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운대 연안 표층퇴적물 분포의 계절변화와 이동

        김석윤,정주봉,이병관,Kim, Seok-Yun,Jeong, Joo-Bong,Lee, Byoung-Kwan 한국해양학회 2012 바다 Vol.17 No.1

        해운대 연안의 계절별 퇴적물 분포와 연간 이동경향을 추정하기 위하여 2007년 6월, 10월, 12월, 2008년 3월과 6월의 총 5차례 표층퇴적물의 조직 변화를 관측하였으며 이차원 이동모델인 Gao and Collins(1992)의 모델을 적용하여 퇴적물의 이동경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침 퇴적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7년 2월, 5월, 8월과 12월의 수심자료를 이용하여 계절에 따른 수심변화를 파악하였다. 계절별 표층퇴적물 분포는 2007년 하계에서 추계 및 동계로 갈수록 동측, 미포항 전면에서 입도가 조립해지며 역질이나 암반층이 드러나는 환경으로 변하였으며, 미포항 전면에서 해수욕장 중앙으로 퇴적물 이동경향이 강하게 나타났고, 서측, 동백섬 전면은 입도가 세립해지며 사질과 니질의 퇴적상이 관측되었다. 퇴적물의 이동경향은 서측에서 해수욕장 방향으로의 이동이 감소하였다. 2007년 동계에서 2008년 춘계 및 하계로 갈수록 동측, 미포항 전면은 평균입도와 퇴적상의 세립화가 관측된 반면, 서측, 동백섬 전면의 평균입도와 퇴적상은 다시 조립해지는 경향이 관측되었다. 퇴적물의 이동경향은 동측, 미포항 전면에서 해수욕장 방향의 이동은 감소하고, 서측, 동백섬 전면에서 해수욕장 방향으로의 이동경향은 증가하였다. 해운대 연안의 침 퇴적변화는 2007년 춘계동안 동측, 미포항 전면에서 전반적인 퇴적이 진행되었으며 춘계에서 하계로 갈수록 전 해역에서 침식이 이루어졌다. 이는 연구기간동안 해역을 통과한 태풍 (마니, 우사기, 피토)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하계에서 동계로 갈수록 동측, 미포항 전면에서는 침식 및 유지가 관측되었으나 서측 동백섬 전면에서는 퇴적이 관측되었다. 결론적으로, 표층퇴적물의 침 퇴적변화와 이동경향은 춘계는 서에서 동으로 이동되어 동측, 미포항 전면에서 퇴적되며 태풍이 발생하는 하계는 연안 대부분에서 침식이 이루어지고 추계 및 동계는 동에서 서측으로 퇴적물 이동이 이루어져 서측, 동백섬 전면에서 퇴적이 진행되었다. To study the seasonal pattern of sediment distribution and the transport tendency in Haeundae nearshore area; i) the grain size texture of surface sediment was examined in June, October, and December of 2007, and March and June of 2008, and secondary, ii) the transport tendency was studied by using a two-dimensional sediment transport model of Gao and Collins (1992), and finally, iii) the bathymetric changes were analyzed by using the data collected in February, May, August, and December of 2007 by Haeundae District Office. Spatial distribution of sediment texture, the tendency of sediment transport as well as the bathymetric change showed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s. From June to December of 2007, the eastern part of the Haeundae area, off Dalmaji Hill showed the coarsening of mean grain size with a prominent transport tendency toward the Haeundae beach. On the contrary, the western part of the area, off Dongbaek Island showed a fining trend of mean grain size, and the transport tendency toward the beach was relatively weakened. From December of 2007 to June of 2008, the mean grain size of Mipo Harbor became finer, and the transport tendency toward the central beach decreased. The mean grain size of Dongbaek Island became coarser, while the tendency increased in the direction of the beach. The areas of significant net accumulation and erosion were depicted based on the bathymetric changes between observation periods.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 to May of 2007, net accumulation was observed on the eastern part of the study area, in front of Mipo Harbor. Erosion was generally occurred throughout the area from May to August of 2007. From August to December of 2007, erosion and accumulation was observed off Mipo Harbor and Dongbaek Island, respectively. The change of sediment facies also suggests the accumulation on the eastern coast during the spring, erosion around the entire coast during the summer, and accumulation on the western coast during the winter. The changes in the accumulation and erosion were most apparent during the summer when several typhoons have passed by, while unnoticeable during the sp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