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충성도에 따른 블레이드 앤 소울 게임의 사용자 그룹 행동 패턴 분석

        정지인,송두헌,Chung, Ji-in,Song, Doo He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2 No.10

        게임 고객의 충성도 혹은 재구매 의도를 경영학의 고객 충성도 이론을 적용해 보는 거시적 분석이 있었지만 게임 시스템이 복잡해지면서 흥행에 성공한 특정 게임의 장기 충성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실증적으로 그 게임에 대한 애착과 성공의 원인을 알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2년 출시되어 초창기에 흥행에 큰 성공을 거두고 지금도 점유율 10위권에 자리하고 있는 판타지 퓨전 무협 MMORPG 블레이드 앤 소울의 3년 이상 장기충성 사용자들의 행동 패턴이 1년 미만의 캐주얼 집단, 플레이 경력 1~3년 사이의 집단과 어떻게 다른 지 222명의 피험자에 대해 설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그 게임의 강점으로 알려진 던전 활동, 비무, 전장의 전투 방식과 내용보다는 그 게임 커뮤니티에의 끈끈한 애착이 더 중요했다. 심지어 전투 밸런스의 만족도는 5점 척도에서 모든 그룹이 1점대를 기록하기도 하고 초심자와 장기사용자가 1~3년 사용자보다 전투 레벨이 높은 U-커브를 나타내기도 했다. 이에 다시 148명의 장기 사용자의 설문 분석을 통해 커뮤니티 내 인간관계 형성 요인과 패턴을 조사하였다. There have been researches on game continuance intention based on consumer behaviour theory of management science. Such macro access of computer game analysis might be insufficient to draw valuable results due to complex subsystem structure of recent computer games. In this paper, we choose 'Blade and Soul' game that was first published in 2012 and has been within top 20 MMORPG in Korea but known as a 'long time users' only game'among game players recently. Three user groups - long loyalty, concentrated, casual - are classified based on their play history and play time per day of Blade and Soul. The first survey with 222 subjects revealed that the real strength of the game was not the combat - Dungeon, Arena, Battleground competition - but very cohesive game community Blade and Soul has. Thus, we conduct another survey on the game community issues among 148 long time users (over 3 years playing history) and analyze their traits and behaviour patterns.

      • KCI등재

        미국과 중국 일간지의 ‘천안함 침몰 사건’ 뉴스 보도 비교 분석

        유세경(Sae-Kyung Yu),정지인(Ji-in Chung),이석(Shuo Li)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미디어, 젠더 & 문화 Vol.16 No.-

        본 연구는 천안함 침몰 사건 뉴스보도를 통해 정치ㆍ외교적 이해관계가 뉴스프레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고자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바탕에 두고 있는 미국과 전통적인 사회주의를 신봉하는 중국을 비교대상으로 설정하여 뉴스 프레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국의 『뉴욕타임스』는 중국의 『인민일보』에 비해 약 3배에 달하는 기사를 다루면서 천안함 침몰 사건을 국제적인 중요한 사안으로 틀 지웠다. 뉴스 내용에서도 미국은 천안함 침몰 사건을 대한민국을 피해자로, 북한을 가해자로 사실상 규정지으면서 천안함 침몰 사건은 북한이 의도적으로 저지른 ‘야만적인 행위’이며, ‘악의적 행동’이라 일컬었고, 군사적 보복을 정당화시키는 보도 태도를 보여주었다. 이에 비해 북한과 노선을 함께 하고 있는 중국의 언론은 이번 사건에 대해 최대한 언급을 자제하면서 기본적인 사실 자체만을 보도하거나 북한의 중앙통신사 측의 발언만을 인용하는 등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자국의 정치ㆍ외교적 이데올로기가 국제분쟁에 대한 뉴스프레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보다 객관적이고 심층적인 보도를 위해서 일화 중심적이기 보다 주제 중심적인 보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fluences of political ideology on international news coverage by investigating the news frame of ‘Cheon-an ham attack’ news coverage of New York Times of United States and People’s Daily of China. The results showed that Cheon-an ham news was magnified and made significant by New York Times by reporting 30 times for event period while the news was minimized by People’s Daily by reporting only 14 times. Further more, Cheon-an ham attack was framed differently by demonstrating different headlines, word, and images by two newspapers. New York Times defined Cheon-an ham attack as a terror by North Korea and North Korea should be punished by strong sanction, while People’s Daily defined the Cheon-an ham attack as an accident happened at sea by doubting the North Korea’s attack on Chenon-an ham. Especially People’s Daily represented the North Korea’s argument by quoting the report of North Korea’s central news agency. The findings raise at least same accident can be framed differently by various framing mechanism. Since various framing mechanisms can be used by the political ideology of newspaper, more efforts need to be focused to objective international news reporting.

      • KCI등재

        3D 영상의 입체성이 콘텐츠 특성에 따라 이용자의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임소혜(Sohei Lim),정지인(Ji-In Chu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6

        영상 콘텐츠가 2D와 3D의 다른 차원에서 재현되었을 때 수용자의 심리적 반응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보다 종합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는 유인가와 각성과 같은 콘텐츠의 내용적 특성이 영상의 입체성과 연계되어 수용자의 자기보고식(self-report) 설문과 수용자의 생리심리학적(psychophysiology)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동일한 영상이라도 3D로 시청하였을 때 수용자의 피부전도계수(SCL)는 유의미하게 높았던 반면, 심장박동(HR)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3D 영상에서 수용자의 실재감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인지적 정보처리를 표식하는 회상기억에서 입체성에 따른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수용자의 실재감과 이용의사에서 콘텐츠의 내용적 특성 중 유인가가 입체성과 상호작용효과를 보였다. 부정적인 콘텐츠는 3D 영상에서 긍정적인 콘텐츠는 2D 영상에서 보다 높은 실재감과 이용의사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3D 영상 산업의 발전을 위해 영상의 입체성과 콘텐츠의 속성이 가지는 상호관계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re has been growing academic interest in revealing the effect of 3D stereoscopic displays, mostl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3D would enhance the media user’s psychological experiences. A 2(Display: 2D, 3D) x 2(Arousal: High, Low) x2(Valence: Positive, Negative) within-between subject experimental design, including both psychophysiological and self-report measurements, was employed to investigate if valence and arousal of the media content interact with the 3D stereo display. The results confirmed that 3D stereo significantly enhances the viewer’s skin conductance level, while no meaningful difference for HR was found across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he viewer’s recall memory did not differ depending on the display type either. However, the viewer experienced a greater level of presence and liking of the content when the negative content was displayed in 3D stereo in comparison with the positive content.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말기암환자의 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과 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요인

        이재리,이정권,황선진,김지은,정지인,김시영,Lee, Jae-Ri,Lee, Jung-Kwon,Hwang, Sun-Jin,Kim, Ji-Eun,Chung, Ji-In,Kim, Si-Yo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2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완화의료를 위해서는 완화의료 대상자에 대한 판단을 하고 완화의료를 직접 시행하거나 완화의료에 자문/의뢰하는 의료인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암환자를 주로 진료하는 의사들의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2010년 5월부터 6월까지 암환자를 주로 진료하는 전문의 477명을 대상으로 무기명 자기 기입식 웹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결과: 총 128명(26.8%)이 응답하였고, 설문에 응답한 모든 의사들은 말기암환자에게 완화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80% 이상의 응답자들이 '3차 의료기관 및 암센터는 완화의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진행 암환자는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중이더라도 완화의료를 받아야 한다.', '말기암환자의 치료에는 여러 과의 협력이 필요하다.'에 동의하였다. 완화의료 수행능력에 대해서는 58% 이상이 자신이 하고 있는 신체 증상 조절 및 정신증상 조절, 말기암환자 가족의 정서적 지지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나 전반적인 말기암환자 및 임종 환자 관리 서비스는 64%에서 '만족스럽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자 중 34명(26.6%)은 '자신의 말기암환자를 완화의료팀으로 자문'하거나 '의뢰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완화의료 의뢰의 장애 요인으로 '환자나 보호자의 거부'가 61명(47.7%)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믿고 의뢰할 수 있는 완화의료팀이 없어서'라고 응답한 의사가 59명(46.1%)으로 많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대부분의 암환자를 주로 진료하는 의사들은 말기암환자의 완화의료 시행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 말기암환자 진료에 있어 다학제 간 협력이나 임종관리까지 충분한 완화의료의 제공은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적이고 수준 높은 말기암환자의 관리를 위해서 보다 적극적인 완화 의료 자문이나 의뢰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regarding palliative care among Korean doctors and referral barriers toward palliative care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Methods: Between May and June 2010, 477 specialists mainly caring cancer patients using a web-bas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sults: A total of 128 doctors (26.8%) responded. All respondents (100%) deemed palliative care a necessary service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More than 80% of the respondents agreed to each of the following statements: all cancer centers should provide palliative care service (80.5%); all terminal cancer patients should receive concurrent palliative care along with anti-cancer therapies (89.1%) and caring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requires interdisciplinary approach (96.9). While more than 58%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performance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management and emotional support provided by patient's family members, 64% of the responded answered that their general management of the end-of-life care was less than satisfactory. Doctors without prior experience in referring their patients to palliative care specialists accounted for 26.6% of the respondents. The most common barrier to hospice referral, cited by 47.7% of the respondents, was "refusal of patient or family member", followed by "lack of available palliative care resources" (46.1%). Conclusion: Although most doctors d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alliative care for advanced cancer patients, comprehensive and sufficient palliative medicine, including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and end-of-life care, has not been put into practice. Thus, more active palliative consultation or referral is needed for effective care of terminal cancer patients.

      • KCI등재

        중국 일간지의 “한류” 보도에 나타난 프레임 분석

        유세경(Sae-Kyung Yu),이석(Suk Lee),정지인(Ji-in Chu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7 No.1

        본 연구는 중국에서 한국 대중문화 수용과 확산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중국 일간지에 보도된 한류관련 기사의 프레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 일간지 모두 한류 관련 이벤트나 한국 드라마, 영화의 열풍, 한류 스타의 인기 등 특정 이슈에 따라 연도별로 기사 게재 건수에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보도경향은 기사의 구성방식에서도 나타나는데 세 일간지 모두 한류 현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주제 중심적 프레임보다 단편적인 한류 현상이나 인물 정보를 감성적으로 전달하는 일화 중심적 프레임을 주로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기사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귀납적 접근방법을 활용하여 지배적 뉴스 틀을 분석한 결과 한류를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라는 문화적 흥미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프레임이 가장 많았고, 경제적 관점에서 한류를 설명한 경제 프레임과 중국 정부 당국의 시점에서 바라본 정책 프레임 기사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뉴스내용의 틀은 일간지의 발행목적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공산당 기관지인≪인민일보≫는 중국 정부의 정책을 보도하는 정책 프레임을 많이 다루고, ≪인민일보(해외판)≫는 대외적인 시각에서 경제 프레임을 많이 다루었고 상업지 성격이 강한 경화일보는 한류를 새로운 문화현상으로 다루는 문화적 흥미 프레임이 많았다. 전체적으로 중국일간지에 보도된 한류 관련 기사는 대부분 긍정적이고 호의적인 프레임의 뉴스가 많으며 한국 대중문화를 문화적인 관점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교류의 관점, 한국과 중국 간의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인 관점등 비교적 다양한 관점에서 보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Chinese people perceive the acceptance and spread of Korean popular cultu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Korean Wave news frame in Chinese daily newspapers.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n article appearance in all three daily newspapers by year according to a specific issue including the popularity of Korean Wave-related events, Korean dramas, movies and Korean stars. This reporting trend also appeared in the article format, and all three daily newspapers mainly used an episodic frame to deliver fragmentary Korean Wave trend or personal information emotionally rather than a thematic frame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Korean Wave trend in depth. As a result of analyzing dominant news frames using the inductive approach to examine specific contents of the articles, news frames that composed the Korean Wave into the cultural interest frame as ‘Interest and attention toward Korean popular culture’ and gave positive evaluations were dominant, followed by the economic news frames that explained the Korean Wave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and the political news frames that considered the Korean Wave from the viewpoint of the Chinese Government. These news frames appeared somewhat different according to the publishing purpose of daily newspapers. ≪People’s Daily≫ which is the official organ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often covered the political frames to report the policies of Chinese government, ≪People’s Daily (Overseas edition)≫ often covered economic frames from the overseas perspective and the Jinghua Daily which is a commercial newspaper by nature often handled cultural interest frames to consider Korean Wave as new cultural phenomenon.

      • KCI등재

        의과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삶의 질 비교

        민성길,신원철,김광일,정지인,김동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6

        연구목적 : 미래에 환자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책임지게 될 의과 대학생 집단이 의학을 공부하는 과정에서 어떤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 문제들에 의해 고통받는지 알아보고 이의 개선방향을 발견하기 위해, 의과대학생들이 느끼고 있는 삶의 질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1999년도에 연세대학교 의과 대학에 재학중인 본과 학생 317명과, 연세대학교 재학중인 일반 대학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도구는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였다. 의과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삶의 질을 각 항목(item)별, 영역(domain)별, 그리고 총점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T-test로 검정하였고, 각 영역의 기여도를 다중회귀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 : 전체점수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항목별점수에서는, 수면과 휴식, 성적 활동, 레저와 여가활동에 대한 참여와 기회에서는 의과대학생의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게 보고되었으며, 약물과 치료에 대한 의존도, 경제적 자원, 새로운 정보와 기술을 얻을수 있는 기회, 교통수단에서는 의과대학생의 삶의질이 유의하게 높게 보고되었다. 영역점수에서는, 사회적 관계 영역에서 의과대학생의 삶의 질이 낮게, 환경 영역에서는 높게 보고되었다. 그리고 의대생에서 신체적 건강, 환경, 그리고 사회적 관계 영역들이 삶의 질에 크게 기여하였고, 반면 일반대생에서는 심리적 영역과 환경 영역이 크게 기여하였다. 결 론 : 이와 같은 결과는 주로 의대생들의 사회적 관계 영역, 그리고 기타 하부척도에서는 수면과 휴식, 성적활동, 레저와 여가 활동에 대한 참여와 기회 등의 항목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quality of life of medical students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general college students to identify what kind of problems medical students are suffering from. Method : Korean version of WHOQOL-BREF was administered to 317 medical students and 150 general college students of Yonsei University in 1999.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s of WHOQOL-BREF between medical students and general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scores of facets of sleep and rest, sexual activity, and participation and opportunities for recreation/leisur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edical students than in general colleges for recreation/leisur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edical students than in general college students, while the scores of facets of dependency on medication and treatment, financial resources, opportunities for acquiring new information and skills, and transpor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edical students than in general college students. The score of social relationships domain was significantly lower in medical students than in general college students, while, the score of environmental doma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edical students than in general college students. Physical, environmental and social relationships domains contributed more to the quality of life of medical students than psychological domain while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domains contributed more to the quality of life of general college students than physical and social relationships domains. Conclusion : The resul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edical students in social relationships domain and in the facets of sleep and rest, sexu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opportunities for recreation/leisure.

      • SCOPUSKCI등재

        GH3세포에서 세포내 cAMP에 의한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유전자 2의 전사단계에서의 발현증가

        최영길,김영설,양인명,박승준,정주호,엄교숙,임성빈,정지,고계창 대한내분비학회 1998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3 No.1

        Background: An earlier study demonstrated that pituitary tumors of good octreotide responders have high density of somatostatin receptor(SSTR). We previously reported that growth hormone (GH)-secreting pituitary tumors with Gas mutations show good response to octreotide. As Gas mutations constitutively increase intracellular cAMP, we therefore hypothesized that the mutations may induce high e~xpression of SSTR. As a pilot study for the hypothesis, we investigated whether SSTR gene expression is activated by intracellular cAMP. Methods: We examined SSTR2 mRNA expression by Northern blot assay and RT-PCR and in vitro transcription. Results: In Northern blot assay, we could not detect any mRNA even after 2 weeks in all the rat organs and the cell lines except AtT-2Q cells. However, by using RT-PCR and in vitro transcription, we could detect very small amount of the SSTR2 message. GH3 cells were stimulated with farskolin and isobutylmethylxanthine, cholera toxin, and GHRH for 2 hours. The expression of SSTR2 gene was increased remarkabiy, whereas B-actin gene expression was comparable. Conclusion: These pre data suggest that SSTR2 gene expression is transcriptionally activated by intracellular cAMP, supporting our hypothesis that Gas mutations induce high expression of SSTR to compensate the putative stimulation of somatotroph. The transfection assay using the vectors wbich express mutated Gas gene is in progress. (J Kor Soc Endocrinol 13:24-33, 199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