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ase of Cat Scratch Disease Confirmed by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Bartonella henselae DNA

        정주영,구자욱,김상유,유영삼,한태희,임성직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8 No.7

        We report a case of cat scratch disease (CSD) caused by Bartonella henselae in a 14-year-old boy who developed lymphadenopathy in the right cervical area, after a raising canine pet for 10 months. The cervical lymphadenopathy persisted for 14 days. Immunofluorescent antibody testing for B. henselae with the patient's serum was 1:64 posi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alysis using the patient's lymph node aspirates for B. henselae DNA was also positive. This is the first case of cat scratch disease confirmed by PCR for B. henselae DNA in children. Bartonella henselae DNA에 대한 PCR 검사로 확진된Cat Scratch Disease 1례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소아과,이비인후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과 정주영·구자욱·김상유·유영삼*·한태희†·임성직 CSD는 고양이에 긁히거나 물린 다음에 발생하는 자가제한적 국소 림프선염을 증상으로 하는 질환이다. CSD는 소아와 성인에서 비교적 흔한 인수 공통질환이며, 특히 소아 연령의 림프선염과 원인 불명열의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CSD는 고양이 벼룩에 존재하는 배설물에 있는 B. henselae가 고양이의 발톱이나 이빨에 물리면서 인체에 접종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감염 경로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B. henselae는 고양이 벼룩 뿐 아니라 개벼룩, 쥐이 및 진드기 등의 다양한 매개 곤충에 존재하여 다양한 가축과 야생동물을 감염시킨다. 최근에는 고양이 벼룩에 교차 감염되는 애완용 개가 중요한 중간 숙주로 대두되었다. CSD는 애완용 개나 고양이와 접촉하거나 긁힌 기왕력과 전형적인 임상증상, 조직 소견, 혈청학적 검사에 의해 주로 진단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PCR을 이용하여 최종 진단을 하게된다. 저자들은 10개월간 애완용 개를 키웠던 14세 남아에서 진단된 CSD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국내 소아에서 PCR로 진단된 최초의 CSD 증례인 점에 의의가 있다. 환아의 발열과 경부 림프선염은 10일 정도 지속되었으나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고 회복되었다. 환자의 혈청에 대해 시행한 B. henselae 간접면역 형광법 검사는 1 : 64 양성이었으며 경부 림프선 흡인물을 대상으로 시행한 PCR 검사에서 B. henselae DNA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소아에서 전자현미경으로 확진된 Cryptosporidiosis 2례

        정주영,배선환,고재성,조희승,서정기,지제근,채종일,이순형,Chung, Ju-Young,Bae, Sun-Hwan,Ko, Jae-Sung,Cho, Hui-Seung,Seo, Jeong-Kee,Chi, Je-Geun,Chai, Jong-Yil,Lee, Soon-Hyu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199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2 No.1

        저자들은 15세 된 남아와 8세된 남아에서 C. parvum에 의한 위장관염 2례를 경험하였으며 전자 현미경상으로 확진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향후 국내에서도 소아의 설사질환의 원인으로서 cryptosporidiosis에 대한 임상의들의 많은 관심이 요구된다. Cryptosporidiosis is an intestinal disease caused by the protozoan Cryptosporidium parvum. The most common manifestation in human is enteric symptoms, which in immunocompetent hosts are self-limiting but can be life threatening in immunocompromised hosts, characterized by profuse watery diarrhea, abdominal pain, severe weight loss. It's prevalence rate in immunocompetent host is variable by geographic locations (3~11%) but up to 15~40% in AIDS patients. Now i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enteropathogens causing diarrhea not only in immunocompromised but also in immunocompetent hosts, especially in children. We experienced two cases of cryptosporidiosis in a 15 year old boy who was admitted due to diarrhea, abdominal pain and fever and in a 8 year old boy who was admitted due to watery diarrhea and vomiting. These are the first clinical cases of cryptosporidiosis confirmed by electron microscopy of the colonic mucosa among immunocompetent children in Korea.

      • SCOPUSKCI등재

        선천성 양측 성대마비와 13번 염색체 장완 결실이 동반된 비증후군성 간내담도부족증 1례

        정주영,이정수,김병의,최명재,박동철,김상우,강경훈,Chung, Ju-Young,Lee, Jeong-Soo,Kim, Byung-Eoi,Choi, Myung-Jai,Park, Dong-Chul,Kim, Sang-Woo,Kang, Kyung-Hoo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1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4 No.1

        Nonsyndromic intrahepatic bile duct paucity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several kinds of etiology such as infection, chromosomal anomaly, metabolic disease and idiopathic. We report a rare case of intrahepatic bile duct paucity with congenital bilateral vocal cord paralysis and 13q deletion.

      • 소아에서 호기내 수소검사를 이용한 유당 흡수장애 유병률

        정주영,배선환,최광해,고재성,서정기,Chung, Ju-Young,Bae, Sun-Hwan,Choi, Kwang-Hae,Ko, Jae-Sung,Seo, Jeong-Ke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2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5 No.1

        목적: 국내 소아에서 유당 흡수장애 유병률이 변화하는 연령을 파악하고 생리적 용량의 db당부하 호기 수소검사 시 유병률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98년 5월부터 1998년 8월까지 서울의 초등학교 및 유치원 한 곳, 어린이집 두 곳의 건강한 소아를 대상으로 표준 유당부하 호기내 수소검사는 생후 25개월에서 96개월까지 총 129명(남아 75명, 여아 52명), 생리적 용량의 유당부하 호기내 수소검사는 생후 25개월에서 84개월까지 총 126명(남아 72명, 여아 51명)에서 시행하였다. 호기 검체는 공복시 기저치, 유당부하 60분, 120분 후에 각각 수집하여 Model 12i Microlyzer (Quintron,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1) 표준 유당부하 호기내 수소검사에서 유당 흡수장애의 유병률은 생후 25~36개월에서 7%, 생후 37~48개월에서 19%, 생후 49~60개월에서 35%, 생후 61~72개월에서 55%, 생후 73~84개월에서 82%, 생후 84~96개월에서 80%였다. 2) 표준 유당부하 호기내 수소검사에서 유당불 내성의 유병률은 생후 25~36개월에서 0%, 생후 37~48개월에서 9%, 생후 49~60개월에서 17%, 생후 61~72개월에서 22%, 생후 73~84개월에서 41%, 생후 84~96개월에서 70%였다. 3) 생리적 용량의 유당부하 호기내 수소검사에서 생후 25개월부터 84개월까지 총 126명의 소아중 한 명에서만 유당 흡수장애를 보였으며 유당불 내성은 한명도 없었다. 결론: 한국인 소아의 유당 흡수장애 유병률은 생후 37개월부터 60 개월에 증가하며 생후 72개월 이후에는 성인의 유병률에 도달하게 된다. 유당 흡수장애군에서도 생리적 용량의 유당을 포함한 우유의 섭취는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ge of onset and the prevalence of lactose malabsorption in early childhood in Korea. Methods: We conducted a study of lactose malabsorption by breath hydrogen test in healthy children aged between 25~96 months old. Standard lactose loading (2 g lactose/kg, maximum 40g) test was done in 129 children and cow's milk (10 mL/kg) loading in 126 children followed by breath sampling of 60 and 120 minutes after the loading. An increase above baseline of 20 ppm or more was used as a criteria for positive responses. Results: The prevalence of lactose malabsorption was 7% in 25~36 months old, 19% in 37~48 months old, 35% in 49~60 months old, 55% in 61~72 months old, 82% in 72~84 months old, 80% in 85~96 months old children. Only 1% of the children showed positive result in breath hydrogen test after the cow's milk challenge.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lactose malabsorption was increased between 37 months and 60 months of age, reached to adult level of prevalence after 72 months of age. When physiological dose of lactose was used as the challenge, the number of lactose malabsorbers become clinically insignificant.

      • KCI등재

        중국 권위주의적 환경주의 수정의 정치적 의미: 권리에 기반한 산림복원 정책을 중심으로

        정주영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2022 중국지식네트워크 Vol.19 No.-

        본 연구는 환경문제 해결에 있어 권위주의 체제가 시장과 자유에 기반한 민주주의 체제보다 효과적인 기제들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최근 중국의 산림복원 영역에서의 정책 방향과 변화들을 분석함으로써 이에 대한 실증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고조되고 있는 지구의 환경 위기는 어떤 유형의 정책 체제가 자원 부족과 환경 악화를 해결하는 데 가장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권위주의적 환경주의는 민주적인 시스템에서 더 나은 환경 결과가 창출될 수 있다는 기존의 통념에 도전적인 주장을 제기하였다. 권위주의적 환경주의는 능력 있고 부패하지 않는 권위주의적 리더쉽이 강력한 정책적 집행력을 사용하여 환경이슈를 처리할 때 그 실질적 성과가 민주국가보다 더 우수하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중국의 대표적 산림복원 사업인 퇴경환림(退耕还林, Grain to Green Project) 사업의 개혁 방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권위주의적 환경주의의 대표적 사례국인 중국의 환경 성과와 최근의 개혁조치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환경 이슈에 대한 중국의 개혁 방향이 목표 기반에서 권리 기반으로 변화해가고 있으며, 이것은 권위주의적 환경주의가 지속적으로 실효적 성과를 내고 있다기 보다는 그 한계를 시장과 민주적 요소로 보완해 가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authoritarian system has more effective mechanisms than the market and freedom-based democratic system in re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provides an empirical approach to this by analyzing recent policy directions and changes in the field of forest restoration in China. The growing global environmental crisis has sparked debate about what types of policy regimes can best help address resource scarcity and pollution, and authoritarian environmentalism challenges the conventional view that democratic systems can produce better environmental outcomes. Authoritarian environmentalism asserts that when an authoritarian, capable and incorruptible authoritarian leadership uses strong policy enforcement power to deal with environmental issues, its actual performance is superior to that of a democratic country. This study examines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recent reform measures of China,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uthoritarian environmentalism, through analysis of the reform direction of China's representative forest restoration project, the Grain to Green Project.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show that China's reform direction on environmental issues is changing from target-based to rights-based, which means that authoritarian environmentalism is supplementing its limitations with market and democratic factors rather than continuing to produce effective results.

      • KCI등재

        몬테 카를로 전산모사를 통한 EPID의 외부적 선량 재구성과 내부 선량 계측과의 비교 및 분석

        정주영,윤도군,서태석,Jung, Joo-Young,Yoon, Do-Kun,Suh, Tae-Suk 한국의학물리학회 2013 의학물리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EPID)를 통하여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로부터 투과해 나오는 선량으로 외부적인 선량 재구성과 몬테카를로 전산모사로부터 도출되는 내부 선량 계측과의 관계를 도출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전산모사 연구로써 두 가지의 경우를 비교 분석하고 이와 비슷한 연구에 대한 기본적인 지표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실험에 관한 기하학적 정보와 방사선 소스에 대한 정보를 몬테카를로 전산모사 툴인 Monte Carlo n-particle (MCNPX)에 입력하였고 EPID 이미지 도출을 위하여 MCNPX 내에 tally카드를 이용하여 선량정보를 도출하고 이를 영상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내부적인 계측을 위하여 물 팬텀을 소스와 표면의 거리(source to surface distance, SSD)가 100 cm이 되도록 설정하였으며, 그보다 10 cm 아래에 EPID를 위치시켰다. 내부 계측은 물팬텀 자체에서 흡수되는 흡수 선량을 mesh tally로 수집하였고, 4문 조사를 통하여 중첩된 선량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그와 동시에 EPID에서 물을 투과해 나오는 선량을 획득 한 뒤 역 투사 방법을 사용하여 선량 재구성을 하였다. 이둘의 경우를 비교하기 위해 자체적인 교정(calibration)을 통하여 투과해 나온 선량과 흡수된 선량과의 관계를 비교하고 4문 조사를 통하여 물 팬텀 내의 특정 부분에 대한 중첩된 선량 데이터와 EPID를 통해 재구성한 선량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물 팬텀과 EPID에서 획득한 누적 선량의 합은 각각 평균 3.4580 MeV/g과 3.4354 MeV/g이었다. 이는 앞서 계측된 물 팬텀 내부의 누적 선량과 0.6536% 선량 오차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radiation dose reconstruction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patient who receives radiation treatment through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EPID) and the internal dose derived from the Monte Carlo simulation. A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cases, it is performed to provide a basic indicator for similar studies. The geometric information of the experiment and that of the radiation source were entered into Monte Carlo n-particle (MCNPX) which is the computer simulation tool and to derive the EPID images, a tally card in MCNPX was used for visualizing and the imaging of the dose information. We set to source to surface distance (SSD) 100 cm for internal measurement and EPID. And the water phantom was set to be 100 cm of the source to surface distance (SSD) for the internal measurement and EPID was set to 90 cm of SSD which is 10 cm below. The internal dose was collected from the water phantom by using mesh tally function in MCNPX, accumulated dose data was acquired by four-portal beam exposures. At the same time, after getting the dose which had been passed through water phantom, dose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using back-projection method. In order to analyze about two cases, we compared the penetrated dose by calibration of itself with the absorbed one. We also evaluated the reconstructed dose using EPID and partially accumulated (overlapped) dose in water phantom by four-portal beam exposures. The sum dose data of two cases were calculated as each 3.4580 MeV/g (absorbed dose in water) and 3.4354 MeV/g (EPID reconstruction). The result of sum dose match from two cases shows good agreement with 0.6536% dose err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