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물적 경기변동모형을 이용한 탄소세 부과방식에 관한 연구

        정인섭 ( In-sup Chung ),정용국 ( Yong-gook Jung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8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7 No.1

        본 논문은 실물적 경기변동모형을 이용하여 탄소세의 부과방식에 따른 파급효과를 생산성과 에너지가격 변동을 고려하여 비교 · 분석하였다. 시나리오 1에서는 매 기간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따라 대표기업이 CO<sub>2</sub> 감축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탄소세율을 부과하는 방식을 설정하였고, 시나리오 2에서는 분석기간 동안 시나리오 1의 탄소세율의 균제상태의 값을 일정하게 부과하는 방식을 설정하였다. 충격반응분석에 따르면 외부충격에 대한 CO<sub>2</sub> 배출의 반응이 시나리오 2에서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형 시뮬레이션 결과 CO<sub>2</sub> 감축비용은 시나리오 1에서 변동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CO<sub>2</sub> 배출과 CO<sub>2</sub> 스톡의 변동성은 시나리오 2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O<sub>2</sub> 배출과 CO<sub>2</sub> 스톡의 시나리오 간의 변동성 증감률은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강화될수록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60% 이상이 되면 시나리오 간의 두 변수들의 증감률(절대치)이 CO<sub>2</sub> 감축비용의 증감률(절대치)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spread effects of the carbon tax imposition method using the real business cycle model considering the productivity and energy price shocks. Scenario 1 sets the carbon tax rate that encourages the representative firm to maintain a constant CO<sub>2</sub> reduction ratio in accordance with its green house gas reduction targets for each period. Scenario 2 sets the method of imposing the steady state value of the carbon tax rate of Scenario 1 during the analysis period.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shows that the responses of CO<sub>2</sub> emissions to external shocks are relatively sensitive in scenario 2. An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cost of CO<sub>2</sub> abatement is more volatile in scenario 1, and CO<sub>2</sub> emissions and CO<sub>2</sub> stock are more volatile in scenario 2. In particular, the percentage changes in volatility between the two scenarios of CO<sub>2</sub> emissions and CO<sub>2</sub> stock increase as the green house gas reduction target is harder. When the green house gas reduction target is 60% and over, the percentage changes(absolute value) between the two scenarios exceed the percentage change(absolute value) of the CO<sub>2</sub> reduction cost between them.

      • KCI등재후보

        Omeprazole, amoxicillin, clarithromycin의 삼제 병합요법의 Helicobacter pylori 박멸효과

        정인섭(In Seop Jung),홍수진(Su Jin Hong),김진오(Jin Oh Kim),조주영(Joo Young Cho),이문성(Moon Sung Lee),심찬섭(Chan Sup Shim) 대한내과학회 2000 대한내과학회지 Vol.58 No.6

        N/A Backgroud : Today, the eradication of H. pylori represents a generally accepted and beneficial therapeutic strategy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peptic ulcer relapse. Major factors that have affected H. pylori eradication are eradication rate of regimen, compliance of patients and complications of drugs. Recently, the combination of omeprazole, amoxicillin and clarithromycin has been accepted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the eradication of H. pylori.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is therapeutic modality in Korean patients. Methods : Two hundred twenty three patients with peptic ulcer and H. pylori infection were taken two types of triple therapy. Group A were treated with omeprazole 20 mg bid, amoxicillin 500 mg tid, clarithromycin 500 mg tid daily for 14 days. Group B were treated with omeprazole 20 mg bid, amoxicillin 1g bid, clarithromycin 500 mg bid daily for 7 days. Endoscopy with H. pylori tests was repeated 4 weeks after the end of treatment and then biopsy specimens were taken in antrum and body. CLO test and Warthin Starry silver stain were conducted concordantly. Results : The H. pylori eradication rate was 92.5% in group A, 90.4% in group B.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radication rate. More than 50% of ulcer size reduction was observed 90.5% in group A, 86.3% in group B.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lcer healing(p > 0.05). The incidence of all side effects in both group were as follows; 22.6% in group A, 19.1% in group B. But major side effect was found only group A, of whom the symptom was too serious for the treatment to continue.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the seven days regimen was more favorable, because the eradication rate was almost the same as the 14 days regimen. And drug compliance and cost effectiveness were better than 14 days treatment regimen.(Korean J Med 58:626-631, 2000)

      • SCIESCOPUSKCI등재

        건강자원자의 직장항문 생리검사에서 골반저 조율장애 진단의 위양성 결과에 대한 정신사회적 인자의 영향

        송해정 ( Hae Jung Song ),이준성 ( Joon Seong Lee ),임희혁 ( Hee Hyuk Im ),홍수진 ( Su Jin Hong ),정인섭 ( In Seop Jeong ),조주영 ( Joo Young Cho ),김진오 ( Jin Oh Kim ),심찬섭 ( Chan Sup Shim ),김부성 ( Boo Sung Kim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6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2 No.1

        목적: 정상인에서도 직장항문 생리검사 시 간혹 골반저 조율장애로 진단되는 위양성의 결과가 나온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자원자에서 직장항문 생리검사의 결과에 대한 정신사회경제적인 면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40명의 건강자원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자원자들에게 정신건강상태 측정 및 개인력에 대하여 조사하고, 항문직장 내압검사, 풍선배출검사, 근전도 검사, 배변조영술, 대장통과시간을 측정하였다. 각 기능검사 결과로 골반저 조율장애를 진단함에 있어 정상군와 비정상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정신사회적인 인자들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안정시와 압착시의 항문직장각의 차이가 15도 이하인 군과 15도를 초과하는 군을 비교하였을 때, 15도 이하인 군에서 신체화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나머지 결과는 정신사회적 인자와는 차이가 없었다(p=0.092). 골반저 조율장애를 보인 군이 정상으로 관찰된 군에 비해 대학에 재학 중이거나 대학을 졸업한 사람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았다(p<0.05). 또한 골반저 조율장애를 보이는 군에서 정상으로 관찰되는 군에 비해 경제적인 여유가 있는 사람이 더 많았다(p<0.05) 결론: 항문직장 생리검사에서 정신건강적인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며 사회경제적인 요인은 배변조영술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나 이에 대해서는 더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False positive results are common in the diagnosis of pelvic floor dyssynergia (PFD) using anorectal physiologic studies (ARP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sychosocial factors on false positive results of ARPS for the diagnosis of PFD in healthy volunteers. Methods: Forty healthy subjects were enrolled. All subjects underwent a complete self-rated inventory assessing psychological distress (SCL-90-R), personal history, anorectal manometry, balloon expulsion testing, electromyography, video-defecography and evaluation of colonic transit time. We compared a variety of psychosocial parameters between subjects with abnormal and normal results of the ARPS. Results: There was a tendency to have a more somatizing personality in subjects with changes in the anorectal angle less than 15 degrees during straining compared to subjects with a change in the anorectal angle more than 15 degrees (p=0.092). However, there were no other differences in psychosocial factors when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anorectal physiologic study. A group with suggestive pelvic floor dyssynergia by video-defecography had more college graduates than the normal group (p<0.05). Also, this group had a greater income than the normal group (p<0.05).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psychological factors do not affect the results of ARPS. However, socioeconomic factors affect the results of defecography in the diagnosis of PFD in healthy subject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48-54)

      • KCI등재후보

        원인 불명의 위장관 출혈에서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의 유용성

        정현구 ( Hyun Ku Jung ),위준환 ( Jun Hwan Wi ),김진오 ( Jin Oh Kim ),정인섭 ( In Seop Jung ),고봉민 ( Bong Min Ko ),조주영 ( Joo Young Cho ),이준성 ( Joon Seong Lee ),이문성 ( Moon Sung Lee ),심찬섭 ( Chan Sup Shim ),김부성 ( Boo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3

        목적: 위내시경 및 대장내시경검사에서 출혈부위를 확인할 수 없는 원인 불명의 위장관 출혈 환자에 있어서 소장검사는 필수이며 현재 캡슐내시경과 소장내시경의 발달로 소장 병변을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이번 연구는 원인 불명의 위장관 출혈 환자에게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을 시술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2004년 11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순천향대학교병원 소화기병센터에서 혈변, 흑색변과 토혈로 위내시경 및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으나 출혈 병소를 찾지 못했던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1) 대상 환자 24명의 평균연령은 48세(범위 21-81세)였고, 남자는14명, 여자 10명이었으며 내원 당시 환자의 평균혈색소(Hb)는 9.0 g/dL (범위 5.9-11.9 g/dL)이었다. (2)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 검사의 접근방법으로는 구강 7예, 항문 3예, 구강, 항문 양쪽 모두에서 접근한 경우가 14예에서 시행이 되었으며 검사에 관련된 합병증은 발생되지 않았다. (3) 24명의 환자 중 22명에서 출혈 병소가 관찰되었으며 출혈 원인으로는 소장궤양 9예, 혈관이형성증 6예, 크론병이 3예, 위장관 간질종양 2예, 메켈 게실 1예, 소장 외 병소 1예가 관찰되었다. (4) 출혈 병소의 위치는 근위부 공장이 가장 흔하였으며 2곳 이상의 병변이 10예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 검사는 기술을 요하는 검사이기는 하나 안전한 검사이며 소장의 병변은 물론 특히 원인 불명의 위장관 출혈에서 출혈 병소를 찾는데 유용한 검사로 생각한다. Background: Double balloon enteroscopy was developed to improve access to the small intesti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double balloon enteroscopy in patients with obscure gastrointestinal bleeding. Methods: From November 2004 through August 2005, 24 consecutuve patients (14 males, 10 females; mean age 48±15.1 years, range 2181 years) with gastrointestinal bleeding of an obscure origi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underwent enteroscopy using the double balloon technique for the following indications: (1) clinical evidence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such as melena and hematochezia (the Hb levels ranged from 5.9 g/dL to 11.9 g/dL, mean 9.0±2.3 g/dL) (2) no site and cause of blood loss detected by upper endoscopy and colonoscopy. Results: Of 24 patients that underwent a double balloon enteroscopy, bleeding points were identified in 22 patients. The causes of bleeding were nine small bowel ulcera, six angiodysplasiaa, three cases of Crohn`s disease, two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one Meckel`s diverticulum and one cecal diverticular ulcer. However, two cases showed negative findings. No patient suffered from procedure related complication. Conclusions: Double balloon enteroscopy is a safe and useful diagnostic tool for obscure gastrointestinal bleeding. (Korean J Med 73:267-273, 2007)

      • 위종양성 병변에 대한 내시경 절개 점막하 박리법의 임상적 유용성

        정윤호,은수훈,조수영,정인섭,유창범,이준성,이문성,김부성,심찬섭,Jung, Yoon-Ho,Eun, Soo-Hoon,Cho, Joo-Young,Jung, In-Seop,Ryu, Chang-Beom,Lee, Joon-Seong,Lee, Moon-Sung,Kim, Boo-Sung,Shim, Chan-Sup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2

        목적: 최근 위선종 및 조기위암에 대해 새로운 내시경적 치료법인 내시경 절개 점막하 박리법은 기존의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보다 더 넓은 적응증을 가지고 있지만 시술의 난이도가 높고 합병증의 위험이 있어 보편적으로 시술되고 있지 않다. 이에 내시경 절개 점막하 박리법으로 치료한 위의 종양성 병변의 치료 성적을 바탕으로 그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시경 절개 점막하 박리법을 시행한 164명의 환자들의 179개의 위종양성 병변에 대하여 완전절제 및 일괄절제 여부, 합병증, 재발 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179개의 병변은 조기위암 126예(70.3%), 선종 42예 (23.4%)였다. 병변의 침윤 깊이를 확인할 수 있었던 조기위암 420예는 각각 점막1층(sm1) 0.8% (1/120), 점막2층(m2) 38.3% (46/120), 점막3층(m3) 25% (57/120), 점막하1층(sm1) 11.7% (14/120), 점막하2층(sm2) 1.6% (2/120)이었다. 종양의 일괄절제율과 완전절제율은 각각 96.0%, 85.2%였다. 합병증은 천공 8예(4.4%), 출혈 38예(21.2%)가 발생하였으나, 천공 1예를 제외한 나머지는 비수술적으로 치료가 가능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내시경 절개 점막하 박리법은 위종양성 병변의 근치적 치료에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술기이고, 향후 보다 장기간의 추적관찰을 통해 그 유용성이 검증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Endoscopic incision and submucosal dissection (EISD) is a technique that is being implemented for the resection of gastric adenomas and early gastric cancer (EGC). Since EISD requires a high degree of skill and experience, and due to its association with a moderate risk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its use has been limi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benefits of EISD based upon clinical data on the EISD procedur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and it included 179 gastric adenoma and early gastric carcinoma lesions from 164 patients who had undergone an EISD from February 2003 to May 2005. Results: Among the total of 179 lesions, the distributions of EGC and adenomas were 70.3% (126/179) and 23.4% (42/179) respectively. The sizes of lesions were divided into 10 mm or less, $11{\sim}20\;mm,\;21{\sim}30\;mm$ and greater than 31 mm and each rates are 10.0% (18/179), 46.3% (83/179), 30% (50/179) and 15.0% (28/179). Among 120 cases which could be measured depth of lesion in according to pathologic findings, m1 (0.8%, 1/120), m2 (38.3%, 46/120), m3 (25%, 57/120), sm1 (11.7%, 14/120), sm2 (1.6%, 2/120) were diagnosed as early stages of gastric cancer. The complete resection rate was 85.2% (150/176) and en-bloc resection rate was 96.0% (169/176). Complications as such as perforation and bleeding developed in 4.4%(8/179) and 21.2% (38/179), respectively. Conclusion: EISD is an effective in the endoscopic treatment for gastric adenoma and early gastric cancers. However, further evaluation of this method and long-term follow-up will be necessary for an evaluation of the recurrence rate after resection of a tumor.

      • SCOPUSKCI등재

        대장 및 직장의 악성 폐색 환자에서 자가확장형인공관 삽입술에 대한 연구

        유창범 ( Chang Beom Ryu ),김환열 ( Hwan Yeol Kim ),권강안 ( Kang An Kwon ),정인섭 ( In Sup Jung ),홍수진 ( Su Jin Hong ),김진오 ( Jin Oh Kim ),조주영 ( Joo Young Cho ),이준성 ( Joon Sung Lee ),이문성 ( Moon Sung Lee ),심찬섭 ( Cha 대한장연구학회 2003 Intestinal Research Vol.1 No.1

        Background/Aims: The optimal palliative treatment of unresectable colorectal malignant obstruction is still debated. Recently, successful short-term palliation of malignant colorectal obstruction using self-expandable metal stents has been reported by several groups of investigators. 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se self-expandable metal stents (SEMS) through the scope for the treatment of malignant colorectal cancer. Methods: Between May 1999 and December 2002, 35 patients (M:F=19:16) with malignant colorectal obstruction were treated for relief from the obstruction with endoscopically guided intubation of a SEMS through the working channel of an endoscope. Uncovered stents were intserted in 29 patients and covered stents in 6 patients. The technical and clinical success rates and complication were evaluated. Results: The sites of obstructions were on the rectum (n=3), sigmoid colon (n=9), descending colon (n=9), transverse colon (n=8) and ascending colon (n=6). SEMS insertion was successful in 34 of 35 patients (97%). In 31 of 34 patients with successful placement of the stent, symptoms of obstruction resolved within 72 hours. Two patients underwent the formal bowel preparation and elective single-stage surgery without complication 10 and 60 days after stent placement. Perforation occurred in 1 patients during stent placement and died. The mean follow up was 144 days (5-610 days). Stent migration occurred in 7 patients during follow-up who were 2 (33.3%) of 6 patients with covered stent and 5 (17.8%) of 28 patients with uncovered stent. After migration of stents, another stent was reinserted in 3 of 7 patients. Obstruction of the stent because of tumor ingrowth and overgrowth was observed in 4 patients with uncovered stent. Conclusions: SEMS placement through the working channel of an endoscope provide not only palliative decompression in cases with inoperable malignant colorectal obstruction but preoperative decompression to undergo the one-step surgery in patients with malignant colorectal obstruction. (Intestinal Research 2003;1:45-50)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소장 질환에 있어 이중 풍선 소장 내시경 검사의 유용성

        위준환 ( Jun Hwan Wi ),김진오 ( Jin Oh Kim ),정인섭 ( In Seop Jung ),고봉민 ( Bong Min Ko ),조주영 ( Joo Young Cho ),이준성 ( Joon Seong Lee ),이문성 ( Moon Sung Lee ),심찬섭 ( Chan Sup Shim ),김부성 ( Boo Sung Kim ) 대한장연구학회 2005 Intestinal Research Vol.3 No.2

        목적: 소장은 그동안 베일에 가려진 미지의 장기로, 기존의 소장 검사법은 전체 소장을 검사하는 데 있어 검사 자체의 어려움이 크고 많은 검사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단에 있어서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최근 캡슐 내시경이 개발되어 소장질환 진단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으나 영상 촬영의 조절이 불가능하고 상당한 예에서는 소장 일부만을 관찰하는 불완전 검사로 그 제한점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중 풍선 소장 내시경 검사는 전체 소장을 관찰하는 데 기존의 소장 검사보다 높은 진단율을 보여주고 있다. 저자들은 이중 풍선 소장 내시경 검사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1월부터 2005년 2월까지 상부위장관 내시경, 대장 내시경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없어 소장 질환이 의심되어 이중 풍선 소장 내시경 검사를 시행한 24명의 환자 3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24명 환자의 적응증은 위장관 출혈 16예, 만성 복통 및 설사가 4예, 크론병이 2예,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이 1예였다. 24명의 대상 환자에서 총 38예의 소장내시경이 시행되어졌으며 구강 접근법이 22예, 항문 접근법이 16예였으며 둘 다 시행한 경우는 13예였다. 이들 중 11예에서 전체 소장을 관찰할 수 있었고 그 평균 검사 시간은 75.5분이었다. 24 환자 중 20예에서(83%) 원인을 찾을 수 있었으며 위장관 출혈을 보였던 16예 중 소장궤양이 7예로 가장 흔한 원인이었으며, 혈관이형성증(4예), 크론병(3예), 그리고 멕켈씨 게실(1예)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성 복통, 설사를 보였던 환자 4명 중 1예에서 호산성 위장염이 진단되었다. 크론병 2예 중 1예는 협착에 의한 폐쇄가 심하여 수술적 치료를 받았으며 다른 한 예에서는 광범위한 공장 침범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중 풍선 소장 내시경 검사와 관련하여 특별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소장 질환이 의심되어 시행한 이중 풍선 소장 내시경 검사는 소장 질환 진단에 있어 24명 중 20명에서 원인을 발견하는 높은 진단율을 보였다. Background/Aims: Conventional studies for small bowel such as small bowel series, enteroscopy with Push, Sonde and Ropeway method had some limitations such as high missing rate, incomplete study, long procedure time and patient inconvenience. Double balloon enteroscopy is a promising metho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ur aim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double balloon enteroscopy. Methods: Between Nov. 2004 and Feb. 2005, 24 patients with suspected small bowel disease underwent double balloon enteroscopy. Results: Indications for double balloon enteroscopy were obscure gastrointestinal bleeding, chronic abdominal pain and Crohn`s disease etc. Thirty eight cases of double balloon enteroscopy in 24 patients were performed. We could identify positive diagnostic findings in 20 of the 24 patients. In 16 obscure gastrointestinal bleeding patients, the causes of bleeding were 7 small bowel ulcers, 4 angiodysplasias, 3 Crohn`s diseases etc.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s were not observed in any patients. Conclusions: Double balloon enteroscopy is a useful and safe diagnostic tools in small bowel disease with high diagnostic accuracy (83%). (Intestinal Research 2005;3:140-144)

      • KCI등재

        내시경점막하박리술로 치료한 조기위암에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의의

        김경민 ( Kyoung Min Kim ),김연수 ( Yeon Soo Kim ),조주영 ( Joo Young Cho ),정인섭 ( In Sup Jung ),김완중 ( Wan Jung Kim ),최익성 ( Ik Seong Choi ),유창범 ( Chang Beom Ryu ),김진오 ( Jin Oh Kim ),이준성 ( Joon Seong Lee ),진소영 ( 대한소화기학회 200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1 No.3

        목적: DNA 불일치 교정 기전에 문제가 발생하면 현미부수체 불안정성(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이 발생한다. 내시경점막하박리법으로 치료한 조기위암에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의의를 알아보기 위해 현미부수체 불안정성과 임상요인 및 암종의 조직형과 표현형, 그리고 혈관내피성장인자, p53 발현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에서 조기위암으로 내시경점막하박리법을 시행받은 9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BAT25, BAT26, D2S123, D5S36, D17S250를 표지자로 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연령, 성별, p53 발현율, 혈관내피성장인자 발현율, 암종의 침습 정도, 암종의 위치, 이시 및 동시 암의 발생률 등을 현미부수체 불안정성과의 연관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은 총 95예 중 13예(13.7%)에서 보였다. 여성은 전체에서 28예(29.5%)였으며 이 중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은 28.6% (8/28예)로 남성에서의 7.5% (5/75예)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p=0.006). 암의 위치에 따라 위각부와 전정부에서 발생한 경우(n=73)에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발현은 13예로 17.8%에서 보이고 있었으며 위체부 상방에서 발생한 경우 (n=22)에서는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발현이 나타나지 않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밖에 조직학적인 요인들과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발현과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 번 연구에서는 현미부수체불안정성인 경우 암이 위의 원위 부에 잘 생기며, 여성에서의 발현율이 남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밖의 다른 인자들과의 연관성은 찾지 못하였다. 추후에 이 환자들에서 장기 예후 평가나 재발률에 관한 연구가 추가될 수 있으며 위암에서의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의미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is defined as a change of any length due to either insertion or deletion of repeating units, in a microsatellite within a tumor when compared to normal tissue. MSI is closely related with genetic instability, particularly in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MSI is found in 10-50% of all gastric cancers, suggesting that MSI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carcinogene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satellite instability and clinicopathologic features in early gastric cancers (EGCs) treated by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Methods: We analyze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95 specimens of EGCs including MSI, histologic type, mucin phenotype, p53, VEGF, location of cancer, depth of invasion, incidence of synchronous and metachronous cancer, age, and gender derived from 94 patients, treated by ESD during recent 19 month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Results: According to microsatellite stability, MSI was observed in 13 (13.7%) cases of 95 specimens. The incidence of MSI was increased in patients with cancer at lower part of stomach and female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MSI and clinicopathologic features including histologic type, mucin phenotype, p53, VEGF, and depth of invasion. Conclusion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MSI and clinicopathologic features except tumor location and gender in ECGs treated by ESD.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MSI in EGCs. (Korean J Gastroenterol 2008;51:167-173)

      • SCIESCOPUSKCI등재

        난치성 트림을 주소로 내원한 공기연하증

        한대희 ( Dae Hee Han ),이준성 ( Joon Seong Lee ),백승훈 ( Seung Hoon Baek ),정인섭 ( In Seop Jung ),김진오 ( Jin Oh Kim ),조주영 ( Joo Young Cho ),심찬섭 ( Chan Sup Shim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6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2 No.1

        Aerophagia is a functional upper gastrointestinal disorder that has not previously been well described. Aerophagia refers to repetitive patterns of swallowing or ingestion of air and belching. Neurologically normal males and females can experience prolonged symptoms including abdominal distension, belching and increased flatus. The pathophysiology of aerophagia is poorly understood. Positive diagnosis is based on careful history and observation of air swallowing. Though few effective therapies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behavioral therapy and psychotherapy are often successfully employed. We treated a young female patient with repetitive air swallowing suffering from intractable loud noisy belching. To differentiate the diagnosis and confirm aerophagia objectively, we confirmed air swallowing during food intake by identifying remnant gas in the esophagus after up-and-downward movement, and could find a full distended stomach with gas after a meal using video-esophagogram with barium.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69-7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