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불교 마음공부 기반 인성교육 연구동향과 그 과제

        정정임(鄭定任)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9 No.-

        인간성 상실로 인한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인성교육의 다각적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성교육의 대안으로 원불교 마음공부 기반 인성교육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동향과 과제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원불교 마음공부와 인성교육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인성함양을 위한 원불교 마음공부 연구관련 선행자료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원불교 마음공부를 기반으로 한 인성교육 연구는 1996년 김귀성의 인격교육에 대한 문제 제기를 시작으로 2000년 이후 활발해졌다. 연구방법으로는 실험연구가 8편, 조사연구가 4편, 사례연구, 문헌연구가 각 2편으로 실험연구의 비율이 가장 높다. 대상별 연구 동향은 유아, 중학생, 대안학교 학생, 대학생으로 학령기 청소년이었다. 프로그램에 활용된 원불교 교리는 일상수행의 요법 1조 · 2조 · 3조, 유무념, 일기법이었다. 프로그램 적용 효과는 개인적 측면의 효과보다 사회적 측면의 효과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는 경향이 있었다. 원불교 마음공부가 보편적 인성교육의 대안이 되기 위한 향후 과제를 6가지로 정리해 보았다. 프로그램의 체계적 개발과정과 이에 대한 효과검증, 단계별 세분화된 프로그램 개발, 다양한 교리 활용, 보편화된 전달법, 대상을 성인으로 확대, 끝으로 마음공부와 인성교육의 관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원불교 마음공부와 인성교육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기초 마련과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의 발전적 방향을 제안할 수 있다는 점이다. Recently, in the rising of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loss of humanity, it is necessary to look character education in multiple ways. This Study explores a research and trend in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Won-Buddhist Mind Practic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tudy discovered a link between character education and Won-Buddhist Mind Practice an alternative in recovering from a sick society, and examined the trend of a study to build an upright character through a preceding research analysis. The study of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Won-Buddhist Mind Practice started by raising a question about character education by Gui sung Kim, and began in earnest 2000. Under the types of research, an experimental research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8 experimental researches, 4 survey studies, 2 case studies and 2 literature researches. The study trends by subjects were school-age youths such as young children, students in an alternative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The doctrines used for the program were the essential dharmas of daily practice 1 to 3, checking mindfulness, diary of Won-buddhism. In the effect of application, social aspects more showed an upward tendency than personal aspects in subareas of building an upright character. The tasks of Won-Buddhist Mind Practice to become an universal character education in the future are as follows: A systemic development process of the program and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phasing of program development, utilizing various doctrines, generalized transfer methods, research methods expanded to the general public and clarifying relationship between mind practice and character education. The study had significance for establishing a theoretical foundation in regard to relationship between Won-Buddhist Mind Practice and character education, developing related programs through analyzing the study trends and proposing a development plan.

      • KCI등재후보

        특별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인식 및 개선요구

        정정인,김남균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0 No.3

        According to KOFAC, special programs are differentiated programs operated by financial resource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cial programs and needs of the institutes for improvement,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managing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Reports from 27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was analyz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pecial program operation, and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based on the results. The survey examined the directors' perception of the special programs and their needs for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special programs presented in the reports, the special programs were recognized 1) as the same as the specialization, or 2) Special programs were recognized as part of specialization or as non-regular programs with specialization, or 3) as various and differentiated programs other than mathematics and science unit programs. Second, as a result of finding out the perceptions of the directors of the 13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as in the report, directors were perceived differently as follows: the special programs are 1) a part of programs of the regular and non-regular curriculum, 2) a part programs of the non-regular curriculum, 3) all other programs except for regular curriculum, and 4) programs for students who are not affiliated with the gifted institutes, such as projects related to the underprivileged or associated with regional offices. Third, as a plan to improve special programs, the directors of the 13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demanded 1) clear terms for special programs, 2) support for independent specialization, 3) improvement of annual evaluation and 4) securing appropriate budget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based on these results. The KOFAC needs to present the evaluation guidelines more clearly,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clarify the definition of specialization and special programs through communication and exchange, so that each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manages its own unique curriculum and educational activities. 현재 전국적으로 27개의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이 설치되어 각 영재교육원 별로 고유의 장점을 살려 영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원마다 과학영재교육원의 특성화를 목적으로 만든 ‘재원별로 운영되는 차별성 있는 프로그램’인 특별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27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보고서를 분석하여 특별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을 통해 특별 프로그램에 대한 원장들의 인식 및 개선요구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고서에 제시된 특별프로그램에 대한 운영현황을 알아본 결과 특별 프로그램을 특성화 프로그램과 같다고 인식하거나, 특별 프로그램을 특성화의 일부 혹은 특성화를 포함하는 비정규 프로그램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수학·과학 단위 프로그램 외 다양하고 차별성 있는 프로그램으로 인식하고 있는 등 매우 다양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설문에 답한 13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원장들의 특별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보고서와 마찬가지로 특별 프로그램을 정규와 비정규 교육과정의 일부 프로그램으로, 비정규 교육과정의 일부 프로그램으로, 정규 교육과정 외에 진행하는 모든 프로그램으로, 소외계층 사업이나 지역청 연계 사업과 같이 재원생이 아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으로 각각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특별프로그램 운영 개선 방안으로 13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원장들은 특별 프로그램에 대한 명확한 용어의 정의, 독자적인 특성화 지원, 연차평가의 개선과 적절한 예산 확보를 요구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재단에서는 평가 지침을 더 명확히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들은 소통과 교류를 통해 특성화 및 특별 프로그램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하여 각 과학영재교육원의 고유의 독자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교육활동에 집중하여 영재교육의 내실을 꾀할 필요가 있다.

      • 비활성기체의 동위원소 분석 연구

        정정인,김희수,김종헌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5 과학교육연구 Vol.36 No.-

        지구 물질 중 태양계 형성 초기의 시원적 물질의 존재와 지구 심부 기원물질의 특성을 구명하는데 있어 동위원소비 분석 연구방법은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He, Ar, Ne, Kr, Xe 등 비활성 기체(noble gas)의 동위원소비 분석 연구방법은 지구의 암석ㆍ광문 뿐 아니라 운석 등의 연대 측정 및 기원물질의 추정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데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질량분석법을 이용한 비활성 기체의 측정법에 대하여 소개한다. The method of Isotope analysis is very useful to elucidate the property of original materials in the depths of the earth and the existence of the beginning elements in the early stage of the solar formation among the earth materials. Especially the method of Isotope analysis is very important to measure and/or estimate the dating of meteorite as well as rocks and minerals using noble gases including He, Ar, Ne, Kr, Xe. This study is to introduce measurement of noble gases using method of mass analysis

      • 합성 다이아몬드의 불순물 특성분석

        정정인,김희수,김종헌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4 과학교육연구 Vol.35 No.-

        합성 다이아몬드는 일반적으로 색을 띠고 있는데, 그것은 질소, 붕소 등의 불순물의 혼입에 의한 것이다. 합성 다이아몬드 내의 불순물의 결함은 다이아몬드의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물리적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CVD방법 및 고온·고압에서 합성한 다이아몬드에 혼입되는 불순물의 구조나 기능을 해명하여 제어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것은 차세대 초경질 물질의 개발에 있어 중요하며, 고체물리, 지구과학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다. Synthetic diamonds have specific colors characterized by impurities incorporated in diamonds and such impurities include nitrogen, boron, nickel and so on.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hermal conductivity are determined by degree of defects of impurities in synthetic diamonds. The physical properties could be controlled by incorporation techniques of impurities in a diamond synthesised at high pressure or by CVD method, which could be developed by studying structures and functions of each impurities. These research could lead to the development of super hard materials of next generation and contribute to sold physics and earth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