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결합동기와 구동동기를 이용한 카오스 주파수 천이 변.복조 회로

        정종은,박진수 대한전자공학회 1996 전자공학회논문지-B Vol.b33 No.7

        Modulation and demodualtion circuits of chaos frequency shift keying have been implemented using chua's circuits. The modulatin circuit, which is designed ot perform the frequency-doubling by coupled synchronization wihtout changing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its two chaos signals generated, modulates the digital input signals. The demodulation circuit detects the digital input signals form carrier by drive synchronization. these circuits, which are simplest until now and have no restriction to their digital input amplitudes, perform the aimed functions.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 정책의 현황 분석 및방향 모색: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정책 사업을 중심으로

        정종은 한국예술경영학회 2016 예술경영연구 Vol.0 No.39

        Since the enactment of ‘Arts & Culture Education Law’ and the establishment of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in 2005, Korea has achieved remarkable development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 terms of both size and scope. On the starting line of a new decade, the international level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has been emerging as a matter of deep interest due to the internal factor such as accumulated capacity in Korean arts & culture education sector, as well as external forces such as rapid growth of cultural ODA policy. Against the background, this article seeks to analyze a variety of policy projects implemented to facilitate international exchange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by Korea Arts & Culture Service, and then to explore alternative directions of the policy. In doing so, the researcher divided a dozen policy projects into four categories(inbound project, outbound project, network/collaboration project, knowledge and information infrastructure project), and examined in detail each and every category to reveal its performances and limitations. As a result, this research was able to suggest five directions for improving international exchange policy of Korean arts and culture education: clear positioning and perception sharing, demand-based policy making, project operation through cooperative governance, system innovation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olicy projects, and process innovation for raising the efficiency of policy projects. Given the absence of the research on international exchange policy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 Korea, a comprehensive as well as concrete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and alternative directions of the policy can furnish something of interest and entry point to Korean cultural policy researchers.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의 제정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설립 이후 십여년의 세월동안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은 그 규모와 범위 면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이루어왔다. 새로운 십년을 향해 발을 내딛는 시점에서 ‘문화 ODA의 확대’와 같은외적 요인은 물론이고 ‘국내 문화예술교육 역량 강화’와 같은 내적 요인으로 인해문화예술교육의 국제적 층위에 관한 관심이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지금까지 진행해온 다양한국제교류 사업들을 대상으로 주요한 성과 및 한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 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십여 개에 달하는 정책 사업들을 그 특질에 따라 인바운드 사업, 아웃바운드 사업, 네트워크/협력 사업, 지식정보 구축 사업의 네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각 유형별로 주요한 성과를 계승하는 동시에 현재까지 파악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이 지향해야할 새로운 정책방향으로 명확한 포지셔닝과 인식 공감, 수요기반의적실성 있는 정책수립, 협력적 거버넌스 중심 사업추진, 사업 효과성 제고를 위한시스템 혁신, 사업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시스템 혁신이라는 과제를 도출하였다. 현재까지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 정책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연구가 부족했기 때문에, 해당 정책의 현황과 성과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 및 실질적인 전략목표와 세부과제를 도출하는 데 초점을 맞춘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 정책에 관한 다양한 논의들이 촉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지역혁신체계에서 문화의 역할 : 유후인과 유바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종은,한설아 한국지역문화학회 2019 지역과 문화 Vol.6 No.4

        본고는 지역균형발전 및 지역특화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 운위되어온 지역혁신체계의 구축을 위해서 지역문화는 어떠한 역할을 감당할 수 있으며, 감당해야만 하는지를 탐색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우선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필수 과정으로서 지역혁신체계를 다루는 논의가 어떠한 개념들을 중심으로 발전되어왔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지역혁신체계의 성공요인은 무엇이며, 지역혁신체계 구축을 위해 국내 지역혁신정책과 지역문화정책은 어떠한 흐름 속에서 전개되어 왔고 이 두 정책이 어떻게 융합되어야 하는지검토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살핀 후에는, 지역혁신체계의 형성 과정에서 문화가 역할하는방식을 파악하기 위해 유후인과 유바리라는 일본의 대표적인 지역혁신 사례를 검토하였다. 이는 문화가 공동체의 삶의 방식(style)으로서의 역할과 함께 예술, 콘텐츠와 같은 독특한영역(sector)으로서의 역할도 갖기 때문에, 이러한 서로 다른 층위를 고려하면서 ‘문화’가지역혁신체계의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양태와 방식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사례연구의시사점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지역혁신체계의 형성과정에 특별히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각 단계의 핵심 활동의 성공이 상당 부분 해당 지역의 문화에 의존한다는 것, 그러나 이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문화’ 개념과 ‘문화정책’을 좀더 총체적인(holistic) 관점에서 재정립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문화정책의 생태계적 접근에서 인문학적 관점의 필요성: 장애예술의 사례에 근거한 시론(試論)

        정종은 한국미학회 2014 美學 Vol.78 No.-

        Since ‘cultural flourishment’ became one of the four government principles of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and ‘promoting humanisticㆍspiritual culture’ was officially adopted as an action plan to realize the principle, the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humanistic perspective in cultural policy has arisen. However, behind the scene, it has been rarely noted how ‘promoting humanisticㆍspiritual culture’ can contribute to achieving the strategic objective of ‘promoting culture and the arts’, and thereby to realizing the principle of ‘cultural flourishment’. To address this issue,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why humanistic perspective is essentially required to promote culture and the arts, with the example of the ‘ecosystem approach’ which has recently grown into a new trend in the Korean cultural policy field. The article start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and conceptual context of the ecosystem approach. It will help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features of the approach as well a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concept has been elevated into a key word in Korean cultural policy. On this ground, with the case study of disability arts in Korea, I will proceed to show that the ecosystem approach is very useful in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government policy, not only for nurturing ICT or content industries, but also for culture and the arts; and, more importantly, that the usefulness of the approach can be guaranteed only when humanistic perspective, as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human and culture, is centered on it. ‘문화융성’이 현 정부의 4대 국정기조의 하나로 설정되고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이 공식적으로 이 기조의 실현을 위한 실천과제로 채택되면서 문화정책에서 인문학적 관점이 갖는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고 있다. 그러나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이라는 과제가 어떠한 논리를 통해서,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문화예술 진흥’이라는 전략적 목표와 나아가서는 ‘문화융성’이라는 국정기조의 실현에 이바지하게 되는지에 대한 설명은 거의 시도된 적이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새로운 트랜드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 ‘생태계적 접근’을 근거로 삼아, 인문학적 관점이 우리나라 문화예술의 진흥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문화정책의 생태계적 접근’에 대한 역사적·개념적 맥락을 고찰할 것인바, 이는 생태계적 접근의 의의와 특질을 분명히 하고, 이 개념이 우리나라 문화정책계에서 핵심어로 떠오르게 된 과정과 배경을 밝히는 데 기여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국내 ‘장애예술정책’의 실제 사례를 통해서 생태계적 접근이 비단 ICT산업이나 콘텐츠산업 진흥정책만이 아니라 문화예술 진흥정책에서도 중요한 공헌을 할 수 있다는 점, 그러나 문화예술정책 분야에서 이러한 접근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인간과 문화에 대한 원천적 이해’로서 인문학적 관점이 반드시 그 중심에 자리를 잡아야한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