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문성경기(漢文聖經期)와 성경 해석

        정중호(Chong, Joong-Ho)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4 신학사상 Vol.0 No.165

        갑오경장(1894)까지 한국의 공식적인 글은 한문이었고 한국의 식자층은 한문성경을 굳이 한글로 번역하지 않아도 읽을 수 있었다. 따라서 한글로 번역된 성경이라야 한국 성경이라는 시각으로 한국의 성경해석사를 1900년대로 설정하여 시작하는 것은 성경 해석사를 과도하게 축소시킨 것이다. 한국인이 한문성경을 읽고 해석해온 시기를 '한문성경기(漢文聖經期)'라 이름을 짓고 그 시기를 잠정적으로 1900년까지로 설정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문성경기' 동안 성경이 어떻게 번역되었고 한문성경이 어떻게 해석되어 왔는지 그 특수한 현상을 추적하여 연구하려는 것이다. 한문성경 번역의 역사는 경교가 들어온 당나라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16세기 말부터 중국으로 들어온 천주교 신부들에 의해 성경이 부분적으로 번역되었다. 성경전체가 본격적으로 번역된 것은 19세기 개신교 선교사들에 의해 진행되었다. 불과 몇 년간의 시차를 두고 중국 서적을 수입해온 한국이었기에 중국에서 번역된 한문성경은 한국에 유입되어 많이 읽혀졌다. 한국의 식자층들이 한문성경을 읽을 때 구결을 달아 해석을 하면서 읽었으며 독음형식으로 읽었다. 구결을 단 성경의 대표적인 경우가 이 수정의 현토성경이다. 또한 성경을 해석하고 내용을 전파할 때도 한시(漢詩)로 작성하여 전파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경우가 『성교요지』이다. 한문성경은 중국성경이면서 동시에 한국성경이기도 하였다. 한문성경해석기의 여파는 언해(諺解)를 통해 한글 성경 번역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까지도 국한문성경이라는 모습으로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Untill Gapohgyungjang(1894), Korea's official script consisted of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scholars were able to read without translation to Hangul. Thus, dating the history of Korean Bible interpretation from the year 1900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Korean Bible should be the Hangul Bible is an excessively limited view of the history of Korean biblical interpretation. I call the period that Koreans read and interpreted the Chinese character Bible as the Chinese character Bible perio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race the specific phenomenon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 Bible during the Chinese character Bible period. The history of Chinese character Bible translation can be traced back to the Tang Dynasty, when Nestorianism was introduced to China. Biblical translation began with partial translation by Catholic priests in the late 16th century. The entire Bible was translated in the 19th century by Protestant missionaries. Because Chinese books made their way to Korea within only a few years, the Chinese character Bible was introduced and widely read in Korea. Korean scholars pinned gugyeol(口訣) to the Chinese character Bible and read the pronunciation. A representative of the Bible with gugyeol was the Hyunto Bible of Lee Soo Jung. Chinese poetry was also used in interpretation and propagation of the Bible, an approach represented by the Sunggyo-yoji(聖敎要旨) The Chinese character Bible was also a Korean Bible. The aftermath of the Hanmun Bible period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Hangul Bible translation through Eonhae(諺解) and is influential as a Korean Chinese character (gukhanmun[國漢文]) Bible even today.

      • KCI등재

        강자와 약자가 더불어 살아가는 성경적 공동체

        정중호(Joong Ho Chong)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5 로고스경영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이사야 11장 6-9절에서 은유적 이미지로 제시된 이상적인 공동체가 강자와 약자가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임을 밝히면서, 이 공동체가 현실세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였다. 특히 11장의 은유적 이미지가 포로후기를 배경으로 하는 이사야 65장에 다시 활용된 사실을 주목하여 그 관련성을 분석하면서 11:6-9 부분을 해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사야 텍스트를 해석하면서 이사야가 제시한 이상적인 세계가 하나님과 사람과 자연이 이루는 ‘하나님의 공동체’라는 큰 그림임을 밝혔다. 그리고 이사야 11장 해석을 통해서 강자와 약자가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는 성경적 공동체를 이루기 위한 다섯 가지의 실행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실행방안들은 1) 공동체 의식을 앙양하는 것이며, 2) 이주자로서 살아가는 것 - 땅의 주인이 하나님이라는 것을 고백하며 사는 것이요, 3) 자선보다 나눔이 있는 공동체이고, 4) 사람이 자연을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다스리는’ 것이며, 5) 하나님 앞에 공동체로서 예배를 드리는 것이다. 예배는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를 만들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공동체 의식을 앙양하는 실제적 방안이다. This study offers an analysis of the metaphorical imagery in Isaiah 11:6-9, considering the ideal world illustrated in the passage as a community for the coexistence of the strong and the weak, and exploring possibilities for real-life application. In order to bring this theme into proper focus, it also observes the intertextual relationship between 11:6-9 and Isaiah 65, a post-exilic text. More specifically, this exegetical investigation of Isaiah’s texts demonstrates that the description of the ideal world in Isaiah envisions ‘God’s community,’ the nexus of God, humans, and nature. Having completed this overview, the study finally concludes that Isaiah 11:6-9 indicates five primary features of a biblical community, in which the strong and powerful live together with the weak and powerless in harmony. The features are as follows: (1) A Sense of Community, (2) Living as Resident Aliens - Confessing God’s Ownership of Land, (3) A Caring-Sharing Community, rather than simply Performing Charity, (4) A Sense of Fellowship with All Natural beings - Nature, not to be owned, but to be managed properly, (5) Communal Worship of God - to worship God in unity is not only to restore a proper relationship with God and others, but also to enhance a sense of community.

      • KCI등재

        경남지역 여성 평신도 신사참배 거부 공동체

        정중호(Chong Joong-Ho),조원경(Cho Won-Kyou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7 신학사상 Vol.0 No.138

          본 논문의 목적은 경남지역에서 일어난 기독교 평신도 중심, 특히 여성 중심의 신사참배 거부 공동체를 연구하여 그 역사적 실상을 파악하는 데 있다. 경남 남해군 내산의 성산 공동체, 하동군 북방리의 공동체, 산청군 중산리 지리산 공동체 등지의 연구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은, 첫째로 세 공동체 모두가 신사참배 거부 공동체였으며 기독교 평신도 중심이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남해군 내산의 성산 공동체와 북방리 공동체의 경우 기독교 평신도 여성들의 활동이 두드러진 공동체였다는 사실이 주목할 만하다. 둘째로 이들은 지역상 은거하기에 적절한 지리산과 남해의 섬을 중심으로 하나의 벨트를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셋째로 손양원 목사의 영향이 컸으며 간접적으로는 경남 출신인 주기철 목사의 영향도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다.   From studies of Gyeongnam area communities in Namhae-gun Naesan, Hadong-gun Bukbang-li, and Mt. Jirisan at Sanchung-gun Jungsan-li, we find, firstly, all three communities were made up of anti-Shinto resistance groups and centered upon lay members of the church instead of church officials or leaders. We also note how female members of the church were active in communities in the Seongsan community of Namhae-gun Naesan and Bukbang-li. Kim So Gab-sook of Namhae-gun Naesan, Lee Anna and Chong In-sub of the Mt. Jirisan Community at Sanchung-gun Shichun-myun Jungsan-li were all female leaders as well as lay members of the church. We also find that most church participants were lay members.   Second, these communities formed a geographical chain linking Mt. Jirisan and outlying islands. With Mt. Jirisan at the center, we find the Sanchung-gun Mt. Jirisan Community to the north, Okjong-myun Bukbang-li Community to the south, and the island Namhae-gun Seong-san Community further south. Mt. Jirisan and these islands were particularly excellent hiding locations.   Third, we find these group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Rev. Son Yang-won. Son"s wife and children were part of the Naesan Community in Namhae Sam-dong, and the Okjong-myun Bukbang-li Community was led by Hwang Duk-soon, who was taught by Rev. Son. In particular, the Bukbang-li Community was the recipient of letters from Rev. Son during his imprisonment. The community was also indirectly affected by Rev. Ju Gichul, who was a native of the Gyeongnam area. Shin Jong-gyun, a leader of the Mt. Jirisan Community at Sanchung-gun Shichun-myun Jungsan-li, was strongly influenced by Rev. Ju"s faith.   Finally, we note that comprehensive studies of anti-shinto resistance communities have been neglected in scholarship after 1945, greatly due to church schisms and disagreements between denominations. The Namhae Naesan community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religi

      • KCI등재

        다윗과 이스라엘 지파의 계약 관계에 대한 이면적 분석

        정중호(Joong Ho Chong)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7 로고스경영연구 Vol.15 No.1

        다윗 왕조를 창건하고 이스라엘 영토를 확장시킨 위대한 왕 다윗이 어떻게 그렇게도 쉽게 반란을 당하고 급하게 도주하게 되었는가? 이러한 의문을 비롯하여 다윗 통치에 관한 여러 가지 의문을 풀기 위해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동시에 본 연구는 국가경영과 국민통합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염두에 두면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윗과 지파와의 계약 관계에 주목하면서 왜 다윗과 지파와의 사이에 간격이 있을 수밖에 없었는지 그 이유를 밝혀 그 간격의 실체를 파악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다윗왕실의 경우를 통해서 국가경영과 국민통합이 얼마나 중차대한 것인지를 파악하려는 것이며, 국민통합이 하나님의 관심사였다는 사실을 또한 밝히려는 것이다. 다윗은 이스라엘의 다른 왕들과는 다르게 ‘유다 사람들’과 ‘이스라엘 장로들’에 의해 기름 부음을 받고 왕으로 즉위하였다. 이 의식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다윗이 지파들과 계약을 맺었다는 사실이다. 또한 다윗이 블레셋 장군으로 지파들에게 나타났고 사울이 죽은 후에는 이스라엘을 공격하는 블레셋 군대의 지휘관으로 나타났다는 사실이, 다윗과 지파와의 관계에 있어서 간격이 있을 수밖에 없었던 근본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압살롬과 세바의 반란 사건에서 이러한 간격의 실체를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솔로몬 왕 시대에 징집과 세금납부와 강제부역 등으로 인해 이스라엘 지파들의 불만과 분노가 고조되었고 결국 남북으로 분열되었다. 그런데 그 저변에 있는 남북분열의 근본적인 원인은 다윗과 지파와의 괴리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y the gap between David and the tribes must have existed,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David and tribes, to grasp the reality of the interval. And in the case of Davidic dynasty, we are trying to figure out how important is national management and national unity. Furthermore this study seeks to uncover the fact that national unity was God"s concern. Unlike the other kings of Israel, David was anointed and crowned king by the Jews and the elders of Israel. What is important in this ceremony is that David has made a contract with the tribes. Also, the fact that David appeared to the tribes as a general of the Philistines and became the commander of the Philistine army that attacked Israel after Saul"s death is a fundamental cause of the gap between David and the tribes. The reality of this gap can be found in the revolts of Absalom and Sheba. During the reign of King Solomon, dissatisfaction and anger of the tribes of Israel were heightened due to conscription, taxes, and forced service, which eventually broke into the north and south. However, the underlying cause of the division of the North and the South was the gap between David and the tribes.

      • KCI등재

        민수기 5장에 나타난 소타의 이미와 가정회복

        정중호(Chong-Joong Ho)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동서인문학 Vol.0 No.39

        In the Mishna, Numbers 5:11-31 describes in detail the rite of Sotah. Sotah as portrayed in Numbers appears to be a pagan rite. However, analysis shows a deeper intent. The object of this rite is not to humiliate or punish women but to protect them. If a suspected woman is found innocent she is freed of her husband's suspicions and abuse. If she is found guilty of adultery she is punished by becoming barren, but God is the only source of punishment. Manis not allowed to take punishment in his own hands. None are allowed to abuse the woman. The punishment is only administered by God. An attitude of referring punishment to God is needed more than ever in our close relationships and lives. It is also important that personal punishment, or domestic abuse, should be forbidden. Finally, we should note the importance of erasing suspicion between partners in a marriage - building trust in God's families.

      • KCI등재

        19세기 구약성경 번역과 해석의 역사: 『고경』(『고셩경』)과 『셩교감략』을 중심으로

        정중호(Chong Joong Ho)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68

        본 논문은 국제적인 갈등에 휩싸인 19세기에 구약성경이 한국인에게 어떻게 전해졌으며 한국인이 어떻게 번역하고 해석하였는지를 천주교의 『고경』(『고셩경』)과 『셩교감략』을 중심으로 연구하였고 개신교의 구약성경과도 비교하였다. 19세기에 한문으로 번역된 구약성경은 여러 경로를 통해 한국인에게 전해져 읽혀졌으며, 한글로 번역된 『고경』(『고셩경』)과 『셩교감략』을 통해 서도 널리 읽혀졌다. 한글로 번역된 성경은 비록 발췌 번역 혹은 요약된 번역 형태로 읽혀졌지만 한국인은 『고경』과 『셩교감략』을 통해 구약의 내용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책들은 개신교의 구약 번역보다 적어도 10여년 전에 번역되고 전달되었다. 개신교는 자유롭게 성경을 번역할 수 있었으며 처음에는 부분 번역 혹은 발췌 번역 등으로 시작하였다. 구약성경은 『성경도설』, 『구약공부』, 『죠션크리스도인회보』, 『미이미교회강례』, 『의경문답(義經問答)』, 그리고 『위원입교인규됴(爲願入敎人規條)』와 『舊約撮要(구약촬요)』 등에 부분적으로 번역된 것을 발견할 수 있으며 『시편촬요』의 경우는 시편 가운데 62편이나 번역되었다. 인명과 지명 용어를 비교함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천주교 성경 번역에서 번역한 용어와 개신교 성경 번역의 용어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은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천주교의 요약되고 해설이 첨부된 『고경』(『고셩경』)과 『셩교감략』이 한국 기독교인에게 구약 내용을 전파할 수 있었으며 구약 해석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짐작된다. By examining the very early literature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Gogyung and Sunggyo Gamryak,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Old Testament was transmitted to Korea under political turmoil in the 19th century and suggests how its texts were translated and interpreted by Koreans. Furthermore, it also offers a parallel examination of the biblical quote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s very first literature and Korean Protestants' early translations of the Old Testament. In the nineteenth century, early Korean Christians embraced the texts of the Old Testament through the Chinese Bible given to them via various channels and Korean translations of Gogyung and Sunggyo Gamryak. Although only partial and abridged translations of the Bible was available, the early Korean Christians were aware of the contents of the Old Testament through Gogyung and Sunggyo Gamryak, which were published about ten years earlier than Protestants' first translation of the Old Testament. Before completing their first translation of the entire Bible into Korean, the early Korean Protestants first began to translate the Gospels and other parts of the New Testament. As for the Old Testament, some translated texts and quotes appeared or were introduced in periodicals, books, and church documents, such as Sunggyung Dosul, Guyak Gongbu, Chosun christian journal, Miimigyohoe Gangrye, Uigyung Mundab, Wi Wonib Gyoin Gyudo, Guyak Chwalyo. In the book entitled Sipyeon Chwalyo, sixty two psalms of the Psalter were translated into Korean. In comparison to the names of biblical figures and places in early Korean Catholic literature, Korean Protestants used same or similar vocabulary and terminology in their translations. Based on this survey, it seems that the early Korean Catholic Church's literature, Gogyung and Sunggyo Gamryak had an influence in various ways on subsequent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Bibl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 사회의 외국인의 지위에 관한 교의적 고찰

        정중호(Joong Ho Chong),심종석(Chong Seok Shim)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6 로고스경영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법제적 시각에 주안점을 두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다문화 사회에 있어 외국인의 지위에 관한 크리스천의 바람직한 태도를 교의적 계도차원에서 추론한 논문이다. 본 연구는 우선 성경적 시각에서 이스라엘과 이방인은 외견상 대립적 지위에 놓여 있으나, 종국적으로는 상호 계통적 보완관계를 지향하고 있는, 이를테면 ‘따로 또 같은’ 신앙적 계통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저변에 두고, 교의적 차원에서 지금의 다문화 사회에 있어 외국인의 지위에 관한 함의를 수용적 시각, 배타적 시각 그리고 소결로서 신앙적 시각으로 삼분하여 그 체계를 구성하였다. 연구범위는 성경의 율법적 시각과 우리나라의 실정법 내지 정책적 실제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로부터 다문화 사회를 향한 크리스천의 바람직한 신앙적 푯대를 올바로 곧추세우고 나아가 예수께서 우리에게 이르신 가장 큰 계명으로서 이웃사랑에 대한 시대적 사명을 재차 바로 되새겨 봄에 있어 일말의 단초제공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교계차원에서 그간 해외선교에 기울여왔던 관심과 열정이 다문화 사회에 있어 내부선교의 그것과는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에 주목하고, 이러한 행태는 순기능적인 시각에서 외국인을 대했던 성경적 태도에 비추어 그 격과 지향점을 달리하고 있다고 보아, 현재 성장지향주의적 목회를 지향하고 있는 기독교계의 왜곡된 단면을 적시함과 동시에 교계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선교정책적 차원에서 교회 내지 목회의 전향적 회귀를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부각하였다. This is the paper in order to infer the answer, at the level of religious guidance, on the desirous attitudes of christians towards a multicultural society of the foreigners’ status from the prism of a philanthropic idea as the identity of christians of today living as the last generation, on the condition that Israel and foreigners had each other’s different and opposing positions in appearance at the biblical perspective but ultimately they were mutually in a constant functional relation, for example, ‘as a separately but unitedly religious family’. This paper is organized into three parts: the implied meaning of the fundamental and functional foreigners resulted from combining the biblical and legal historic points of views of foreigners respectively at the old testament era, new testament times and modern times, is divided into receptive or genealogical, punitive or exclusive, and religious perspectives. Hereinafter, this paper intended to provide a small clue, in establishing the desirous religious signpost of christians of today correctly who live under the influence of a multicultural society, and furthermore, in carving the periodic mission repeatedly on the neighborly love as the most important commandment told by Jesus. As a result, this paper put a stress on a forward looking regression of a church or a ministry as its implication at the level of missionary policy as well as at the level of religious society on the typical aspect of a christian society pursuing the growth-oriented ministry, by paying attention to a great gap between the domestic mission work with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oversea missionary work because the latter has been focused on with huge interest and passion at the level of church, and also by considering that such behavioral pattern was different, in terms of attitude and standing towards foreigners, from that of the old testament era and new testament times, which had a functional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