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교과서에 나오는 문학 이론 및 개념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 -``소설에서의 인물 형상화``를 중심으로

        정재림 ( Jae Rim Je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2 한국어문교육 Vol.11 No.-

        이 논문은 중· 고등학교 문학교육이 이론 중심, 개념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현실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되었다. 입시에 대한 부담으로 중·고등학교 문학 교육아 이론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나 현실을 무 사한 채 이상론을 펼치는 것 역시 공허할 수 있다. 본고는 문학교육에서 이론과 개념의 비중이 큰 것도 문제이지만, 정확하지 않은 용어와 개념을 무분별하게 사용하여 혼란을 초래하는 것 역시 문제적이라고 보았다. 본고는 바람직한 문학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하나의 사례로 문학교과서에 나오는 ``인물 제시 방법``의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인물 제시 방법과 관련한 개념들이 문학교과서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서사이론의 도움을 받아 문학교과서에 나오는 ``직접 제시 방법``, ``간접 제시 방법``, ``말하기``, ``보여주기`` 등의 개념 서술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이론적 검토를 통해 인물 제시 방법과 관련한 문학교과서의 서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제안하였다. This paper arose from a deliberation on the reality of the current theory-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system in middle and high schools. It aims to propose a more desirable future direction for literature education. It is the view of the author that the prominence given to theory in literature education is problematic, and that the indiscriminate and vague way the terms and concepts are used also produces confusion. As an example,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s of "direct definition" and "indirect presentation", "telling" and "showing" appearing in literature textbooks. Chapter 2 deals with how these concepts are used in literature textbooks, and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corrects errors in their textbook definitions and explanations, Chapter 3 dels with them in narrative theory. This paper shows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correct the errors in literary theories and concepts that appear in literature textbooks, and to provide a plan to more effectively use literary theories in understanding and 4preciating literature.

      • KCI등재

        타자에 대한 사랑과 윤리적 주체의 가능성: 전영택과 임옥인의 소설을 중심으로

        정재림 ( Jae Rim Jeong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1 신앙과 학문 Vol.16 No.1

        이 논문은 기독교적 세계관에 기반하여 창작된 전영택과 임옥인의 소설을 검토함으로써, 한국 기독교문학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두 작가는 소외되고 가난한 사회적 약자를 주된 인물로 등장시켰으며, 이들의 고통에 대한 책임이 우리에게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유사점을 갖는다. 이들이 소설적 대상으로 선택한 소외된 이웃은 성경에서 말하는 과부, 고아와 다르지 않다고 하겠다. 그런데 두 작가가 대상 인물들에게 시혜적이거나 동정적인 연민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또 하나의 주체로 인정하며 진정한 사랑을 모색한다는 점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전영택의 경우는 냉정한 관찰을 통해 관찰 인물뿐만 아니라 독자에게까지 윤리적 책임을 묻는 효과를 얻고 있으며, 임옥인은 가족의 중요성을 강조하되 혈연을 넘어선 비혈연가족 공동체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이 소설들은 하나님에 대한 사랑과 이웃에 대한 사랑을 하나로 통합하는 기독교 교리 위에서 창작되었다는 점에서, 또한 기독교적 사랑을 관념적인 구호가 아니라 보편적이고 감동적인 주제로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성공적인 기독교소설로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directions in Korea`s Christian literature by reviewing Yeong-taek Jeon`s and Ok-in Im`s novels written based on the Christian world views. Both the writers made the socially weak who were alienated and poor their main characters and showed that the responsibility for their suffering lied in all of us. The alienated neighbors that they wrote about in their work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widows or orphans in the Bible.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two authors recognized them as subjects and searched for true love instead of lavishing charity or sympathy on them. While Jeon created an effect of holding the readers as well as the observing characters ethically accountable through calm observations, Im was unique in that she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 non-blood family community beyond the blood tie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family. Their novels are considered to be successful Christian novels in that they were created on the Christian doctrines that unite love for God and love for neighbors together and promoted Christian love with universal and touching topics instead of abstract slogans.

      • KCI등재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근대/전통'의 배치와 그 의미

        정재림(Jeong Jae-rim)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42

        이 논문은 전통적인 것을 문면에 내세운 김동리 소설들을 분석함으로써, 근대/전통에 대한 작가의 태도를 해명하려는 목적에서 서술되었다. 등단작인 「화랑의 후예」로부터 「역마」까지 여섯 편의 소설을 분석 대상을 하였으며, 내재적 분석을 통해 각 소설에서 근대/전통의 배치가 어떻게 달라지고 있으며, 그것이 작가의 의도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화랑의 후예」 「바위」 「무녀도」는 근대적 합리성에 위배되는 전근대적인 것들이 근대의 주변으로 내몰리는 장면을 포착해 보여주는데, 이런 이유로 김동리의 초기 대표작은 리얼리즘 문학으로서의 면모를 띠게 된다. 하지만 김동리는 현실을 객관적으로 재현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전통적인 것들을 소설의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자신의 가치 지향을 드러낸다. 근대/전통의 새로운 배치를 통해 「달」, 「황토기」, 「역마」에서 전통적인 것들이 소설의 중심을 차지할 수 있었고, 전통적인 것의 승리라는 작가의 의도 역시 일정 부분 성취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Kim Dong-ri's novels by reviewing them on character and space. We revealed reason of arrangement change of modernity/tradition' and intention of author. 「화랑의 후예」 「바위」 「무녀도」 showed the tradition was expelled at the outside or circumference of modernity. So they showed the feature of realism. But his goal was not the objective reflection of actuality. He distinguished his intention with standing a tradition. The tradition occupied the center of narrative in 「달」 「황토기」 「역마」, and author's intention was accomplished some.

      • KCI등재
      • KCI등재

        ‘거리’를 활용한 소설감상교육 : 김유정 소설 감상을 중심으로

        정재림(Jeong Jae-rim),이남호(Lee Nam-ho)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2

        이 논문의 목적은 거리라는 비평적 개념을 소설감상교육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이는 데 있다. 작가, 내포작가, 서술자, 내포독자, 독자 등 서사적 의사소통 주체들간의 태도와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작품의 의미 파악과 직결되기 때문에, 소설감상에서 거리의 파악은 중요하다. 몇몇 서사이론에서는 시점이나 서술기법의 선택에 따른 결과로 거리를 취급하기도 하지만, 본고는 보다 실제적이고 유연한 입장에서 거리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특히, 감상자가 작품에 거부감이나 저항을 보이는 이유를 거리와 관련하여 해명하고자 하였으며 그 사례로써 김유정의 소설을 활용하였다. 본고는 ‘실제작가…→〔내포작가→서술자→피화자→내포독자〕…→실제독자’의 서사적 의사소통 구조에 유의하여, ‘〈1〉 서술자와 대상의 거리,〈2〉 내포작가와 서술자의 일치, 〈3〉 내포작가의 견해에 대한 내포독자의 공감’의 단계별 소설감상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rose from a deliberation on the reality of the current theory-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system in middle and high schools. It aims to propose a more desirable future direction for literature education. It is the view of the author that the prominence given to theory in literature education is problematic, and that the indiscriminate and vague way the terms and concepts are used also produces confusion. As an example,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s of "distance" and "aesthetic distance" appearing in literature textbooks. Chapter 2 deals with how these concepts are used in literature textbooks, and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corrects errors in their textbook definitions and explanations. Chapter 3 uses some novels as an illustration to propose how theoretical application could be appropriately accomplished. This paper shows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correct the errors in literary theories and concepts that appear in literature textbooks, and to provide a plan to more effectively use literary theories in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literature.

      • KCI등재

        근대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비판의 세 양상

        정재림(Jeong Jae rim)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서강인문논총 Vol.0 No.27

        이 논문은 이광수, 김동인, 김동리 세 작가의 소설을 중심으로 근대성, 사회와 개인에 대한 인식, 종교와 예술의 관계 등과 맞물려 기독교가 어떻게 비판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광수는 기독교를 문명과 동일한 개념으로 수용한다. 근대문명의 동의어로 기독교를 이해했던 그는, 기독교에 내재된 비이성적이고 비합리적인 국면에 거부감을 드러낸다. 하지만 기독교가 조선 문명화의 필수적인 수단이라고 인식했기 때문에, 그는 위계화의 논리로 기독교의 부정적 측면을 봉합한다. 반면 문학가를 예술가로 자각했던 김동인은 기독교에 대해 이광수와 같은 이중적 의식을 갖지 않았다. 문학과 예술이 정치나 경제, 종교의 영역보다 더 고차원적인 범주에 속한다고 보았던 김동인은, 예술가를 신의 위치로 격상시키고 예술의 독자성과 자율성을 주창한다. 기독교를 진지한 성찰의 대상으로 삼지 않고 인간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그의 태도는 무신론적 입장에 가깝다. 마지막으로 근대와 서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대두되던 시기에 등단한 김동리는 처음부터 한국적 전통에 긍정적 가치를 부여하며 창작을 시작한다. 무속으로 대변되는 한국적 전통에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는 과정에서 그는 긍정적 전통과 대립하는 서구적 기독교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보이는데 이는 방법론적이고 전략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sis searched for the christianity in Korean modern literature.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discussed about the meaning of christianity in Korea’s modern period. Objects of this study are Lee Kwang Soo, Kim Dong In, Kim Dong Ree’s novels that concerned with christianity. The intellectuals who recognized westernization as their urgent problems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accepted christianity as a modernization. They grew up in a Christian home, but they denied the Christian. Lee Kwang Soo embraced the Christian civilization. but rejected its irrational side. Because Lee Kwang Soo as ‘realist’ requires only civilization. Kim Dong In as ‘artist’ is an atheist tha religion is not important. Kim Dong Ree as ‘traditionalists’ was critical of tradition and shamanism. They denied christianity in the context.

      • KCI등재

        문학교과서에 나오는 문학 이론 및 개념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2)

        정재림(Jeong Jae-rim)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0 No.-

        이 논문은 이론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중·고등학교 문학교육 현실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되었으며, 궁극적인 목적은 문학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 논문은 문학교육 현장에서 이론의 비중이 큰 것도 문제이지만, 정확하지 않은 용어와 개념을 무분별하게 사용하여 혼란을 초래하는 것 역시 문제라고 본다. 하나의 사례로써, 이 논문에서는 문학교과서에 나오는 ‘감정이입’과 ‘공감’ 개념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2장에서는 이 개념들이 문학교과서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문학교과서의 정의나 설명의 오류를 바로잡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이태준의 ?달밤?을 실례로 들어 이론적 적용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보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문학교과서에 나오는 문학 이론 및 개념의 오류를 바로잡는 것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문학 이론을 작품이해 및 감상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요청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rose from a deliberation on the reality of the current theory-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system in middle and high schools. It aims to propose a more desirable future direction for literature education. It is the view of the author that the prominence given to theory in literature education is problematic, and that the indiscriminate and vague way the terms and concepts are used also produces confusion. As an example,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s of "empathy" and "sympathy" appearing in literature textbooks. Chapter 2 deals with how these concepts are used in literature textbooks, and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corrects errors in their textbook definitions and explanations. Chapter 3 uses Yi Tae-Jun"s Moonlit Night as an illustration to propose how theoretical application could be appropriately accomplished. This paper shows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correct the errors in literary theories and concepts that appear in literature textbooks, and to provide a plan to more effectively use literary theories in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literature.

      • KCI등재

        인문학적 상상력과 서사전략 셀픽션의 서사 구조와 서사 방법에 관한 연구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 『마시멜로 이야기』,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청소부 밥』을 중심으로-

        김종태 ( Jong Tae Kim ),정재림 ( Jae Rim Jeo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6

        Selfiction is very important cultural content creation to be in fashion globally. The compound word selfiction-it is called an allegoric self-help book- is formed from the words self help and fiction. What appeared as narrative nature of pure literature genre is used to narrative strategy books about self-improvement or management is said to selfiction. Selfiction works focused a discussion on this manuscript are 『Who Moved My Cheese?』, 『Don`t Eat the Marshmallow... Yet!』, 『Whale Done!』, 『The Janitor』 to have a wide class of readers to be a box office hit. This manuscript investigated the narrative structure and narrative method of selfiction thoroughly. Furthermore, this manuscript expiscated how the narrative structure and narrative method of selfiction differed from the narrative structure and narrative method of the pure literature. The research was settling into the three points. First, the borrowing of the storytelling technique can be easy strategy to secure the readers. But, easy narrative structure than complicated novelistic composition is suited to be magnified.Second, it is due to selfiction repeating a trite material that selfiction was not strong in the major book marts of 2010. Development of new contents and new narrative structure are required. Third, not only practical contents but, development of new contents which can form emotional identification is required.

      • KCI등재
      • KCI등재

        종교영화에 나타난 인간 존재론과 구원

        오현화(Oh Hyun hwa),정재림(Jeong Jae rim)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서강인문논총 Vol.0 No.30

        본 논문은 소재적, 주제적 유사성을 보이는 김기덕 감독의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2003)과 박찬욱 감독의 〈박쥐〉(2009)를 비교:분석하였다. 두 영화에서 종교적 사제의 파계가 중요한 사건으로 등장하는데, 영화는 이를 통해 인간 존재와 구원의 문제를 진지하게 성찰하도록 한다. 즉 육체적 욕망에 굴복하는 영화 속 사제는 욕망과 죄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보편적 인간에 대한 상징이다. 특히 본고는 영화에 직간접적으로 드러난 ‘종교적 상상력’에 주목하였고, 이를 통해 두 종교영화에 나타난 인간 존재론과 구원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개별영화가 제시하고 있는 구원의 해법을 가늠해볼 뿐만 아니라, 서양과 동양 각각을 대표하는 기독교와 불교의 인간론과 구원론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독교적 상상력에 기반한 〈박쥐〉는 인간의 존재론적 한계를 갈증에 비유하며, 인간에 의한 구원이 불가능함을 강조함으로써 역설적으로 신적인 구원의 길을 암시한다. 또한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은 불교적 세계관에 근거하여 인간이 윤회의 사슬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운 존재임을 증명해 준다. 욕망하는 존재로 인간을 정의한다는 점에서 두 영화는 공통점을 보이지만, 구원에 대해서는 상이한 견해를 제시하는데 이는 각 영화가 기반으로 한 종교적 세계관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즉 〈박쥐〉가 초월적 신을 소거한 인간적 구원이 불가능함을 보여주는 반면,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은 자기 성찰에 의한 구원의 가능성을 열어 놓는 차이를 보인다. This treatise tries to compare and analyze the view of salvation, of human that appear to religion film such as Thirst and Spring, Summer, Fall, Winter and Spring. Such analysis expects to make clear difference of occidental world view and oriental world view as well as give help to understand religious imagination that show to these movie. There are many part that Kim Ki-Duk’s Spring, Summer, Fall, Winter and Spring(2003) and Park Chan Wook’s Thirst(2009) are resemblant in story progress and subject. Two films describe that human is existence of desire in common, but show different aspect about salvation. This is caused in difference of religion that two films make to base. Christian is relieved by God that is Absolute, but Buddhism accomplishes salvation through own reminding. This difference connects with world view of occidental, and oriental beside different cognitions between two reli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