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반 학습모델 연구

        이진구,이재영,정일찬,김미화,Lee, Jin Gu,Lee, Jae Young,Jung, Il Chan,Kim, Mi Hwa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gital transformation-based learning model that can be used in universities based on learning digital transformation in order f to be competitive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learning model from these are as follows. Universities that stand out in related fields are actively using learning analysis to implement dashboards, develop predictive models, and support adaptive learning based on big data, They also have actively introduced advanced edutech to classes. In addition, problems and difficulties faced by other universities and K University when implementing digital transformation were also confirmed. Based on these findings, a digital transformation-based learning model of K University was developed. This model consists of four dimensions: diagnosis, recommendation, learning, and success. It allows students to proceed with learning by diagnosing and recommending various learning processes necessary for individual success, and systematically managing learning outcomes. Finally,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bout th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플립러닝 기반 대학수업에서 팀학습활동,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성취도 간 구조적 관계

        이진구(Jin Gu Lee),정일찬(Il Cha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러닝 수업에서 팀학습활동,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팀학습활동, 자기주도학습을 플립러닝의 주요 변인으로 상정하고 학습몰입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K대학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한 A과목을 수강한 학부생 4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거된 설문지 중 연구목적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된 31부를 제외한 395부에 대해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학습활동은 자기주도학습 및 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플립러닝 수업에서 팀학습활동은 학습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은 학습몰입 및 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팀학습활동은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자기주도학습이 이들 사이를 완전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팀학습활동은 성취도에 직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기주도학습을 매개로 하여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team activity,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formance in flipped learning course. We collected data from 426 students of A class of K university in Chung-nam region, and used the response of 395 students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m activity was statistically positively significant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performance. Second, team activity was not statistically positively significant related to learning flow. Third, self-directed learning was statistically positively significant related to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formance. Fourth, team activit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conforming that self-directed learning has been found to play a full mediator role between team activity and learning flow. Fifth, team activit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direct & indirect effect on learning performance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conforming that self-directed learning has been found to play a partial mediator role between team activity and learning performance.

      • KCI등재

        기관패널 표집설계를 통한 훈련 교·강사 실태조사 방안 연구

        정혜경 ( Hye-kyung Jung ),정일찬 ( Il-chan Jung ),이진구 ( Jin-gu Lee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1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훈련 교·강사를 모집단으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직업훈련기관 수준에서의 패널조사 표집설계 방안을 제시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훈련 교·강사 실태조사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조사 설계를 위한 요소인 목표 모집단과 표본추출틀을 제안하였으며, 전문가 자문과 실증 자료 분석을 토대로 데이터의 대표성, 자료 수집의 효율성 및 지속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표본추출단위, 외층변인과 내층변인을 고려한 표본추출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패널의 단위를 직업훈련기관으로 하여 패널로 선정된 기관과 그 기관에 소속된 훈련교·강사가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2단계 층화 비례 표집 방안을 마련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패널조사 표본 설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of designing a systematic panel survey at the institutional level to lay the foundation for data-based decision-making using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and instructors as the population. In this study, the target population and sampling frame, which are the main elements necessary for planning a panel survey, are proposed. Also based on expert advice and empirical data analysis, the sampling unit and sampling method taking into account the outer and inner variables are presented,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representativeness of data, the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of data colle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with the unit of the panel as a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a two-stage stratified proportional sampling plan is proposed so that the institution selected as the panel and the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and instructors belonging to the institution can participate in the survey.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the panel survey sample design are presented.

      • KCI등재

        직무능력평가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이진구 ( Jin Gu Lee ),정일찬 ( Il-chan Jung ),김지영 ( Jiyoung Kim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2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NCS에 기반한 직무수행능력 성취도(교육훈련, 자격, 현장경험 등)를 역량평가를 통해 평가하는 직무능력 평가사의 역할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직무능력평가사의 직무모형을 개발 및 검증하고, 핵심작업을 도출하는 직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능력평가사의 책무는 NCS 기반 평가원리 확인, 평가계획 수립, 평가도구 설계 및 개발, 평가 실행, 피드백 제공 및 재평가, 평가 기록 및 관리, 내부평가 타당성 검토, 선행학습인정 계획수립, 선행학습인정 평가 실행, 선행학습인정 타당성 검토로 나타났고, 48개의 작업이 도출되었다. 또한, 책무별로 작업의 중요도와 난이도를 곱한 임계도 값을 바탕으로 총 21개의 핵심작업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직무능력평가사 직무분석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of the job competency assessor who assess achievement of job performance ability based on NCS (educational training, qualifications, field experience, etc.) through competency assessment. For this purpose, job analysis including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the job model and selection of core task are conducted. As a result, main duties of the job competency assessor are to understand the NCS based assessment principle, establish an assessment plan, design and develop assessment tools, assess competence, provide feedback and re-assessment, record and manage assessment result, verify the internal assessment result, establish the RPL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plan, implement the RPL and verify the RPL assessment result, and 48 task are derived. In addition, a total of 21 core tasks are derived based on the threshold value multiplied by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the task for each duty.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job analysis of the job competency assessor are presented.

      • KCI등재

        DACUM기법을 활용한 물리적방호 분야 일반보안 직무의 교육 요구분석

        이진구(Jin Gu Lee),정일찬(Il Chan Jung),박민주(Min Ju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이 연구의 목적은 핵물질 및 원자력시설에 가해지는 위협들에 대응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물리적방호 분야 일반보안 직무 교육대상자의 직무분석 결과를 도출하여 직무기반 교육과정의 주요 교과목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직무분석 단계에서는 7명의 내용전문가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8개 책무(duty)와 55개 과제(task)를 도출하고 과제별로 지식과 기술을 도출하였다. 교육 요구분석 단계에서는 일반보안 직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t-검정과 Borich 요구분석을 통해 상위 25위까지의 교육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핵심작업 선정 및 필수/선택 내용 정리 단계에서는 설문을 통한 55개 과제(task)의 중요도와 난이도 평정결과를 바탕으로 둘 다 평균 이상이거나 둘 중 하나라도 평균 이상인 총 42개의 과제를 핵심작업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Borich 요구분석에서 도출된 상위 25위까지의 교육 우선순위를 함께 적용하여 공통으로 적용되는 과제는 교과목 설계 시 필수 내용으로, 둘 중 하나만 적용되는 과제는 선택 내용으로 정리하였다. 필수/선택과목 및 주요 교육내용 도출 단계에서는 앞서 도출한 필수/선택 내용을 비슷한 과제끼리 유목화하여 4개의 필수과목과 5개의 선택과목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학문적, 실천적 시사점 및 향후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ain subjects of the job-based curriculum by deriving the job analysis results of general security job workers in the physical protection field responsible for responding to threats to nuclear materials and nuclear facilities. In the job analysis stage, FGI was conducted on 7 content experts to derive 8 duties and 55 tasks. In addition, knowledge and skills were drawn for each task. In the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surveys were conducted for workers in general security jobs to derive the top 25 educational priorities through t-test and Borich needs assess model. At the stage of selecting core tasks and organizing required/optional contents, 42 tasks, both above average or at least one of them, were derived as core tasks based on the result of evaluation of importance and difficulty ratings of 55 tasks through a questionaire. In addition, tasks applied to the top 25 rankings derived from Borich needs assess model were applied as the required contents when designing courses, and tasks which applied only one of them were selected as optional contents. At the stage of required/optional modules and educational contents, four required modules and five optional modules were derived by drifting similar tasks between the required and optional conten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suggestions.

      • KCI등재

        국민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차세대 스마트직업훈련플랫폼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임경화 ( Kyung-hwa Rim ),정일찬 ( Il-chan Jung ),이두완 ( Doo-wan Lee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3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근로자직업능력개발법」이 「국민 평생 직업능력 개발법」으로 개정되면서 직업능력개발의 지원대상과 직업능력개발훈련의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스마트직업훈련플랫폼(STEP)이 맞춤형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해 지향해야 하는 공공 온라인 플랫폼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공공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사례연구, 전문가 FGI 등을 바탕으로 STEP의 공공서비스 역할과 기능을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전문가 검증회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TEP의 공공 온라인 플랫폼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ole and function of Smart Training Education Platform(STEP) as a public online platform that should be aimed at for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lifelong vocational skills as the existing Occupational Skills Development Act was revised to the National Lifelong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Act. To this end, the role and function of STEP’s public service was derived based on domestic public online platform service case studies and expert FGI, and an expert verification meeting was held.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the role and function of STEP as a public online platform were presented.

      • KCI등재

        연구관리전문기관 연구관리 담당자의 역량모델 연구

        이진구(Jingu Lee),이용진(YongJin Lee),정일찬(Il Chan Jung),김지영(Jiyoung Kim)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7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연구관리전문기관에서 연구관리를 담당하는 인력에 대한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패널 접근법을 바탕으로 FGI와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단계 직무역량 풀(pool) 구성, 2단계 역량모델 개발을 위한 FGI, 3단계 역량모델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4단계 역량모델 및 역량 프로파일 작성, 5단계 우선개발 필요 역량 도출의 총 5단계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관리전문기관 연구관리 담당자의 직무는 기획, 평가관리, 성과확산의 3개로 도출되었고, 역량은 기획 직무에서는 정보수집 및 분석, 정책방향 수립, 과제기획력의 세 개의 역량이, 평가관리 직무에서는 규정 및 업무지식 활용, 프로젝 트(과제) 관리의 두 개의 역량이, 성과확산 직무에서는 성과관리 역량이 도출되었다.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기술·태도는 기획 직무에서 지식 9개, 기술 8개, 태도 6개가 도출되었고, 평가관리 직무에서 지식 21개, 기술 12개, 태도 11개가 도출되었으며, 성과확산 직무에서 지식 5개, 기술 5개, 태도 4개가 도출되었다. 전문가 FGI 및 델파이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역량 중 우선개발 필요역량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을 실시한 결과 1순위는 정보수집 및 분석, 2순위는 프로젝트(과제)관리와 정책방향 수립, 3순위는 과제기획력과 규정 및 업무지식 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관리 담당자의 역량과 체계적인 육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competency modeling involved with R&D management personnel. This study conducts a developing job competency pool, FGI, Delphi analysis, competency profile development, and prioritizing competency development based on expert panel approach. In the result, R&D management personnel tasks included (1) planning (2) assessment management and (3) result promotion. For the planning part, the competency of R&D management personnel involves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information, deciding policy direction, and creating assignments, while assessment management competency involves using regulation, task knowledge, and managing projects. Result promotion involves outcome management. Collecting information, managing projects, deciding policy direction, planning assignments, and using regulation and task knowledge has been stated in order of priorit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R&D management personnel competency model and systematic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