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분석과 개선방향

        정정진 한국특수교육학회 2006 특수교육학연구 Vol.41 No.1

        Analysi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sof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초등특수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기본이수과목과 초등교육 관련 전공과목을 법령의 이수규정과 특수학교 교육과정, 특수교육전문가 및 특수교사들의 의견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집된 23개 대학 특수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해 교육부고시 2000-1호 이수규정, 학교(급) 교육과정, 특수교육전문가 및 특수교사들의 의견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네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부고시 이수기준은 초등특수교사 양성기준으로 부적절하다. 둘째, 현행 초등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은 교사의 수행능력을 배양하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현행 졸업학점제는 우수한 특수교사를 양성하는데 한계가 있다. 넷째, 특수교사 양성 국가 표준교육과정이 운영되어야 한다.<주제어> 초등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 특수교육전문가, 표준 교육과정, 특수교사자격증

      • KCI등재

        The Comparison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ors' Awareness toward Inclusive Education

        정정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0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19 No.3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주요소들에 관하여 일반교육자들과 특수교육자들이 현재의 통합교육 실현상황과 향후 2010년 및 2020년대의 통합교육 변화양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델파이기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체적으로 일반교육자들과 특수교육자들은 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해 2001년 현재의 실현상황 인식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2010년대 및 2020년대의 변화양상과 실현가는성 예측에 있어서는 의의있게 큰 차이가 나타났는데, 전반적으로 특수교육자들이 일반교육자들에 비해 통합교육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 통합교육을 효율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이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양 집단간의 인식의 차이를 어떻게 좁혀갈 것인가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특수교육교사의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정정진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2 재활복지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육교사의 8개 직무영역에 대한 역할갈등의 정도를 교육경력, 성별 및 학교급간의 교사변인에 따라 조사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에서 무선표집한 초·중등의 정신지체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사 240명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직경력이 적은 교사가 교직경력이 많은 교사에 비해 역할갈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해 역할갈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등학교 교사가 초등학교 교사에 비해 역할갈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시보교사제 도입, 직무수행력 중심 현직연수의 강화, 추수연구과제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nvestigate the role conflic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for the mentally retarded. With a view to improving their teaching environment and solving their conflict, eight role conflict domains are compared the differences in their sexes, careers and level of schools. By the random sampling 240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were selected as subject. For the statistics analysis, two-way ANOVA method is us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ellows. First, in all of eight role conflict domains little experienced teachers' role conflict is bigger than much experienced teacher' s. Second. in sexual differences male teacher's role conflict is bigger than female teacher' s. Third, middle school teacher's role conflict is bigger than prim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

        단일사례 실험설계에 대한 고찰

        정정진 국립특수교육원 1997 특수교육연구 Vol.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 number of single-subject experimental designs for research and teaching. Before discussing specific designs, some terms basic to an understanding of experimental investingation were defined. Each design has described procedures for implementation, graphic representation, data analysis and to enable researchers to determine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an instruction and a behavior. The single-subject experimental design is the systematic analysis of data collected in a planned and organized form that distinguishes the applied behavior analyst from the mere behavior modifier. The teacher who is familiar with design can quickly evaluate the results of one's own instruction and ultimately share these results with others. The continuing process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results more effective teaching that is ultimately reflected in more adaptive academic and social behavior of students.

      • KCI등재

        통합교육 촉진을 위한 특수교육보조원 활용방안

        정정진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6 재활복지 Vol.10 No.1

        이 연구에서는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촉진과 개별화교육의 질 제고를 위하여 특수교육보조원제의 활용에 관해 선발과 교육,역할과 관리 등을 중심으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과 통합학급교사,특수학급교사,학부모 및 특수교육보조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현행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운영실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특수교육보조원제도에 대한 법적 근거의 미비, 특수교육보조원 역할의 불확실성,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 간의 협력 여건의 부재,특수교육보조원의 자질 부족,특수교육보조원에 대한 인식 및 홍보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토대로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촉진하고 개별화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특수교육보조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여섯 가지 운영 방안과 정책 수립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