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反オリエンタリズムの世界の構築

        鄭寅汶(정인문) 동아시아일본학회 2009 일본문화연구 Vol.30 No.-

        본고는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 반오리엔탈리즘의 성격에 대해 알아보자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 방법론으로써 주인공 아키코 美에 대한 보편성에 대해 규명해 보는 것에서 출발한다. 동양의 불교사상이 가지는 보편성과 아키코의 美의 보편성이 병행하는 것에 의해 반오리엔탈리즘으로서의 보편적 가치에로 연결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또 다른 등장인물인 프랑스 해군장교는 불교사상에 조예가 깊고, 동양미에 빠져 있다는 것은 그가 동양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보는 부분이다. 이러한 해군장교의 존재는 아키코의 美가 보편성을 획득하는 하나의 장치가 되어준다. 즉 이 해군장교라는 오리엔탈리스트에게 동양의 불교사상을 내면화시키는 것에 의해 작가 아쿠타가와의 반오리엔탈리즘을 간접적으로 드러내게 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 오리엔탈리스트의 시선을 통해 특수성과 보편성의 가치를 전환하는 것이 이 작품이 가지는 반오리엔탈리즘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통해 작가의 반오리엔탈리즘의 성격은 일본이 가지는 특수성을 보편성에로 전환하려는 것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하나의 모티브는 이상과 같은 작가의 반오리엔탈리즘의 성격을 통해 그의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자는 것이다. 작가는 명치천황 생일을 축하하는 天長節 행사를 작품의 배경으로 삼고 있는 것을 통해 제국주의 일본에 대한 희화화를 읽었을 수 있고, 또한 그것을 통해 야유를 보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가의 사상의 배경에는 일본 제국주의에 관한 생각이 자리잡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그것은 그의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동요와 동시에, 동양에의 傾倒가 혼재하면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정인과,곽동일,신동균,이민수,이현수,김진영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1

        Object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Methods:GDS, BDI, SDS, MMPI-D, K-CES-D were administered to 81 depressed elderlies and 75 nondepressed elderlies. Those who obtained the ‘definite impairment’ score in MMSE-K were excluded in the final analyses. Results:The values of Cronbach’s α and test-retest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0.88 and 0.66 (p< .001) respectively. The GDS was highly corrrelated with BDI(r=.72), SDS(r=.78), K-CES-D (r=.75)and MMPI-D(r=.65).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GDS had seven factors. They could be labeled as core depressive feature(factor 1), loss of interest/pleasure(factor 2), feeling of unhappiness(factor 3), agitation(factor 4), cognitive inefficiency(factor 5), social withdrawal tendency(factor 6), and lack of motivation(factor 7), which represent important characteristics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The total percent of variance of 7 factors was 53.4%. Finally, the result of discrimin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hit ratio of GDS was 64%. Conclusion:Although GDS had the reasonable reliability and validity, it seemed to have some limitations in relation to absolute discrimination power.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ultural differences in geriatric depressive symptoms and to develope a new depression scale for elderly people with consideration of the cultural differences.

      • KCI등재

        기분장애의 병리와 치료에 있어 세로토닌의 역할

        정인과,김진세,Jung, In Kwa,Kim, Jin Se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7 생물정신의학 Vol.4 No.2

        The serotonin has been known to play important roles in pathology of the mood disorders. We summerize the evidences of serotonin in pathology of the mood disroders in a view of neuroanatomical and neurochemical aspects. Nowaday, th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SSRIs) may be practically the first line of antidepressants with traditional tricyclic antidepressants(TCAs). Authors review the role of serotonin in the treatment of the mood disorders, in a view of the general considerations in selecting antidepressants, pharmacology, therapeutic indications, side effects, doses of medication, drug-discontinuation syndrome, drug-to-drug interactions, and special therapeutic situations.

      • 정신과 및 타과 환자에서 한약복용에 대한 인식과 의료추구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정인과,김진세,이현수,유승호,곽동일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정신과 및 타과 환자에 있어 의료추구행위로서 한약에 대한 인식과 한약치료 선택의 동기 그리 고 의료행위로서의 한약복용에 따르는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한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향후 정신과 환자들에 대한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연구 대상은 내과계 환자 93명, 외과계 환자 81명, 정신과 환자 102명으로 총 277명이었다. 이들에게 정신 과 의사가 반구조화된 방식의 질문지를 사용하여 한약 복용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 과: 정신과 환자들은 타과 환자들과 마찬가지로 의료추구행위에 있어서 한방의 전통적인 질병개념에 따라 한약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더 나아가 정신과 환자들은 한약을 치료제로서 여기는 빈도가 타과 환자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약물의 부작용에 대해서 더욱 무비판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결 론: 정신과 환자들이 현대의학적 치료와 한의학적 치료를 같이 받고 있는 경우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현대의학과 한의학 중 어느 한쪽의 우위만을 강조하는 배타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보다 상호교류와 이해에 기초 한 태도로 환자들의 질병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 단어: 의료추구행위·질병개념·한약. Objectives:The anthors examined health-seeking behavior about using herbal medicine in psyciatric and other clinical patients. The effect, side effect and motives in selecting herbal medicine were examined also. This study aimed at presenting treatment guide for psychiatric patients hereafter. Method:Subjects were consisted of 277 patients who were 93 medical, 81 surgical, and 102 psyhiatric patients. We made a questionnaire checking circumstances on taking herbal medicine. The investigating psychiatrist conducted person to person semi-structured interview using this questionnaire. Results:Psychiatric patients preferred herbal medicine to western medicine, as other clinical patients did. In their health seeking behavior, classical illness model of oriental herbal medicine occupied a central position. In addition, psychiatric patients not only regarded herbal medicine as a more symtom- specific therapeutic medication, but also accepted side effects of herbal medicine uncritically than other clinical patients. Conclusions:As it is known that many psychiatric patients take both oriental and western medical treatment, we should not have exclusive attitude to emphasize one side between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Rather, we should deepen our understandings about oriental herbal medicin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강박장애와 연관된 장애들

        정인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4 신경정신의학 Vol.33 No.4

        It was only a decade ago that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was thought as a rare disorder with poor prognosis. Now it is recognized as a common psychiatric disorder. but current diagnostic classification systems are struggling with a possible over lap of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with several related disorders, including body dysmorphic disorder, depersonalization, anorexia nervosa, hypochondriasis, trichotillomania, Tourette's syndrome, sexual compulsion, pathological gambling, and impulsive personality disorders. These obsessive compulsive related disorders may share various characteristics, including clinical symptoms, associated feature, presumed etiology, genetic familial transmission, and response to selective pharmacological or behavioral treatment. However, overlap between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and these various disorders on these features is not uniform. Although this overlap does not established a definite relationship between disorders, it does provide confirmatory evidence to support a presumed relationship. Further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of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to its related disorder is required. These relationship may be investigated using phenomenological studies, family data, neurochemical & neuroanatomical studies, and pharmacotherapeutic dissection. Exploration of the obsessive compulsive related disorder will be in turn cou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and will lead to new ways of characterizing this important and complex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