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흰쥐 편도체에서 칼슘결합단백인 calbindin-D28K함유 신경세포의 생후 발달에 관한 면역조직학적 연구

        정윤영,김종중,문정석,박영란,정상봉,김현곤,박상수 조선대학교 2001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6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calcium-binding protein, calbindin-D28K(CB) is widely distribution of CB in rat amygdala during postnatal maturation, in order to provide an insight into the developmental role it may play in the amygdaloid neurons. Materials and Methods : The present study is based on 28 postnatal cases ranging from the day of birth, postnatal day 0 (P0) to 30 days (P5, P10, P15, P20, P30), and these cases were compared with adult rat amygdala. Cryostat sections processed free-floating with monoclonal antibody by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 CB-immunoreactive neurons were already found at birth in all amygdaloid nuclei except the intercalated nucleus. The intensity and number of immunoreactivity of CB-containing neurons increased during the first 10 days of postnatal life but dramatically decreased at P15. Mature patterns of CB-immunoreactive neurons were achieved at P20. In the adult amygdala, CB-immunoreactive neurons were distributed in almost all amygdaloid nuclei except the intercalated nucleus. Conclusion : The present results show early appearance of CB immunoreactivity in the amygdala. It may be related to the early appearance of CB immunoreactivity in many other brain regions, and suggests that CB may play a functional role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nervous system including amygdala.

      • 돌발성 난청의 예후인자에 대한 평가

        정윤영 순천향의학연구소 1997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3 No.2

        Author analyzed 34 cases(38 ears) of sudden deafness which were treated with steroids, vasodilators and plasma expanders from September 1988 to January 1993 and evaluated the prognosis with using categorical judgement and improvement rate. The hearing recovery and prognosi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bove two method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ognosis by age was not significant, but female had better prognosis than male. 2) Unilateral cases had better prognosis than bilateral cas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affected side. 3) There was the best prognosis in cases which were affected in summer and the worst in cases who were affected in spring. 4) The prognosis was good in cases who were treated within 1 week after onset. 5) The porgnosis was good in cases of initial hearing threshold less than 80dB and poor in cases more than 81dB. 6) In pure tone audiogram, ascending pattern had the best prognosis and total loss pattern had the worst prognosis, The hearing loss in lower frequencies, the better prognosis. 7) In cases with dizziness, URI history and general diseases, prognosis was poor.

      • KCI등재

        저토피고 대단면 정거장터널의 설계

        정윤영,최해준,김병주,유봉운,김용일,오성진,Jeong, Yun-Young,Choi, Hae-Joon,Kim, Byung-Ju,Yu, Bong-Won,Kim, Yong-Il,Oh, Sung-Jin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07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9 No.2

        도심지 개착구간의 교통 및 환경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면적 $200\;m^2$ 이상의 정거장터널이 퇴적암반 중에 계획되었으나 토피고가 13 m 이하인 설계조건에 직면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패턴설계가 아닌 시공사례와 아칭효과 발현을 기초로 세 가지 요소 - 단면형상의 영향, 작용하중의 적용방법, 지보방안과 터널안정성분석 - 를 중심으로 설계방향이 논의되었다. 단면형상의 역학적인 영향에 기초하여 기본설계안과 연구단면안이 유도되었고, 지보방안은 터널천반부의 침하방지 및 역학적인 평형상태를 유지하기위한 파이프루프 보조공법과 NATM의 지보원리를 활용하였다. 두 설계안의 비교분석으로부터, 터널라이닝을 개착구조물의 연장선상에서 제약한 설계조건과 터널안정성 및 철근배근의 시공성에 대해 기본설계안이 적합한 방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동일한 건축한계로 아치부의 응력집중이 발생되지 않는 안정적인 응력분포를 나타내는 연구단면안의 분석결과에서 보듯이 향후 대단면터널 설계기술의 향상을 위해 단면형상의 영향과 이완하중의 적용방안이 심도 있게 검토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For minimizing the effect on the focus of civil traffic and environment conditions related to the excavation at the traffic jamming points, an underground station tunnel was planned with 35.5 m in length and bigger area than $200\;m^2$ in sedimentary rock mass. It faced the case that the overburden was just under 13 m. Not based on a pattern design but on the case histories of similar projects and arching effect, the design of large section tunnel under shallow overburden was investigated on three design subjects which are shape effect on the section area, application method of support pressure, and supporting and tunnel safety. According to the mechanical effect from section shape, a basic design and a preliminary design was obtained, and then supporting method of large section was planned by the supporting of NATM and a pipe roof method for subsidence prevention and mechanical stability. From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both designs, it was found that the basic design was suitable and acceptable for the steel alignment of tunnel lining, safety and the design parameter restricted by the limit considered as partition of the excavation facilities. Through the analysis result of preliminary design showing the mechanical stability without stress concentration in tunnel arch level, it also was induced that shape effect of the large section area and yielding load obtained from deformation zone in the surrounding rock mass of tunnel have to be considered as major topic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design technique on the large section tunnel.

      • KCI등재

        움직임 표현의 비동일성 연구 -‘어떤 그늘’을 중심으로 -

        정윤영,김태진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어떤 그늘> 전시에 출품한 연구자의 추상 회화 연작에서 발견되는 움직임 표현에 초점을맞춰 새로운 의미 작용을 거듭하며 촉발되는 비동일성에 관해 다룬다. 동시대 미술에서의 추상 회화는단순 재현에 기반한 구상 회화의 성격에서 벗어나, 하나의 양식으로 규정할 수 없을 만큼 참신한 형식과 기법으로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연구자는 작업에서 이항 대립(형상과 무형상, 복수성과 단일성) 이 혼재하는 일련의 상태와 화면 속 요소들이 교차하는 구조를 주된 조형 언어로 삼았다. 무엇보다 연구자의 작업에서 삶의 총체성을 함축하는 리듬감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며, 화면 속에서 연속과 단절을 반복하는 생명의 기운을 추상화하는 핵심적 동력은 움직임 표현이다. 이 연구는 연구자의 회화 작업에서 불확실성이 내재된 비결정적 움직임을 시각화한 자아와 존재 의식을 되짚어보며, 지각과 감각이 뒤섞인 추상적 움직임의 궤적을 그러모아 그 의미를 다각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작업에 적용된 움직임 개념에 기반한 모호한 경계, 비가시적 이미지, 분할된 화면의 문제 등을 검토했으며, 그 외 연작 전반을 관통하는 인간 존재의 양태에 관한 문제는 퐁티의 시지각에관한 ‘현상학적 입장’을 빌어 작업의 실제를 이해하는 과정에 참조했다. 결과적으로 연구자의 연작에드러난 움직임 표현은 직관적 차원에서 관념적 차원으로 이행하는 동세 표현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연구는 단편적인 감성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주관적 해석을 넘어서서 창안된 감각적 시각 질서와 조형 형식 등을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직관의 영역을 벗어난 움직임 표현의 미학적 가능성을 재인식했음에 그 의의가 있다.

      • 다양성과 조직성과: O’ Toole & Meier 모델을 중심으로

        정윤영 한국행정학회 2023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2

        조직에서 다양성은 조직관리의 핵심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다양성이 증가되는 사회에서 이를 관리하는 것은 민간 뿐만 아니라 공공조직에서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다양성의 개념은 인종, 성별, 나이 등 다양한 개념을 포함하며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조직내 구성원이 인지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인종 다양성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Texas School Districts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특히, 다양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HHI(Herfindahl-Herschman Indicator)를 활용했다. 또한, 다양성 관리 프로그램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다양성의 영향력을 완화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분석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인종적 다양성은 조직성과와 긍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인종 다양성과 다양성 프로그램과의 상호작용 효과는 다양성의 부정적 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내며 이는 다양성의 효과적인 관리가 조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

      • 회사채 등급상승과 유인구조

        정윤영,박래수 한국재무학회 2016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05

        본 논문은 2003년부터 2015년 까지 2개 이상의 신용평가사들로 부터 평가를 받은 회사채등급 자료를 대상으로, 신용평가사 변경에 따른 유인구조가 신용등급상승을 유발시키는지에 대해 실증 분석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정보비대칭을 나타내는 등급차이발생 비중은 등급상승과 하락표본이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신용평가사를 변경시킨 비중은 등급하락 표본에 비해 등급상승 표본에서 매우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또한 사전 정보비대칭과 신용평가사가 변경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를 유인구조 가 강하게 발생할 것으로 분류하고 그때의 등급상승 비율을 분석한 결과, 여타의 경우에 비해 등급상승 비율은 매우 높게 나타나 의도적인 등급상승이 발생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 다. 이와 관련하여 신용등급상승 결정요인을 전체표본을 대상으로 로짓회귀모형(logit resgression) 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신용평가사들을 변경하는 행위가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순위프로빗회귀모형(ordered probit regression)으로 등급변동정도 분석한 결과에 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등급차이가 발생한 기업들만을 대상으로 등급상승과 등급변 동정도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지를 로짓회귀분석과 순위프로빗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보수적인 등급을 부여했던 신평사를 평가에서 제외시키는 행동이 신용등급상승과 등급변동 정도에 양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 유인구조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국내 회사채신용등급 상승이 객관적인 평가로 인해 발생한 등급상승이 아닌 신용평가사 변경에 따른 유인구조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지속적인 알코올 섭취가 흰쥐 시상하부의 뇌실곁핵 및 시각위핵에 분포하는vasopressin과 oxytocin 함유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정윤영,박영란,김종중 대한체질인류학회 2006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9 No.4

        Chronic alcohol intake can profoundly modify the neuronal activity and the morphologic structure of hypothalamic nucleus in the rat brai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s of chronic alcohol intake on expression of vasopressin and oxytocin in the paraventricular and supraoptic nucleus in the rat hypothalamus. Experimental rats (n=14)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 and chronic alcohol group. Chronic alcohol group was induced via daily liquid alcohol intake for 6 months beginning at 8 weeks of age. As a result, the number of vasopressin and oxytocin-containing neurons was decreased in the paraventricular and supraoptic nucleus in chronic alcohol group. Especially, the number of vasopressin-containing neurons of chronic alcohol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araventricular nucleus. Chronic alcohol intake produc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volume of the cell bodies and their nucleus in neurons of the paraventricular and supraoptic nucleus. Particularly, the size of nucleus of vasopressin-containing neurons in chronic alcohol group was larger than in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chronic alcohol intake may affect the synthesis of vasopressin and oxytocin in the neurons of hypothalamic nuclei. Whereas, chronic alcohol intake induces an enlargement of the cell size of surviving neuron to compensate. Vasopressin (VP)과 oxytocin (OXT)은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펩티드의 일종으로서, VP는 주로 혈압을 상승시키고 항이뇨 호르몬 작용을 가지며 OXT는 주로 수유 중 젖분비, 분만 후 자궁 수축, 심장혈관과 체액항상 성(body fluid homeostasis) 조절에 관여한다. 알코올은 시상하부에서 신경세포의 단백질 합성과 신경세포활성을 조 절하는 체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발달을 지연시키고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상적인 흰쥐에 오랜 기간 동안 알코올을 섭취시킨 후 시상하부의 뇌실곁핵(PVN)과 시각위핵(SON)에서 VP와 OXT-함유신경세포의 분포와 변화양상을 관찰하였다. 약 8주령(220~250 mg)의 Sprague-Dawley rat을 실험군과 정상군으로 나누어 각각 7마리씩 분류한 다음 실험 군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30% 알코올을 24주간 매일 물 대신 섭취하게 하였으며, 정상군은 물과 먹이를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 PVN에서 정상군과 알코올군의 차이점은 지속적인 알코올섭취에 의해 VP와 OXT-함유신경세포의 수가 감소하였고 OXT의 발현보다는 VP의 발현이 큰세포부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특히, VP-함유신경세 포가 OXT-함유신경세포에서보다 세포감소율이 높았다. SON에서는 세포감소율이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유사한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알코올에 의해 VP-함유신경세포의 신경세포체 부피가 증가하였으며 팽대 된 핵도 동시에 관찰되었다. 그러나 OXT-함유신경세포에서는 VP-함유신경세포와 같이 신경세포체 크기의 증가는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지속적인 알코올섭취로 인해 VP와 OXT-함유신경세포들의 수가 감소되었으 며, 살아있는 신경세포의 세포체 부피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이 세포들의 대사활성이 활발해져 알코올로 인해 손 실된 신경세포에 보상작용이 어느 정도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 경부 종물에 대한 세침흡인 세포검사의 유용성

        정윤영 순천향의학연구소 1998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4 No.1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FNAC) is widely used in the screening of head and neck masses. Author performed FNACs on 210 patients with neck masses at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Chunan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from August 1995 to October 1997 and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from FNACs and compared with the histology of the permanent biopsy.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Sex ratio between male and female was 1:1.7 and the most common age group was fourth decade(21.9%). 2) In FNAC, benign tumor was 64.8% and malignant tumor was 18.1%. Of benign tumors, reactive hyperplasia of lymph node(22.9%) was the most common and of malignant tumors, squamous cell carcinoma(11.4%) ws the most common. 3) In 31.4%, operation was recommentded and of these patients, 60.6% was operated. Of 78 patients who were operated, the patients who were recommended the operation after FNAC wre 51.3%. 4) In 11.4%, reexaminatio was required after FNAC and of these patients, the half was the patients who had the thyroid disease. 5) Compared the result of FNACs with the histology of the permanent biopsy, the general accuracy was 61.5%, the accuracy on benign tumors was 65.4% and the accuracy on malignant tumors was 53.8%. Concurrence rate on benign tumors was 90.9% and on malignant tumors was 76.9%. Sensitivity was 83.3%, specificity 87.0%, false negative 16.7% and false positive 13.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