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크리티컬 패션에 표현된 패션산업 시스템과 패션소비문화에 대한 비평적 메시지

        정정희,임은혁 한국의류산업학회 2019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21 No.6

        This study defines critical fashion designs and investigate its critical messages on fashion itself. The critical messages on fashion are categorized into two major issues of a fashion industry system and fashion consumer cultur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meaning and value for critical fashion messages that match critical art. As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mbines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and the research scope focuses on cases that have appeared in fashion media since the 2000s when social critical messages in fashion began to emer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ritical designers such as Viktor & Rolf, Elisa van Joolen, Issey Miyake, and Mary Ping have delivered messages challenging the nature of fashion industry system that criticize the cycle and limitation of a fashion system and pursues changes in perception of sustainability. The critical message on fashion consumer culture articulated by designers such as Alexander McQueen, Vivienne Westwood, Hussein Chalayan, and Ricarda Bigolin & Nella Themelios insist on the formation of community while delivering a critical message on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problems that raise the mechanism of social awareness through fashion design.

      •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서의 다문화가족지원법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 실효적 사회통합을 중심으로 -

        정정희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4

        · 연구 주제: 다문화사회에서의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 개념의 편협성과 적용 대상의 제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부 예산 편성 및 집행의 효율성을 지적, 다문화 교육에 근거한 이주민 법률 교육의 정책적 필요성 제고 등을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다문화가족의 생활법률 교육을 통한 공동체 사회의 건강한 통합 및 실효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 연구 배경: 20세기 후반 결혼이민자 가족 외의 구성원도 인구 극감시대 중요한 사회 공동체 구성원이라는 점에서 이들에 대한 지원방안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과 다문화가족을 보호함에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입법화에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다문화가족의 사회적 위축, 자아 존중감 상실로부터 삶의 질 저하, 우리 공동체 사회의 구조적 결함과 문화적 부적응, 낙인에 따른 우울증 증가, 삶의 만족도 저하 등 문화적 이질감에 따른 사회적 갈등이 증폭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이러한 많은 요인들의 해소 방안으로 공동체 생활법률 교육을 통한 이주민의 생활 안정과 공동체 사회구성원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 건강한 사회통합에 기여함에 선행 논문과 차별화하고자 한다. · 연구 방법: 선행 논문(학회지)과 문헌 검토, 다문화가족지원법, 정부의 외국인 고용정책, 지방자치 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 등 입법과정을 검토하였다. · 연구결과: 다문화 관련 법령인 다문화가족지원법, 국적법, 외국인처우법 및 고용법 등으로 중복 또는 누락된 부분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필요성과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첫째, 다문화가족의 삶의 만족도 향상 및 생활법률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의한 인간성 존중 향상에 기여한다. 둘째, 다문화가족의 복지 향상에 실효적인 정책적 대안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크리티컬 패션에 관한 고찰

        정정희,임은혁 한국의류산업학회 2019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21 No.5

        This study analyzes a new fashion phenomenon for critical fashion. Critical fashion is a message-centered fashion that delivers consciousness and sociocultural issues for contemporary society.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combined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along with a research scope, that reviewed aspects of critical fashion through works, presentations, and images of collections, various media, and joint projects from the 2000s to the present day. This study indicates that critical fashion exhibits a conceptual pattern that metaphorically expresses the message of designers' perspectives on society and the fashion system. Critical fashion designers’ socially critical messages began to emerge in avant-garde fashion influenced by avant-garde art movement that then developed into a conceptual fashion heavily influenced by conceptual art movement before it evolves into concepts of critical fashion. Critical fashion has been influenced by community-oriented critical art, which signifies that the characteristic of criticism of an art system is expressed through the language of fashion. In conclusion, critical fashion resists the idea of the integration of a cultural industry whose homogeneity is continuously collapsing the differences for the purpose of consumption and challenges to the established fashion system.

      • KCI등재

        장애인 탈시설 정책을 위한 쟁점과 법적 과제: 장애인 권리기반을 중심으로

        정정희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1

        · Research topics: By realizing the "right to de-facility" of the disabled, the right to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and social opportunities for the disabled, and further realize the active right to live a human life in a community together by restoring constitutional unique rights. · Research background: The disabled are not only not respected for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due to the facility admission system unrelated to their own will, but are also turning a blind eye to their subjectivity in life. Deinstitutionalization policy for the disabled is the main direction of the disabled policy pursued by the Constitution. It is required to actively establish de-facility policies and effectively specify the right to de-facility for the disabled to secure the basic rights of the disabled.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Through this study, the significance and differentiation of the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that guarantees the human life of the disabled and the information approach and right to use social welfare services throughout life. · Research method: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studies, this study analyzes the legal principles (characteristics) and policie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facility manager")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 for the right of disability. · Research results: Through this study, policy directions and legislative measures for de-facility were suggested, first, measures to create and utilize various types of intermediate facilities by converting existing residential facilities, prohibiting unnecessary facility admission, and limiting facility services. Second, it is to expand the scope of support for the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with social security in all areas necessary for living. Third, it proposed the need to declare deinstitutionalization and change policies for the disabled at the government level. Fourth, budget and administrative support were proposed so that the de-institutional support work could be unified into the core project of the independent living center for the disabled. Fifth, it was suggested to prepare a legal basis for supporting independent living for the severely disabled and to prepare a legislative plan for de-institutional policy to secure effectiveness.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rough this study, policy directions and legislative measures for de-facility were suggested, first, measures to create and utilize various types of intermediate facilities by converting existing residential facilities, prohibiting unnecessary facility admission, and limiting facility services. Second, it is to expand the scope of support for the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with social security · 연구 주제: 장애인 ‘탈시설 권리’ 실현으로 장애인의 자존감 회복, 삶의 방식에 대한 자기결정권 및 사회적 기회를 확대하고 더 나아가 헌법적인 고유한 권리 회복으로 함께하는 공동체에서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는 적극적 권리를 실현하는 것이다. · 연구 배경: 장애인은 스스로의 의사와 관계없는 시설입소제도로 인해 자기결정권을 존중 받지 못할 뿐 아니라 삶의 주체성을 외면하고 있다. 장애인 탈시설정책은 헌법이 추구하는 장애인정책의 주된 방향이다. 탈시설정책의 적극적 수립과 장애인의 기본권 확보를 위한 장애인 탈시설 권리의 실효적 구체화가 요구된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본 연구를 통해 장애인의 탈시설 권리 실현을 위해 생활전반에서의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접근법과 이용권에 대한 제도 방안 마련 필요성을 제시했으며 탈시설 개념을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는 관계 정립이라는 관점을 새로이 도출한 점이 연구의 의의이며 차별성이다. ·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선행 문헌연구에 기초하여 장애인의 탈시설 권리 요구에 따라 현행 법체계에서의 장애인거주시설장(이하, ‘시설장’이라 칭함)의 탈시설에 대한 법적원리(성격) 및 정책에 대해 분석하고 기존의 장애관련 개별법들 체계 속에서 심도 있는 검토 및 논의가 주된 연구방법이다. · 연구 결과: 본 연구를 통해 탈시설 정책 방향과 입법 방안을 제시했는데 첫째, 기존의 거주 시설을 기능 전환하여 다양한 형태의 중간 시설을 만들어 활용하는 방안 및 불필요한 시설 입소를 금지하고 시설의 서비스를 제한하는 등 법제도적 과제 실현방안 마련을 위한 대비책의 필요성을 제언했다. 둘째, 생활하는데 필요한 모든 영역의 사회보장으로 장애인의 자립생활 영위를 위한 지원 범위 확대이다. 셋째, 정부차원의 장애인에 대한 탈시설 선언과 정책 전환 필요성을 제안했다. 넷째, 탈시설 지원업무를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중점사업으로 일원화가 될 수 있도록 예산과 행정지원을 제언했다. 다섯째, 중증장애인에 대한 자립생활 지원의 법적 근거 마련 및 실효성 확보를 위한 탈시설 정책 입법 방안 마련을 제언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인의 인권보호 구체화 측면 및 유엔인권헌장(국제장애인권리협약 초안 마련)의 핵심 6개 권리협약에 명시된 내용을 장애인의 전 영역에 걸쳐 권리로 인정하도록 함과 동시에 장애와 장애인을 대하는 기존의 시혜적 접근에서 벗어나 인권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해 장애인의 권리를 명확히 보장하는 것의 필요성과 이에 대한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또한 장애를 손상에 의한 개인의 문제로 한정하지 않고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식하는 것은 장애문제 해결의 시작과 책임을 사회로 향하고 장애인의 인권보장을 위한 사회적 노력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논의의 취지가 있다.

      • KCI등재

        한국유아교육의 학제 개편 방향에 관한 연구

        정정희,이현진,최연철,신금호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2

        With the promulga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in 2004, kindergartens have firmly established their status as the first schools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n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Nevertheless, school system reform plans such as the 'Early Admission to Elementary School for 5-year-olds', which are not based on social consensus and empirical foundations, are still being proposed. The recent reform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has aroused interest not onl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ut also in society as a whole. However, due to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the problem of the procedure for collecting opinions for social consent, it faced significant opposi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organization of the school system from various perspectiv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nalyzes the reform plans currently being discussed. This paper also proposes a reservation integration plan through the unific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ged 0-5 as a school system reform plan for the future. 2004년 ‘유아교육법’의 공포와 함께, 유치원은 헌법, 교육기본법, 유아교육법을 기반으로 한첫 번째 학교로서의 위상을 확고하게 구축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합의와 경험적, 실증적 기반을 토대로 하지 않은 ‘만 5세 초등학교 조기 입학안’과 같은 학제 개편안이 아직도 제안되고 있는 형편이다. 최근 거론되고 있는 유아교육 학제 개편안은 유아교육계 뿐만아니라 사회 전반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유아의 발달적 특성과 사회적 동의를 위한의견수렴 절차상의 문제로 거대한 반대 여론에 부딪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의 다양한 관점에서 학제 개편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논의되고 있는 유아교육 학제 개편안에 대해논의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유아교육과 보육의 미래지향적 학제 개편의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앞으로 유아교육 학제 개편을 하고자 한다면, 유아교육의 공교육화 체제의 확립, 사교육비 부담의 경감, OECD 교육지표에 따른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 확보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며 0-5세 교육부 일원화를 통한 유보통합안을 학제 개편안으로제안하였다.

      • KCI등재

        패션에서의 마스크에 관한 의미 분석

        정정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22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variou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asks and to consider what meanings they have in the recent fashion world.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s to reflect on the internal meaning of masks exhibited in fashion designers’ collections rather than functional meanings. It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tries to help understand the expressive needs for variety and freshness pursued by modern fashion and use the unique design development to understand the internal meanings of masks. It, therefore, examines the exist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data about masks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and also attempts to draw findings from the data of fashion collections which have been held since the 2000s, as well as from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books about fashion and various other media. The meanings of masks in the field of fashion are as follows: First, they express identity, by criticizing the couture fashion, through the fashion. Second, they present a new concept of body, showing an illogical and ambiguous identity in which both feminine and masculine images coexist. Third, they are media externally communicating insights about human beings’ inner world, through which various messages are transferred to modern people who are attached to external appearances, and the identities possessed by designers are revealed by the masks. Fourth, they ask about a boundary between gender and sexuality, as a means to make us concentrate on the important social issue, while expressing various and new identities, like the hybrid identity. In other words, they can be found to be used as effective media in communicating fashion massages intended by fashion experimental and creative designers.

      • KCI등재

        크리티컬 패션의 문자 전유 - 2000년대 이후의 패션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정정희 한국의류산업학회 2022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24 No.5

        Based on a follow-up study on critical fashion’s strategies for object appropriation,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ppropriation of art as a social or cultural phenomenon influencing modern fashion, as well as to ana- lyze and comprehend how to specifically approach the appropriation of critical fashion’s letters through the appro- priated interpretation. To expla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ritical fashion’s appropriated interpretation, it examined the related literature and data. Moreover, a fashion book-based literature review and a case study were conducted using sources, such as exhibition books, exhibited works, news, fashion magazines, and fashion sites, to examine letter appropriation strategies. In the critical fashion, the appropriation of subversive letters subverts mean- ings by providing experiences different from those based on real images of letters, which are displaceable. The appro- priation of such subversive letters to challenge the value of modernism aims to subvert social value by bringing and relocating existing objects while focusing on their external forms. The appropriation of referential letters focuses on deline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s who quote something and the quoted something and reprograms the existing letter objects with an introspective and reflective attitude. In other words, critical fashion designers can effectively express their messages through the appropriation of letters, such as graffiti and typography, which are manifestations of challenge or resistance. Appropriating letters as a creative action pursues unmarginalized humans who possess their exis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