection tool to diagnose the depress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우울과 ‘자신이 좋아하는 날(FKD)’그림 반응 특성을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FKD 검사가 대학생의 우울 수준을 진단하는 사정도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D시 대학생으로 남학생은 46명, 여학생은 107명, 총 153명이었으며, 측정도구는 Beck의 우울 척도와 ‘자신이 좋아하는 날’그림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7.0 Program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우울 수준에 따라 FKD 반응 특성의 차이검증은 교차분석을, 타당성 검증을 위해서는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우울 수준에 따라 FKD 반응 특성은 전체 요소에서는 공간사용, 사실성, 선의 질, 날씨요소에서는 해, 비, 그리고 색채 요소에서는 분홍, 회색, 검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우울집단은 비우울집단에 비해 FKD 그림에서 공간을 많이 사용하고, 날씨와 배경의 표현의 일치성이 낮으며, 산만하고 끊어지는 선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해를 적게 그리고 비를 많이 그렸으며, 분홍, 회색, 검정색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이 우울수준을 판별하는 정도는 78.3%로 나타났다. 따라서 FKD는 대학생의 우울 수준을 진단하는 그림투사도구로서 타당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