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고주파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으로 증착한 PDP용 ${Mg_{1-x}}{Zn_x}$O 보호막의 전기광학적 특성연구

        정은영,이상걸,이도경,이교중,손상호,Jeong, Eun-Yeong,Lee, Sang-Geol,Lee, Do-Gyeong,Lee, Gyo-Jung,Son, Sang-Ho 한국재료학회 2001 한국재료학회지 Vol.11 No.3

        교류구동형 플라즈마 표시소자의 보호막으로 사용되는 MgO의 특성향상을 위하여 기존의 MgO에 양이온이 등전적으로 치환될 수 있는 ZnO를 소량 첨가하여 고주파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으로 $Mg_{1-x}$Z $n_{x}$O박막을 성장시키고 박막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ZnO농도가 0.5 at%, 1at%인 $Mg_{1-x}$Z $n_{x}$O 박막을 보호막으로 갖는 PDP 테스트 판넬을 제작하고 ZnO의 첨가가 소자의 방전전압과 메모리 이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ZnO농도가 0at%, 0.5 at%, 1at%인 $Mg_{1-x}$Z $n_{x}$O 박막의 광투과율은 ZnO 첨가에 따라 변화를 보이지 않으나 유전상수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ZnO의 농도가 0.5 at%인 $Mg_{1-x}$Z $n_{x}$O 박막을 보호막으로 갖는 PDP 소자의 방전개시전압과 방전유지 전압이 MgO 박막을 보호막으로 갖는 소자에 비해 20V까지 낮아졌고, 결과적으로 메모리계수는 다소 증가하였다. ZnO농도가 0.5 at%, 1at%인 $Mg_{1-x}$Z $n_{x}$O 박막을 보호막으로 갖는 소자에서 ZHO의 첨가에 비례하여 방전세기 (플라즈마 밀도)가 증가하였다.도)가 증가하였다.도)가 증가하였다. M $g_{1-x}$ Z $n_{x}$O thin films with various composition x of ZnO were fabricated by a RF magnetron sputtering method, which is expected to improve the electro-optical properties of the conventional MgO protective layer for AC-PDP. Test panels with the $Mg_{1-x}$Z $n_{x}$O protective layer have been fabrica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ZnO doping o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such as the discharge voltages and the memory gain.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test panels with the $Mg_{1-x}$Z $n_{x}$O(x=0.5at%) protective layer show lower firing and sustain voltages than those seen in panels with MgO protective layer by 20V. resulting in an increasement of the memory coeffici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est panels with the $Mg_{1-x}$Z $n_{x}$O protective layer show higher discharge intensity, i. e., higher plasma density, compared with panels with MgO protective layer.ve layer.layer.

      • 요양보호사를 위한 노인요양시설 재난·안전 사고 예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은영(Jung, Eun Young),황종원(Hwang, Jong Won),서지혜(Seo, Ji Hye),홍주영(Hong, Ju Yeong),김혜인(Kim, Hye In),임현지(Im, Hyun Ji),조유진(Cho, Yu Jin),서은희(Seo, Eun Hui) 국가위기관리학회 2020 국가위기관리학회보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노인요양시설 내 재난·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안전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1단계에서는 문헌고찰과 설문조사를 통해 재난·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서 필요한 영역을 감염, 낙상, 화재, 중독으로 선정하였다. 2단계에서는 지식, 태도, 실무의 변화를 본 프로그램의 목표로 선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프로그램 요인을 정보요인, 동기요인, 행동기술요인으로 세분화하여 구성하였다. 4단계에서는 본 프로그램을 총 5회차로 구성하면서 매 회차별 소요시간은 1시간 30분 이내이며 기본적인 교육 방법은 강의, 소그룹 토의, 발표, 실습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추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safety performance of care-givers in order to prevent disasters and safety accidents in nursing home. In phase 1, in order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was selected as infection, falls, fires, and poisoning. In phase 2, changes i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were selected as the goal of the program. In phase 3, consisted of subdividing the program factors into information factors, synchronous factors, and behavioral technical factors. In phase 4, while the program consists of a total of five times, each discriminatory time is within 1 hour and 30 minutes, and the basic teaching methods consisted of lectures, small group discussions, presentations, and exercises

      • 한국 산양의 두개골과 하악골의 해부학적 연구

        오정우 ( Jung-woo Oh ),이성경 ( Sung-kyung Lee ),조재운 ( Chea-un Cho ),최영재 ( Yeong-jae Choe ),현보라 ( Bo-ra Hyun ),정은영 ( Eun-young Jeong ),강정훈 ( Jung-hoon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2

        산양(Naemorhedus caudatus)은 동북아시아, 러시아, 중국, 한국의 고산지대에 분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종 1급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 목록(IUCN Redlist)에 취약등급(VU)으로 지정되어 있다. 머리의 형태를 이루는 두개골(Skull)은 외관상 하나의 뼈처럼 보이지만 많은 뼈들이 서로 밀접하게 결합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두개골은 대뇌, 소뇌, 연수 등 뇌 조직을 싸고 있는 뇌두개와 코와 입을 구성하는 안면으로 구분된다. 하악골(Mandibulae)의 형태는 동물의 섭식습성이나 저작운동의 형태와 강도에 따라 근육의 발달정도에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근육의 부착점인 하악골의 발달정도의 차이를 나타내며, 이빨의 개수 및 배열상태, 치아궁의 형태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산양의 두개골 및 하악골에 대한 계측학적 연구는 생후 1령의 산양을 계측한 이홍식(1993)과 이성준(1994)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였으며, 1령의 경우 골격 및 신체가 완전한 성장이 이루어진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산양의 성체만을 대상으로 두개골과 하악골의 측정 데이터를 계측학적 측면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본산양(Capricornis crispus)의 경우 주요 계측치가 통계적으로 암수차가 없다는 점을 근거하여, 연령 및 이력이 있는 (사)한국산양보호협회의 개체 14마리를 암수 구분 없이 선정하였다. 후두골과 환추골 사이를 절단하여 두개부를 분리하고 증류수에 중불로 6시간 끊인 후 연조직을 제거하여 골격표본을 제작하였다. 10~15령 미만은 6마리, 15령 이상은 8마리로 분류하였고, 두개골은 Driesch(1976), 하악골은 Nishida and Hayashi (1983)가 제시한 계측점 측정법을 참고하여 두개골은 25개, 하악골은 14개의 계측점을 버니어캘리퍼스(Mitutoyo, CD-15 PSX, JP)로 0.01㎜단위까지 측정하였다. 연령별로 계측부위에 차이가 있는지 맨-휴트니검정(Mann-Whitney U test, p<0.05)하였고, 각 측정부위별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두개골과 하악골 모두 연령별로 유의성은 없었으며, 10령 이상의 산양은 두개학적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같은 성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의 성체집단으로 보고 두개골과 하악골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두개골은 두개골길이와 두개바닥길이, 두개골길이와 구개길이, 두개바닥길이와 구개길이, 안와사이폭과 안면높이, 오른쪽뿔과 왼쪽뿔길이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악골은 하악골길이와 턱끝부터 관절돌기까지 길이, 하악골길이와 하악패임부터 안면혈관패임_____까지의 길이, 턱끝부터 관절돌기까지의 길이와 하악패임부터 안면혈관패임까지의 높이, 관절돌기부터 안면혈관패임까지의 길이와 하악패임부터 안면혈관패임까지의 높이, 하악골길이와 이빨틀 사이모서리 길이, 턱끝부터 관절 돌기까지 길이와 이틀사이모서리 길이, 양쪽 하악골사이 최대 폭과 양쪽 마지막큰어금니사이 폭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두개골길이는 두개바닥길이, 구개길이와 밀접하게 영향을 주는 부위인 것을 알 수 있었고, 하악골길이는 턱끝부터 관절돌기까지의 길이, 하악패임부터 안면혈관패임까지의 높이, 이빨틀 사이모서리의 길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계측부위는 성장하며 골격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성장기준이 되는 계측점으로써의 역할과 골격의 형태를 결정짓는 부위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충분한 샘플을 확보하여 연령별 계측학적 분석을 통해 성장요소의 부위별 차이를 규명하는 연구를 추가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 KCI등재

        산지별 돈육 삼겹살과 목심의 품질특성

        김성영,정은영,육진수,김영순,김진만,서형주,Kim, Seong-Yeong,Jung, Eun-Young,Yuk, Jin-Soo,Kim, Young-Soon,Kim, Jin-Man,Suh, Hyung-Joo 한국축산식품학회 2007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7 No.2

        산지별 돼지고기의 삼겹살과 목심에 대한 품질특성을 측정한 결과, 일반성분은 제주산 삼겹살과 목심이 타 지역의 돼지고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지방 함량을 보였다. 제주산 삼겹살과 목심의 포화지방산 함량은 46.6과 41.6%를,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50.3과 58.4%를 각각 보였다. 콜레스테롤 함량은 충북산 돼지고기가 타 지방의 돼지고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이에 비해 제주산 삼겹살과 목심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565.6과 507.6 ${\mu}g/g$이었다. 돼지고기의 웅취 원인물질인 skatole 함량은 제주산 삼겹살과 목심이 0.013과 0.065 ${\mu}g/g$으로 타 지역 돼지고기에 비해 상당히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이 결과는 제주산 돼지고기가 타 지방의 돼지고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취가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직감의 특성 중 소비자들에게 가장 큰 식감의 차이를 느끼게 하는 씹힘성은 제주산 삼겹살이 376.5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이 값은 다른 시료들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이 결과는 다른 시료들의 돼지고기에 비해 제주산 삼겹살이 조직감에서 우수한 식미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쇄한 돼지고기의 대한 색도를 측정한 결과, 명도를 나타내는 $L^*$ 값은 전반적으로 삼겹살이 목심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으며, 적색도를 나타내는 $a^*$ 값은 $L^*$ 값과는 달리 목심이 삼겹살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고, 황색도의 지표인 $b^*$ 값은 각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각 산지별 돼지고기의 맛, 풍미, 조직감 및 기호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제주산 삼겹살이 풍미와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평가 결과를 보였으나, 시료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pork quality according to various producing district. The results of whole component analysis of pork according to diverse producing district were showed high level of fat content in Jeju island-belly and shoulder loin than other pork samples. And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of Jeju island-belly and shoulder loin of pork were showed 46.6 and 41.6%, respectively, and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of Jeju island-belly and shoulder loin of pork were showed 50.3 and 58.4%, respectively. Chungbuk-pork was relatively showed high level of cholesterol content than other pork samples. On the other hand, cholesterol contents of Jeju island-belly and shoulder loin of pork were showed 565.6 and 507.6 ${\mu}g/g$, respectively. Skatole contents of Jeju island-belly and shoulder loin of pork were showed low level(0.013 and 0.065 ${\mu}g/g$) than other pork samples. This results mean that Jeju island-belly and shoulder loin of pork have less order than other pork samples. The chewiness of texture that consumers feel the biggest difference in palatability of meat showed significantly high level(376.5 g) in Jeju island-belly of pork(p<0.05). This result represent that Jeju island-belly of pork have the best sense of the texture than other pork samples. $L^*$(lightness) value of ground pork was generally showed high value in belly than shoulder-loin of pork. However, $a^*$(redness) value of ground pork showed high value in shoulder-loin than belly of pork.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yellowness) value among the samples(p>0.05). The results of sensory test(taste, flavor, texture and palatability) from pork according to various producing district showed good flavor and palatability in Jeju island-belly of pork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amples(p>0.05).

      • SCOPUSKCI등재

        지속성외래복막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Trichosporon beigelii 복막염

        양중일 ( Yang Jung Il ),김미애 ( Kim Mi Ae ),정은영 ( Jeong Eun Yeong ),백주은 ( Baeg Ju Eun ),하혜정 ( Ha Hye Jeong ),김현정 ( Kim Hyeon Jeong ),박동준 ( Park Dong Jun ),장세호 ( Jang Se Ho ),전은실 ( Jeon Eun Sil ) 대한신장학회 2004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3 No.3

        Fungal peritonitis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patients dropout from continuous amblu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therapy. Although the most causative agents of peritonits associated with CAPD are bacteria, fungi are implicated in up to 10% of cases. The most common organism of fungal peritonitis is Candida specises, but Trichosporon beigelii was reported as a rare causative agent of fungal peritonitis. We experienced a case of CAPD peritonitis by Trichosporon beigelii, which was treated with CAPD catheter removal, and antifungal agents with amphotericin B and fluconazole. Thus, we report our experience of CAPD peritonitis caused by Trichosporon beigelli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Korean J Nephrol 2004;23(3):518-522)

      • SCOPUSKCI등재

        리튬에 의해 동시에 발병된 미소 변화 신질환 및 만성 세뇨관 간질성 신염

        하혜정 ( Ha Hye Jeong ),정은영 ( Jeong Eun Yeong ),백주은 ( Baeg Ju Eun ),김현정 ( Kim Hyeon Jeong ),이경원 ( Lee Gyeong Won ),양중일 ( Yang Jung Il ),박동준 ( Park Dong Jun ),장세호 ( Jang Se Ho ) 대한신장학회 2004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3 No.3

        Lithium is commonly employed in the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s. The commonly reported nephrotoxic effects of lithium therapy are nephrogenic diabetes insipidus and chronic tubulointerstitial nephropathy with little or no proteinuria. Mild proteinuria is a common manifestation of most renal injuries including nephrotoxicity by lithium. But nephrotic syndrome related with lithium therapy is very rare and only one case of membranous glomenilonephritis has been reported in Korea by this time. We report a lithium toxicity case manifested by nephrotic syndrome, nephrogenic diabetes inspidus and chronic renal insufficiency in a 4-year-old man who had been taking lithium for 13 years for bipolar disorder. Kidney pathology showed minimal change disease and chronic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which can be seen in chronic lithium toxicity. Polyuria and massive proteinuria disappeared with the withdrawal of lithium. Renal function was gradually improved but not to norma range. Careful and regular monitoring an the renal function in all patients on lithium treatment will be needed. (Korean J Nephrol 2004;23(3) :500-504)

      • KCI등재
      • KCI등재

        섬오갈피나무 줄기 유래 테르펜 화합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

        문승리 ( Seung Ri Mun ),현주미 ( Ju Mi Hyun ),조연정 ( Yeon Jeong Jo ),정은영 ( Eun Yeong Jung ),이남호 ( Nam Ho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7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3 No.4

        본 연구에서는 섬오갈피 줄기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미백 활성을 검색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섬오갈피 줄기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교적 세포독성이 적은 헥산 분획물에서 유효성분을 찾고자 크로마토크래피를 실시하여 3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sup>1</sup>H 및 <sup>13</sup>C NMR 데이터 분석 및 문헌 비교를 통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kaurenoic acid (1), 16α-hydro-17-isovaleroyloxy-ent-kauran-19-oic acid (2), 16α-hydroxy-17-isovaleroyloxy-ent-kauran-19-oic acid (3).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미백 활성 실험 결과, 화합물 1-3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세포 내 티로시나제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섬오갈피 줄기 추출물은 기능성 미백 화장품 소재로써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A. koreanum was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constituents possessing whitening effects. As anti-melanogenesis activities were screened for the ethanol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n-hexane (Hex) and ethyl acetate (EtOAc) fractions showed the most potent activities. Three constituents were isolated from the n-Hex fraction of A. koreanum; kaurenoic acid (1), 16α-hydro-17-isovaleroyloxy-ent-kauran-19-oicacid (2), 16α-hydroxy-17-isovaleroyl-oxy-ent-kauran-19-oic acid (3).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isolated compounds were elucidated based on the spectroscopic data including <sup>1</sup>H and <sup>13</sup>C NMR spectra, as well as comparison of the data to the literature values. Whitening effects were studied for the isolated compounds. Upon the anti-melanogenesis test using α-MSH stimulated B16F10 melanoma cells, the compounds 1, 2 and 3 inhibited the cellular melanogenesis an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ies eff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A. koreanum stems extract could be potentially applicable as whitening ingredients in cosmetic formulations.

      • 발광형 COS조작봉의 안전작업 효과 분석

        최명호(Myeong-Ho Choi),지용헌(Yong-heon Ji),김동식(Dong-Sik Kim),이순배(Soon-Bae Lee),최상준(Sang-Jun Choi),정은영(Eun-Yeong Jung) 대한전기학회 2009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7

        COS 조작봉은 선로의 사고나 설비교체 또는 수리 등이 필요할 때 활선상태에서 COS를 개폐하기 위한 장비로서 보통 절연특성 및 강도가 우수하고 경량소재인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로 제작된다. 따라서 특고압 선로에서 작업 중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인 만큼 안전거리 확보와 작업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직접 조작봉을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제작되며, 조작봉의 크기는 작업 조건에 따라 길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2, 4, 6m급 등 길이에 따른 종류별로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COS 조작봉의 사용특징은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해야 하고, 특정한 사정에 의해선 작업자 혼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조작봉과 일체된 조명장치의 필요성이 항상 제기되어 왔던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주안을 두고 조작봉과 일체된 전계검출에 의한 발광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발광형 COS 조작봉에 대해 각각의 구성별 요소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