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옥천지역 동학농민혁명과 진압군 활동 - 『갑오군정실기』 기록을 중심으로

        정을경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6

        옥천지역은 보은과 함께 동학농민혁명의 진원지로서 중요한 곳이다. 보은은 보은집회로 동학농민혁명이 시작한 곳이며, 1893년 10월부터 약 1년 동안 최시형이 기거하면서 동학교인을 통솔한 곳이다. 옥천의 동학농민군들의 움직임은 1894년 3, 4월 경으로 짐작된다. 옥천을 포함한 충북지역 출신의 동학농민군들은 전라도 내려가 전봉준부대에 합류했던 것으로 보이며, 4월 중순 이후 대부분 해산하였다. 이 시기부터 옥천의 동학농민군은 인근 지역의 동학농민군들과 호응하면서 활동하였고, 최시형이 있던 청산리를 중심으로 동학교인들이 세력을 넓혔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첫 기포는 7월 18일에 크게 봉기하였다고 하나, 관련 활동상은 파악되지 않는다. 최시형은 9월 18일 총기포령을 내렸고, 옥천의 박석규를 비롯하여 옥천 일대에서 활동하던 접주들이 합세하였다. 이들의 첫 활동은 10월 2일로 확인된다. 10월 19일을 즈음하여 일대의 동학농민군들이 모여 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10월 중순에서 하순까지는 전봉준 부대와 손병희 부대가 공주에서 한다리 ‘한솔벌’ 전투를 시작으로 효포전투, 이인전투 등을 전개했다. 이때 옥천의 동학농민군들이 손병희 부대로 들어가 전투를 전개했고, 한편 동학농민군 주력이 공주 방면으로 이동하고 난 이후의 옥천 주변의 동학농민군들은 10월 중순부터 회덕, 연기, 청주 등지를 거쳐 옥천으로 집결하였다. 이들은 증약전투에 이어 11월 5일에는 청산 석성리에서, 11월 8일에는 문바위골에서 전투를 벌였고 피해가 컸다. 특히, 충북 남부지역에서 민보군에 의한 동학농민군의 탄압이 가장 성행했던 지역이 옥천이었다. 옥천지역에서 양반세력과 동학농민군 사이의 갈등의 골이 깊었다는 점을 시사한다. 공주에 있던 전봉준 부대와 손병희 부대는 10월 말경 논산으로 내려갔고, 11월 6~7일경 다시 공주로 북상했다. 이들은 남북접이 연합하여 우금치전투에서 치열한 전투를 전개하였고, 결국 실패했다. 한편 11월 8일 옥천의 양산장에 동학군 몇 천명이 모여 관군과 접전을 벌였고, 50여명이 희생당했다. 11월경 동학군과 관군에게 옥천은 중요한 장소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옥천을 중심으로 일본군은 11월 9일 옥천에서 금산, 11월 16일 문의에서 옥천, 18일 옥천에서 영동, 아산 등으로 이동했다. 옥천지역의 동학농민군의 피해도 극심했다. 11월 5일을 전후하여 옥천지역의 피해가 컸고, 11월 말경에서 12월 초에는 옥천 일대의 동학농민군들이 관군과 접전을 펼쳐 큰 피해를 입었다. 옥천지역에서 동학농민혁명을 진압한 대표 인물은 박정빈, 김재빈, 김진오, 원준상, 육상필 등으로 파악된다. 이후 옥천 동학농민군들은 속리산으로 들어갔다. Okcheon is an important place as the epicenter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with Boeun. Boeun is the place that it began by Boeun Rally and Choi, Sihyeong lived in and directed Donghak believers for about a year since October 1893. Donghak peasants’ movement in Okcheon is estimated to have begun around March and April 1894. Donghak peasants from Chungbuk including Okcheon seems to have gone to Jeolla-do and joined Jeon Bongjun Army and most of them dispersed after Mid April. Donghak peasants in Okcheon responded to the ones near it were active since then. And it is judged that Donghak believers widened their influence with Cheongsan-ri that Choe, Sihyeong stayed in as the center. After that, they say the first uprising on July 8 was great, but the related activities are not understood. Choe, Sihyeong ordered the whole uprising on September 18 and the district assembly leader who had been active in the whole area of Okcheon as well as Park, Seokgyu in Okcheon joined it. Their first activity was checked as October 2. Donghak peasants in the whole area gathered and developed their activities around October 19. Starting with ‘Hansolbeol’ Battle in Handari, Gongju, Jeon Bongjun Army and Son Byonghi Army developed Hyopo Battle and Iin Battle from mid to mate October. At this time, Donghak peasants in Okcheon joined Son Byonghi Army and developed battles. Meanwhile, the main force of the Donghak peasant army moved to Gongju and then the ones around Okcheon gathered in Okcheon via Hoedeok, Yeongi, Cheongju, etc. since mid October. They had battles in Seokseong-ri on November and Munbawigol on November 8 after Jeungyak Battle and were baddly damaged. Especially, it was Okcheon that was the place that Minbogun in Southern Chungbuk most suppressed the Donghak peasant army. It implies that conflicts between the noblemen and the Donghak peasant army went far deeper in Okcheon. Jeon Bongjun Army and Son Byonghi Army that had been in Gongju went to Nonsan late October and again came back to it aroung November 6 to 7. They fiercely fought in Ugeumchi Battle as Donghak Northern and Southern Assembles united and finally failed. Meanwhile, thousands of people of Donghan Army gathered and back and forth battled with the government army in Yangsanjang in Okcheon on November 8 and more than 50 people were sacrificed. Okcheon is judged to have been an important place to Donghak Army and the government army around November. The Japanese army moved from Okcheon to Geumsan on November 9, from Muneui to it on November 16, and from it to Yeongdong, Asan, etc. on 18 with it as the center. The Donghak peasant army in Okcheon was extremely damaged. Okcheon was badly damaged before and after November 15 and the Donghak peasant army was badly damaged by having a close battle with the government army in the whole area of Okcheon from late November to early December. The representative persons who suppresse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whole area of Okcheon are judged to be Park, Jeonbin, Kim, Jaebin, Kim, Jino, Won, Junsang, Yuk, Sangpil, etc. After the Donghak peasant army in Okcheon went to Songnisan Mt.

      • KCI등재

        동학농민군 이병춘의 생애와 독립운동

        정을경 동학학회 2019 동학학보 Vol.0 No.53

        Donghak peasant armies who participated in Donghak peasant innovation developed in 1894 at Chungcheong-do, Jeolla-do displayed Donghak rehabilitation activity and after 1905, entered Cheondogyo reorganizing Donghak and displayed religious activities. In addition, people who played a great role in Donghak conducted activities such as initiative participation in independence movement of religious body. However, the activities were also grasped by restricting people who did a great role. Donghak peasant revolution occurred for antiforeign, through the process of anti-Japan and independence movement of Donghak people participated in the revolution, it will be the opportunity to analyze the ideology. Through a person ‘Lee, Byung-chun’ born in Imsil, Jeollabuk-do, this researcher intends to investigate how Donghak peasant armies are related to 1919 independence movement. He planned 1919 independence movement displayed in Tapdong Park, Seoul, and was sentenced 3 years of imprisonment due to the participation. After discharged from prison, his payment of military fund to provisional government was discovered and sentenced by 2 years of imprisonment again. As his contribution was recognized by government, he obtained a prize of patriotism. There is few matters other than it. As Lee, Byung-chun believed Donghak in the middle of 20s, he played in Donghak and Cheondo religious body for his whole lifetime. After participating in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middle of the 20s, he contacted Donghak leaders continuously in spite of the failure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contributed to rehabilitation of Donghak. And then, as Donghak was reorganized to Cheondogyo in 1905,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body and became a core person of the body. In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displayed in the whole country, he collected fund of independence movement, etc., and was imprisoned for 5 years. But, his core activities were not revealed yet properly and it’s the assignment to be solved in the process of following researches. After Lee, Byung-chun was imprisoned due to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he displayed activities continuously in the religious body. The activities were neither independence movement showed outward nor racial movement, but Cheondo religious body continuously took an important position. He supported Park, In-ho who was the 4th religious sect leader at that time and it implies that he participated in non-negotiated movement displayed by old sect. Most of Donghak religious people including Lee, Byung-chun participated in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body, including religious activities, continuously in Cheondogyo. 1894년 전라도와 충청도를 중심으로 전개된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했던 동학농민군들은 이후 동학농민군들은 동학 재건활동을 펼치기도 하고 1905년이후에는 동학이 재편되는 천도교로 입교하여 교단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또한 동학에서 큰 활동을 했던 인물들은 교단에서 진행한 독립운동에 주도적인 참여를 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역시도 크게두드러지는 활동을 했던 인물들에 한정되어 활동상이 파악되는 것에 그쳤다. 반외세라는 기치를 걸고 일어난 동학농민혁명, 그 혁명에 참여한 동학교인의항일, 독립운동으로의 과정을 통해 이념을 분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전라북도 임실 출신 ‘이병춘’이라는 인물을 통해 동학농민군이 3.1만세운동에 어떻게 연관되어 참여하였는지 추적해보려고 한다. 이병춘이라는 인물은서울 탑동공원에서 전개된 3.1만세운동을 계획하였을 뿐 아니라 참여하여 징역 3년을 언도받았고, 출옥 이후에도 임시정부에 군자금을 송금하다가 발각되어 다시 징역 2년을 언도받았다. 이러한 공로를 정부로부터 인정받아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이 사실 이외에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이병춘은 20세 중반 동학을 믿게 되면서, 생을 마감할 때까지 일평생 동안 동학과 천도교단에서 활동한 인물이었다. 20세 중반 동학농민혁명 참여를 시작으로, 동학농민혁명이 실패로 귀결되었음에도 꾸준히 동학의 지도자들과 접촉하면서 동학의 재건활동에 힘을 쏟았다. 이후 1905년을 기점으로 동학이 천도교로 재편되면서도 교단에서 중요한직책을 맡으면서 교단의 핵심 인물로서 역할을 하였다. 그런 그가 전국적으로 전개되는 3.1운동에서는 독립운동자금을 모금하는 등의 활동으로 5년이라는 기간의 옥고를 치르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그의 이 핵심적인 활동이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는 점은 향후 연구를 진전시키는 과정에서 해결해야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이병춘은 3.1만세운동과 관여된 활동으로 옥고를 치룬 이후에도 꾸준히 교단에서 활동을 전개한다. 그 활동이 겉으로 드러나는 독립운동이나 민족운동은 아니었지만, 꾸준히 천도교단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였다. 또한 그가 당시 4세 교주였던 박인호를 지지하였다는 점은 구파가 전개한 비타협 운동노선에 함께 했다는 점을 시사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이병춘을 비롯한 대부분의 동학교인들은 천도교에서도 꾸준히 종교활동을 포함한 교단의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

        혁명과 독립운동의 연관성- 충남지역 동학농민군 분석을 통해

        정을경 동학학회 2022 동학학보 Vol.- No.61

        일제강점기 자료에 의해 당시 동학 교인수는 70~80만여 명으로 추 산된다. 그러나 이 중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충남 출신 교인의 명부는 2015년에 교단에서 발간한 『동학천도교인명사전』과 부여, 예산, 서산, 논산에 남아 있는 교인 명단이 전부이다. 즉, 당시 추산되는 교인의 1/10에 해당되는 수치의 교인만이 파악될 뿐이다. 이 명단을 통해 충 남 출신을 선별하면, 충남 출신 동학 교인은 2,237명으로 확인된다. 또한 이 중 동학농민혁명에 직접적으로 참여한 교인은 36.4%의 비율인 816명이다. 현재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에 등록된 동 학농민혁명 참여자는 3,644명이며, 이 중 호남지역 참여자는 2,043명, 충청지역 참여자는 1,103명, 충남 출신 참여자는 816명이다. 출신지가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는 교인을 제외하고 충남지역 동학교 인의 출신 지역은 서산시가 17.1%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당 진, 논산, 예산, 공주가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서산지역은 서산관아를 공격하여 농민군 지도자 30여명을 구출하였으며, 관아와 관속들의 집 에 불을 지르는 등 동학농민혁명이 치열하게 전개된 지역이었다. 또한 동학농민군 참여가 높았던 당진, 논산, 예산, 공주 모두 충남에서 동학의 교세가 강성했으며, 동학농민혁명에서 중요한 전투가 벌어졌다는 점에서 동학교인의 비율과 참여도는 깊은 연관성을 갖는다. 충남 출신으로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했던 총 2,237명 중 동학농민혁 명 참여 이후 천도교단에서 활동한 인물들을 선별하기 위해, 동학농민 혁명에 참여하였다가 총살, 화형, 행방불명 등을 당해 이후의 삶을 지 속할 수 없었던 인물 405명을 제외하였다.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하였 던 1,832명 중 동학농민혁명 이후 천도교단에서 활동한 내역이 확인되 는 인물은 총 67명으로 확인되었다. 즉,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중 3.67%가 천도교단에서 일정한 직책을 맡아 활동을 한 것이다. 이 비율 은 수치적으로만 판단하여 낮은 수치라고 말할 수 없다. 동학을 종교 로 믿고 혁명에는 참여하지 않았던 농민군도 있었을 것이고, 동학농민 혁명에 참여했던 농민군이 천도교단에서 일정한 직책을 맡지 않고 일 반 교인으로 활동하여 기록으로 확인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수치는 목숨을 잃을 뻔한 혁명에 참여하였던 농민군이 또다 시 교단에 믿음을 갖고 그 종교가 추구하는 독립운동과 활동에 함께 했 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하는 수치이다. 67명 중 접주 등의 지도자의 위치에 있었던 농민군은 24명이었으 며, 충남지역에서 일어난 동학농민혁명에 여러 차례 참여한 농민군도 18명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또한 이들 중 절반 이상의 농민군은 내포지역의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하였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67명 중 천도교단에서 뚜렷한 직책을 맡지 않았던 인물은 13명이 전부이다. 즉, 80%가 넘는 인물들이 교단에서 중요 직책을 맡고 있었다. 동학농 민혁명에서 지휘력을 갖고 농민군을 진두지휘한 위치에 있던 동학농민 군은 천도교단에서도 중요 직책을 맡았던 것이다. 즉, 동학 내에서의 위치와 참여도가 천도교 내에서도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미쳤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밖에도 67명 중 4명은 동학농민혁명 참여와 함께 독립운동에도 참여하였던 내역이 확인된다. 박인호는 천도교 제4세 교주로, 충남 일 대를 돌면서 포덕활동을 펼쳐 충남의 동학 교세 확장에 큰 역할을 ... The number of Donghak (Eastern Learning) believer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s estimated to be 700,000 to 800,000 persons. However, the registers of the believers from Chungnam who can be identified now are just found from 『Biographic Dictionary of Donghak Believers』 published by the religious body in 2015 and the lists of the believers left in Buyeo, Yesan, Seosan, and Nonsan. That is, the believers who are applicable to 1/10 of the then estimated believers are just identified. Selecting the believers from Chungnam in these lists of names, the Donghak believers from Chungnam have found to be 2,237 persons. And among them, the believers who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re 816 people, the rate of 36.4%. Now, the participants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registered in the National Commission o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re 3,644 people and among them, the participants in Honam are 2,043 people, the participants in Chungcheong are 1,103 people, the participants from Chungnam are 816 people. Execpt the believers whose their hometowns were not clearly identified, hometowns of Donghak believers in Chungnam have found that Seosan is highest as 17.1%, followed by Dangjin, Nonsan, Yesan, and Gongju. In Seosan, more than 30 leaders of the peasant army were rescued by attacking Seosan Government Office an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cluding setting fire to the government office and the government officials’ houses were fiercely developed in it. And Donghak’s religious influence were powerful in All the Chungnam areas including Dangjin, Nonsan, Yesan, and Gongju where a lot of Donghak peasant armies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Donghak believers’ rate and participation has a great correlation with Seosan in that there were important battles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order to select people who were active in the Religious Body of the Heavenly Way after participating in th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mong the total 2,237 people from Chungnam who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405 people who could not live because of being shot dead, being burnt at the stake, or being missing after participating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ere ruled out. Then, the people who were active in the Religious Body of the Heavenly Way in the details among the total 1,832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have found to be total 67 people. That is, 3.67% of the participants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ere active in the Religious Body of the Heavenly Way assuming positions. This rate is not low by judging the numerical value. There were the peasant armies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revolution even though they believed in Donghak and there were the cases that the peasants who participated in it were not recorded because of being active as the general believers without positions of the Religious Body of the Heavenly Way. Therefore, the numerical value is very meaningful in that the peasa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revolution and had almost lost their life again were active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activities sought by the religion trusting in the religious body. As the peasants who were leaders including Jeopju among 67 people were 24 people and the peasants who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Chungnam several times were 18 people, they have the high rates. And over half of the peasants among them were characterized by participating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Naepo. The people who did not have positions in the Religious Body of the Heavenly Way among 67 people were just 13 people. That is, more than 80% of them had important positions in the religious body. The Donghak Peasant Army that led the peasant armies with the ability to comman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had also important positions in the Religious Body of the Heavenly Way. That is, posi...

      • KCI등재

        충남지역 근현대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방안

        정을경(鄭乙璟)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40

        근현대 문화유산과 관련한 연구성과는 주로 현재까지 남아 있는 유적과 관련한 현황 파악과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한계는 근대 역사를 콘텐츠로서 활용하는 방안으로 진척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도 근대라는 시기의 특정 사건에 대한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종합적인 근대 문화유산에 대한 현황 파악과 활용을 조망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성과가 가지고 있는 특정 사건이나 분야가 아닌 근현대 문화유산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시작으로 보존 및 활용방안에 대한 광범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근현대 문화유산은 공간적인 범위를 현재의 전국으로 설정하고, 부동산과 동산 등의 유형유산을 형태적인 범위로 한정한다. 시대적 범위는 1876년 개항을 기점으로 하되, 근대성을 지닌 유산을 포괄한다. 또한 보존과 수집, 활용대상의 큰 범위는 국가 또는 도시군 단위의 지정문화재, 문화재자료,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하여야 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점은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사건, 인물, 장소, 양식, 건축 등과 관련하여 지역민이 공감할 수 있다는 점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각 지역의 명물로서 미래세대에 전승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유형의 것으로 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기준에 입각하여 충남의 근현대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한 근현대문화유산의 보존방안은 예비문화재나 등록문화재로 포괄하는 제도 정비, 지속적인 보존과 활용을 염두에 둔 아카이브 및 콘텐츠 활용, 주민이나 주민단체가 스스로 진행할 수 있는 보존활동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들을 대상으로 한 근현대 문화유산의 활용방안으로는 문화상품개발, 지역 특산품을 관광화로 연계, 무형문화유산의 가치 제고, 매핑과 온라인서비스, 관광버스, 사진활용, 해상 관광 루트 연계를 통한 여행 및 관광으로의 활용, 상업공간, 여행자 숙소, 교육문화공간, 시민동호회 활동 지원을 통한 공간 활용, 스토리텔링 발굴, ‘주제’를 갖는 마을 조성, 웹툰 제작, 지역재생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Research outcomes related to modern cultural heritages are almost about grasping and application of current situation related to relics that are remained at present. The limits were promoted as a measure utilizing modern history as contents. However the object of this research was contents related to particular accident of the modern times, so it did not investigate grasping and utilization of current situation for general modern cultural heritages. This research intends to give broad suggestion about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after the start of worries about the method to define modern cultural heritages, particular accident or field of existing research outcomes. Modern cultural heritages set spatial range as the whole country of the present and restrict tangible heritages such as real estates, movables, etc. as typical range. Periodical range should be on the base of port opening of 1876, but include heritages with modern periodicity. In addition, the big range of preservation, collection, and application objects should restrict what are not nominated as nominated cultural heritages, cultural heritage materials, and registered cultural heritages of country or city unit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residents may sympathize in relation to accidents, persons, places, styles, constructions, etc. representing the area. Furthermore, it should set the types judged to have the value of transferring to the future generation as famous one of each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standard, preserv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for modern cultural heritage of Chungnam suggested arrangement of systems including preliminary cultural heritage and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archive and contents activity considering continual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preservation residents or their groups can progress for themselves, etc. Also, as applications of modern cultural heritage for them,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relation between regional special products and tourism, improvements of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apping and online service, application of tourism bus and photo, application of trips and sightseeing by relating to marine sightseeing route, commercial space, tourist lodging, space of educational culture, application of the space through supports of citizen community activity, excavation of storytelling, creation of the village with ‘subject’, production of webtoon, and regional reproduction, etc.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