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건축시공교육의 교과목 내용에 대한 제언

        정재영,Jung, Jae-Young 한국건축시공학회 2003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3 No.4

        과거의 대학교육이 교수 중심의 공급자 중심이었다고 한다면 미래의 교육은 수요자 중심의 교육, 즉 학생 중심의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논의가 무성하다. 또한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졸업한 학생을 채용하는 기업이 바라는 교육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공학인증제도의 도입노력과 연관된다. 즉 회사가 채용한 대학 졸업생의 실력을 통하여 대학의 교육성과를 최종수요자인 회사가 평가하여 그 결과를 대학의 교육과정에 피드백하는 것이 공-학인증제도의 취지이다. 그러므로 회사가 원하는 졸업생의 능력을 갖추도록 대학교육의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렇지 못한 대학은 채용에 있어서 불이익을 받을 것이다. (중략)

      • KCI등재

        Plasma Arc Remelting에서 활성 금속 Scrap 재활용에 미치는 공정인자의 연구

        정재영,손호상,Jung, Jae-Young,Sohn, Ho-Sa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7 資源 리싸이클링 Vol.26 No.6

        본 연구에서는 anode로 Kroll 공정 처리된 Ti 스폰지를 사용하여 아크 전류, 아크 전압, 플라즈마 가스 종류에 따른 플라즈마 아크 재용해 거동을 조사하였다. 진공펌프의 토출 압력 범위($200{\sim}300kgf/cm^2$)에서는 토출 압력 증가에 따라 주어진 아크 길이에서 아크 전압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것은 작업하는 동안 진공챔버내 압력이 거의 변화하지 않고, 주어진 분위기 압력을 잘 유지함을 의미한다. 여러가지 아크 전류 조건(700~900A)에서, 아크 전류 증가에 따라 아크 전압이 약간 증가하였고, anode 재료변화에 대한 효과도 이전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위기 가스가 Ar에서 He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정상상태의 출력이 2배 정도 향상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플라즈마 아크 장치의 출력 증가는 Ti 스폰지의 재용해 속도 증가와 함께 잉곳 표면도 양호해졌다. New 스크랩인 타이타늄과 old 스크랩인 지르코늄 합금을 플라즈마 아크 재용해한 결과, 매우 양호한 표면을 갖는 잉곳을 제조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plasma arc remelting behaviors according to arc current, arc voltage, and types of plasma gas were investigated using Kroll processed Ti sponges as anode. In the discharge pressure range of vacuum pump ($200{\sim}300kgf/cm^2$), the arc voltage did not vary greatly with the increase of discharge pressure at a given arc length. This means that the pressure in the vacuum chamber during operation hardly changes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maintains. Under various conditions of arc currents (700~900A), the arc voltage slightly increased with arc current. The effects of anode materials and operational variables on the arc length-arc voltage relationship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in previous studies. When the atmospheric gas changed from argon to helium, double effect of improvement on the output of the steady state was observed. The increase of output in the plasma arc device wa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the melting rate of the Ti sponge and the quality of the ingot surface was also improved. The plasma arc remelting of the new scrap titanium and the old scrap zirconium alloy could result in the fabrication of an ingot with high surface quality.

      • KCI등재

        Kroll법에 의한 타이타늄 스폰지 생성기구에 관한 연구

        정재영,손호상,Jung, Jae-Young,Sohn, Ho-Sa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7 資源 리싸이클링 Vol.26 No.5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iCl_4$ injection time on the Kroll reaction at a given weight ratio of $TiCl_4$ and Mg. The reduction reaction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change according to $TiCl_4$ injection time and observing the cross section and appearance of the Ti sponge after the reaction. The temperature increment due to Kroll reaction heat generation was found to be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TiCl_4$ feed rate. In the graph of $TiCl_4$ injection time and reduction tank temperature, initial temperature peaks were observed irrespective of the injection conditions. This is interpreted to mean a temporary interruption of reaction due to $MgCl_2$ formation after the initial Kroll reaction. In addition,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sponge was observed, a large amount of spherical Mg particles was observed in $MgCl_2$. We can infer that this is the process of continuously feeding the unreacted Mg surface, so that a continuous Kroll reaction takes place. The sponge appearance showed that the coalescence or growth of the Kroll reacted Ti particles can be controlled by the cooling rate. 본 연구에서는 $TiCl_4$ 투입시간의 효과가 $TiCl_4$ and Mg의 주어진 중량비율에서 Kroll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환원반응은 $TiCl_4$ 투입시간에 따라 온도변화를 측정하고, 반응 후 Ti 스폰지 단면과 외관을 관찰함으로써 조사되었다. Kroll 반응열 생성에 의한 온도 증분은 $TiCl_4$ 투입속도에 직선적으로 비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iCl_4$ 투입시간과 환원조 온도 그래프를 보면, 초기 온도 피크가 주입조건에 무관하게 모두 관찰되었다. 이는 초기 Kroll 반응후 $MgCl_2$ 형성으로 인한 일시적인 반응 중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스폰지 단면을 관찰해보면, 구형 Mg 입자상이 $MgCl_2$ 내부에 다량으로 관찰되었다. 우리는 이것이 지속적인 Kroll 반응이 일어나도록 미반응 Mg 표면을 계속적으로 공급하는 과정이라 추론할 수 있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스폰지 외형을 관찰한 결과는 Kroll 반응된 Ti 입자들의 합체나 성장이 냉각속도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지속가능한 우유팩 선순환사업 모델 연구 : 서산YMCA와 홍성YMCA의 우유팩 선순환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정재영(Jung Jae-Young) 한국지역복지정책연구회 2020 지역복지정책 Vol.31 No.-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YMCA activates milk cartons with the lowest recycling rate among items that are recycled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Act on Resource Recycling and the Master Plan for Resource Recycling. In addition, based on this, we intend to structure the process of indigenizing by modeling the excellent model of Seosan YMCA. First, milk cartons are resources that must be collected with responsibility in the Resource Circulation Act, the Basic Resource Circulation Plan, and the EPR system. It is also an important resource to be imported entirely. However, the recycling rate is gradually lowering compared to other resources collected, and in the process of forming sustainable private governance, which is the core concept of the Basic Resource Circulation Plan, it is being marginalized by the indifference of basic local governments. Accordingly, the Seosan YMCA has been conducting the milk pack resource recycling business in a private-led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 since 2015, and is building an excellent model, such as receiving the grand prize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or three consecutive years. Against this background, Hongseong YMCA signed an MOU with Seosan YMCA, indigenizing the Seosan YMCA model to fit Hongseong, and establishing a milk pack resource recycling project centered on private governance. Through this, the need for resource recycling projects was improved and the process of indigenizing an excellent private governance model was confirmed through an experimental project. 이 연구는 자원순환기본법 및 자원순환 기본계획에 의거하여 자원순환되는 품목 중 가장 재활용률이 낮은 우유팩을 YMCA가 어떻게 활성화 하는지 이해하는 것이다. 또 이를 토대로 서산YMCA의 우수 모델을 모델링하여 토착화하는 과정을 구조화 하고자 한다. 먼저 우유팩은 자원순환법, 자원순환기본계획, EPR 제도에서 책임지고 수거되어야 할 자원이다. 그리고 전량 수입하는 중요 자원이기도 하다. 하지만 수거되는 다른 자원들에 비해 재활용률이 점점 낮아지고 있으며 자원순환기본계획의 핵심 개념인 지속가능한 민간거버넌스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기초자치단체의 무관심으로 소외되고 있다. 이에 서산 YMCA는 2015년부터 민간 주도 및 민관협치 방식으로 우유팩 자원순환 사업을 진행하였고 3년 연속 환경부 대상을 수상하는 등의 우수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홍성 YMCA는 서산YMCA와 MOU를 체결하여 서산YMCA의 모델을 홍성에 맞게 토착화하여 민간거버넌스 중심의 우유팩 자원순환사업을 정착시켰다. 이를 통해 자원순환사업 필요성을 제고하고 민간거버넌스 우수모델을 토착화하는 과정을 실험적 사업을 통해 확인했다.

      • KCI등재

        밀폐공간 내 감염병 위험도 모니터링을 위한 열화상 온도 스크리닝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

        정재영 ( Jae-young Jung ),김유진 ( You-ji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12 No.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같은 호흡기 감염병은 주로 밀집/밀폐/밀접 공간인 실내에서 일어난다. 호흡기 감염병 이상징후의 존재 여부는 발열, 기침, 재채기 및 호흡곤란 등의 초기 증상을 통해 판단되고 있으며, 이러한 초기 증상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열화상 온도 스크리닝 시스템은 개인의 피부 온도 상승의 징후가 있는지 초기에 선별하는 빠르고 쉬운 비접촉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지만, 측정 타겟, 주변 온도 등의 측정 환경과 피 측정대상과의 측정 거리에 따른 오차로 인해 정확한 온도측정이 어렵다. 그리고 국제표준 IEC 80601-2-59 에서는 내안각(Inner Canthus) 인접한 영역에 대한 안면 열화상 촬영을 권고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시광 카메라 모듈과 열화상 카메라 모듈에 대해서 이미지 일치화 보정을 수행하였으며, 흑체(Blackbody)를 이용해 측정 환경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 모듈 온도를 보정하였다. 표준에서 권고하는 측정 타겟을 인식하기 위해 딥러닝 기반 객체 인식 알고리즘과 내안각 인식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100명의 실험자군에 대한 데이터셋을 적용하여 인식 모델 정확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라이다 모듈을 이용한 객체 거리 측정과 선형회귀 보정 모듈을 통해 측정 거리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였다. 제안한 모델의 성능측정을 위해 모터 스테이지, 열화상 온도 스크리닝 시스템, 흑체로 구성된 실험환경을 구축하였으며, 1m에서 3.5m 사이 가변 거리에 따른 온도측정결과 0.28℃ 이내의 오차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Respiratory infections such as COVID-19 mainly occur within enclosed spac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 symptoms of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is judged through initial symptoms such as fever, cough, sneezing and difficulty breathing, and constant monitoring of these early symptoms is required. In this paper, image matching correction was performed for the RGB camera module and the thermal imaging camera module, and the temperature of the thermal imaging camera module for the measurement environment was calibrated using a blackbody. To detection the target recommended by the standard, a deep learning-based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and the inner canthus recognition model were developed, and the model accuracy was derived by applying a dataset of 100 experimenters. Also, the error according to the measured distance was corrected through the object distance measurement using the Lidar module and the linear regression correction module.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an experimental environment consisting of a motor stage, an infrared thermography temperature screening system and a blackbody was established, and the error accuracy within 0.28℃ was shown as a result of tempera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 variable distance between 1m and 3.5 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