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Membrane Type-Matrix Metalloproteinase-1에 의한 혈관내피세포의 침윤 및 혈관신생 촉진 작용

        정주원,박찬,허영범,김정혜,안희경 대한암예방학회 2007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12 No.2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have been reported to play critical roles in the cell migration and matrix remodeling during invasion and metastasis. Among these MMPs, membrane-type MMP-1 (MT1-MMP) is an important molecule that can trigger the invasion of tumour cells by activating MMP-2 on the tumour cell surfaces.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roles of the MT1-MMP by the matrix remodeling of endothelial cells, MT1-MMP expression vector was transfected into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Increased expression of MT1-MMP in HUVECs enhanced the activation of MMP-2 and invasion of endothelial cells. Moreover, the capacity of tube formation was increased by MT1-MMP overexpression.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MT1-MMP is involved in the angiogenic process of endothelial cells in vitro. (Cancer Prev Res 12, 92-97, 2007)

      • KCI등재

        Do Government Guaranteed Small Business Loans Increase Employment? Evidence From US Counties, 2010-2016

        정주원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23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38 No.2

        Small businesses in lower-income communities and/or communities with a higher proportion of minorities are more likely to face credit rationing in the financial market. The Small Business Administration (SBA) established loan programs to alleviate the financial constraints experienced by small businesses, particularly those in underserved communities, and to foster economic development. Using data from the SBA’s 7(a) and 504 lending programs and the seven-year county panels from 2010 to 2016, this study provides some evidence that an increase in SBA loans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in lower-income counties, particularly where the proportion of the black population was higher.

      • KCI등재

        민원인 불평 행동의 수단-목적 가치의 체계: MEC 이론과 래더링 기법의 적용을 중심으로

        정주원,박흥식 한국행정연구원 2012 韓國行政硏究 Vol.21 No.4

        시민들은 불만족에 따른 불평 민원 제출 시 불평 처리 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주요 속성이 과연 자신이 원하는 바를 얻는 데 얼마나 도움이 될 것인가를 고려한다. 수단-목적 사슬(Means-End Chain, 이하 MEC) 이론은 그 동안 고객이 서비스 선택 시 고려하는 결과와 가치 파악의 효과적 도구로 평가받아 왔다. 이 연구에서는 MEC 이론을 적용, 민원인 불평 행동의 속성(Attributes), 결과(Consequences), 가치(Value)의 인지 구조를 검토하였다. 연구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첫째 민원인이 불평 행동 시 고려하는 서비스 속성, 결과, 가치 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이들의 계층적 가치지도(Hierarchical Value Map, HVM)는 어떤 형태인가? 이다. 하드 래더링 기법의 적용을 위한 자료 수집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설문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불평 민원 방문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여, 서비스 속성 11개, 결과 7개, 가치 5개 항목의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다음 불평 민원의 제출을 위해 국민권익위원회 민원센터를 직접 방문한 민원인 6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 총 47명으로부터 응답을 얻어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분석하여 불평 행동의 수단-목적 함축 매트릭스를 작성하고, 계층적 가치지도를 완성하였다. 분석 결과에 기초해 불평 민원 제출 행동의 가치지도가 의미하는 바를 자세히 논의하고, 민원센터가 불평 민원서비스에 대한 불만을 줄이고, 만족도를 개선하고자 한다면 어떻게 불평 민원인의 수단-목적 가치체계와 서비스의 특성을 조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를 여러 가지로 제시하였다.

      • 테이프 스프링 힌지의 성능 평가를 위한 유한요소해석 모델 개발 및 검증

        정주원,유영익,이정주,이창호,김경원,임재혁,황도순 한국항공우주학회 2011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1 No.11

        본 연구에서는 중·소형 위성의 태양전지판 및 안테나 등의 구조물을 전개하는데 사용되는 테이프 스프링 힌지의 거동 분석을 위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인위적 감쇠를 이용하여 국부 좌굴 및 변형 에너지 전이로 인한 불안정성을 수반하는 테이프 스프링 힌지의 거동을 정적으로 해석하였다. 향후 효율적인 파라미터 스터디 진행을 위해 구조적 대칭성을 이용하여 본 연구에 사용된 모델을 1/4로 축소하였다. 수행된 해석의 검증을 위해 인위적 감쇠로 인한 소산된 에너지와 저장된 변형에너지를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위적인 감쇠에 의한 해의 왜곡 정도를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기존 실험 결과와 비교한 결과, 제시된 모델은 신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uggests a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for analysis of a tape spring hinge deploying the subsystems of a satellite such as solar arrays and antennas. The behavior of the tape spring hinge is statically analyzed by using artificial damping, which involves instability anduced by local buckling and transfer of strain energy. The size of the model used in this analysis was reduced to one quarter by using the symmetry, this is for efficient execution of parameter study to be performed. The energy dissipated by artificial damping and the stored strain energy are compared to check if artificial damping distorts the solution or not. Finally, the reliability of the suggested model is verified by comparing with the existing experimental result.

      • KCI등재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소비자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정주원,조소연 한국소비문화학회 2018 소비문화연구 Vol.21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for the services of deposits and installment savings and lending services of the Internet primary bank, and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customer satisfaction in people with the experience of using the banking services of the Internet primary ban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variable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for the banking services of the Internet primary bank, for the customer satisfaction for deferred deposi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and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while for accumulative saving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credit lend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credit loan,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micro-lend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Second,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risk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banking services of the Internet primary bank,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ll the types of perceived risks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for ordinary deposits. In addition,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deferred and accumulative deposit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unctional and security risks. Regarding lending service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al risk and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for credit loans. However,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attributes of the Internet primary bank and customer satisfaction, all the positive attributes such a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the levels of satisfaction for the services of deposits and installment savings and for lending services. Third, in relation to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for services of deposits and installment savings of the Internet primary bank, perceived enjoyment,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in descending order of significance were identified as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for ordinary deposits. For deferred- type deposits, perceived ease of use and security risk in descending order of significance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for accumulative deposits, perceived enjoyment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for them, followed by perceived usefulness and security risk. As for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customer satisfaction for lending services of the Internet primary bank, for credit lending, perceived enjoyment and functional risk in descending order of significance were found to have a greater influenc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than other factors. On the other hand, for micro-lending, perceived useful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본 연구를 통하여 인터넷전문은행 이용 경험자들의 예․적금 이용만족도와 대출 이용만족도 그리고 관련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국 20~59세 이하의 인터넷전문은행 이용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전문조사기관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471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전문은행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을 살펴본 결과, 거치식 예금에서는 성별, 월평균 가계소득이 적립식 예금에서는 성별이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대출은 신용대출 총이용금액에 따라, 소액마이너스대출은 연령에 따라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인터넷전문은행의 지각된 위험과 이용만족도간의 관계에서 모든 지각된 위험(재무적, 기능적, 보안적)과 자유입출금 이용만족도 간에는 유의한 부적 관계를 보였으며, 거치식과 적립식 예금이용만족도에서는 기능적, 보안적 위험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출의 경우는 기능적 위험과 신용대출 이용만족도에서 유의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인터넷전문은행의 수용요인과 이용만족도간의 관계에서는 모든 수용요인(편리성, 유용성, 유희성)과 예․적금(자유입출금, 거치식, 적립식)과 대출(신용, 소액마이너스) 이용만족도 간에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셋째, 인터넷전문은행의 예․적금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자유입출금상품의 경우 수용요인 모두 자유입출금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상대적 영향력은 유용성, 편리성, 유희성 순으로 나타났다. 거치식 예금의 이용만족도에서는 편리성과 보안적 위험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적립식 예금의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희성, 유용성, 보안적 위험 순으로 밝혀졌다. 인터넷전문은행의 대출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용대출의 경우, 유희성과 기능적 위험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을 보였으며, 소액마이너스대출의 경우 유용성이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예비교사를 위한 문제중심학습에 기반한 ‘소비자학’ 수업 사례

        정주원,하오선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4 No.3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to a college course on ‘Consumer Studies’ in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7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course. The PBL class was implemented for seven weeks using two problems: proposing special lectures on economic concepts and financial consulting. The effectiveness of PBL was analyzed through self-reflective journals, self-assessment, and a learning satisfaction survey of stu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Students achieved the learning objectives and strengthened their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with team members during the PBL process. Moreover, students improved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the PBL class. The results of self-assessment, in terms of learning task performance, active inter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were generally high at 4.63 points. In addition, the overall learning satisfaction level was very high, with a score of 4.75. The results will provide effective information on PBL classes to instructors and prospective teachers and will be used as data for learner-centered PBL classes.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 교수방법인 문제기반학습(PBL)을 ‘소비자학’ 교과목에 적용하는 것이다. ‘소비자학’을 수강하는대학생 27명을 대상으로 경제개념 특강안과 재무컨설팅을 제안하는 2가지 PBL 문제를 개발하고 총 7주간 PBL 수업을 진행하였다. PBL 효과는 학습자들이 작성한 성찰일지, 자기평가지, 수업만족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학습자는 문제해결 과정에서 소비자학 교과목의 학습목표를 달성했으며, 팀원과의 협업과 소통 방식을 습득하는 경험을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자기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졌으며,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는학습과제이행, 적극적 상호작용, 자기주도적 학습수행 능력 등 PBL 수업에 임하는 스스로를 평균 4.68로 높이 평가했으며, PBL 수업에 대한 수업만족도도 평균 4.7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교수자 및 예비교원에게 PBL 수업에 대한유용한 정보로 제공될 것이며, 학습자중심 PBL 수업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소비생활 변화와 소비자교육

        정주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3

        Considering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and influences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role of consumer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onsumption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future consumption society as an independent consumer by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erms of consumption life. First, in terms of changes in the consump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roduction and consumption are converged by being shared through a comprehensive connection platform in real time. Regarding the meaning of consumption, mental experience is being emphasized; moreover, usage and sharing, rather than ownership, are being highlighted. In terms of major changes in consumption life, the emergence of a more convenient smart consumption life and the possibility of personalized consumption optimized for individual demand are anticipated. Moreover, sustainable eco-friendly consumption is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and rapidly changing consumption trends will experience accelerated progress in consumer-centered changes. Next, the predicted problems in consumption lif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e unequal consumption due to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power center and the use and mana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data. Furthermore, ethical concern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will become prominent, eventually resulting in issues concerning consumption satisfaction.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se new paradigm changes, consumer education should be value-centered. Ethical aspects of consumption should be considered, and consumption life should include trust and mutual cooperation. Furthermore, consumer education should facilitate creative convergence.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며 소비생활 측면에서 지능정보기술이 가져올 변화와 영향력을 살펴보고, 가정교과의 소비자교육 역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생활 측면에서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를 높여 주체적인 소비자로서 현명하게 미래 소비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먼저 제4차 산업혁명에서의 소비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부분에서 생산과 소비는 초연결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되면서 융합되고 있다. 소비의 의미는 정신적 경험과 체험이 중요시 되고 있으며, 소유보다는 사용과 공유가 부각되고 있다. 주요 소비생활의 변화에 있어서는 더욱 편리해지는 스마트한 소비생활이 나타날 것이며, 개인별 수요에 최적화된 개인 맞춤형 소비가 가능해 질 것이다. 또한 지속가능한 환경친화적 소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견되며, 급변하는 소비트렌드의 변화는 소비자중심으로 빠르게 진행될 것이다. 다음으로 제4차 산업혁명에서 예견되는 소비생활에서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면, 지능정보기술 권력중심으로 인한 불평등적 소비가 나타날 것이며, 개인정보 데이터의 활용 및 관리 문제가 나타날 것이다. 또한 신기술 도입에 대한 윤리적 문제가 대두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소비의 행복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에 현명하게 대처하기 위해서 가정교과 소비자 영역에서는 우선적으로 가치 중심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소비의 윤리적 측면이 고려되어져야 하며, 소비생활에서 신뢰와 상호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창의적 융합이 가능하도록 소비자교육이 진행되어져야 한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성숙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정주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6 No.1

        “Career maturity” is very crucial for high school students since it has an impact on their career path and decision-making. Not only that, it is also important in self-realization and happiness as well as maximizing human resources. When it comes to understanding high school students' career path, it is necessary to know how they perceive school life since they spend most of their time in school. It's also vital to observe in the perspective of students' personal growth.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school life”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To accomplish this, the 7th additional surveys conducted by Welfare Panel Study were use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496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come up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between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self-esteem” as well as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self-esteem” on “career maturity.” The Baron and Kennny mediation analysi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effects when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come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career matur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ge fo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is 2.07, while it is 1.91 for “self-esteem”. For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dience to school regulations”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school life” and “interest in school life” Secon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self-esteem” were thought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since it showed that they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ird, “interest in school life” “attitude toward school life” and “obedience to school life”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in which all of these are the sub factors for “adaptation to school life” together with “self-esteem” had an influence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career maturity” was proved to be influenced by the partial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As the study seeks to find relationship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meaningful information is given out for the development and progress of educational programs for “career maturity”. This was done by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and systematic approach towards “career maturity” in the students' perspective. 진로의 결정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고등학생에게 있어 진로성숙은 개인적인 자아실현과 행복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국가 인적자원의 극대화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고등학생의 진로에 대한 이해는 학생의 측면에서 그들이 인지하는 학교에 대한 생각과 개인적인 성장의 관점에서 바라봄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을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파악해 보고자 7차년도 한국복지패널의 부가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고등학생 496명을 분석대상으로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 진로성숙의 정도와 관계를 파악하고자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을 하였으며, 학교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성숙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변인 역할을 파악하고자 Baron과 Kennny의 매개효과분석법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은 평균 2.07이며, 자아존중감은 1.91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에서는 학교규범준수와 친구관계가 학교생활태도, 학교생활흥미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진로성숙,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인 학교생활흥미, 학교생활태도, 학교규범준수, 친구관계와 자아존중감은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넷째,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성숙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력과 관련성을 파악한 본 연구는 학생측면에서 진로성숙을 위한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이해하게 함으로써, 진로성숙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진행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