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동력 고령화가 노동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우리나라 지역별 패널통계 활용

        정용훈,이성훈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1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labor aging on labor productivity using panel statistics of 16 local governments from 1995 to 2017. The aging of the labor force, defined as the proportion of workers aged 60 or older in total employment, in the results of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considering regional fixed effects and various adjustment variables, has a very consistent and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labor productivity. For every 1% increase in aging, labor productivity decreases by about 0.14 ~ 0.20%. In addition, the per capita capital stock and human capital considered as adjustment variable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labor productivity, and the unemployment rate, which is a proxy variable of the economic fluctuation,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labor productivity as expected. The coefficient of the industrial structure, which represents the share of the service industry in the whole industry, was positive, but i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economic and educational policies that can maintain and expand human capital are necessary to curb the reduction in labor productivity expected by the aging workforce.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17년까지의 16개 지방자치단체 지역별 패널통계를 활용하여 노동력 고령화가 노동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역별 고정효과와 다양한 조정변수들을 고려한 패널회귀분석 결과에서 총취업자 중 60세 이상의 취업자 비중으로 정의한 노동력 고령화는 노동 생산성에 매우 일관되고 유의한 음(-)의 효과를 주며, 부정적인 효과의 크기는 노동력 고령화가 1% 증가할 때마다 노동 생산성이 약 0.14 ~ 0.2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조정변수로 고려된 1인당 자본스톡과 인적자본은 노동 생산성이 증가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경기변동의 대리변수인 실업률은 예상과 같이 노동 생산성에 유의한 음(-)의 효과를 미치며, 비록 유의하지는 않지만, 전체 산업 중 서비스업의 비중을 의미하는 산업구조의 계수가 양(+)의 값을 보이지만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노동력 고령화로 예상되는 노동 생산성의 감소를 억제하기 위해 인적자본을 유지 및 확충할 수 있는 경제 및 교육정책의 설계와 구축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 KCI등재

        자동화와 고용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을 중심으로

        정용훈,신종국,이성훈 한국산업경제학회 2023 산업경제연구 Vol.36 No.3

        We investigate the macroeconomic impact of the adoption of production automation technologies on employment and its mechanism using South Korea’s ‘Robot Industry Fact Sheet’ maintained by Korea Institute for Robot Industry Advancement (KIRIA). The existing studies have yet to reach a consensus about this topic whereby the results depend on countries, research periods, and the scope of employment. Despite its necessity, academic studies on the effect of automation on employment in South Korea have been at its nascent stage. Guided by our theoretical analysis, we leverage the regional variations in automation adoption to tease out the employment effects. We find that automation reduces employment in South Korea, and the negative effects are greater among female workers with high school diplomas or higher, suggesting that the displacement effects are dominant in our sample. 본 연구는 생산 자동화의 도입이 거시적으로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미치는 메커니즘에 대해 이론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대한민국의 지역별 ‘로봇산업 실태조사’ 자료 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기존 해외 연구에서 자동화와 고용의 관계에 대해 논의가 있었으나, 자료의 대상 국가, 기간 및 분석의 대상에 따라 결과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학계의 합의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한국에서는 어떤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는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나, 이에 관한 학술 연구는 시작단계이다. 본 연구는 지역별 자료를 통해 자동화 도입의 증가가 고용에 음의 효과를 가져오며, 이 효과는 고졸이상의 여성 노동자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음을 보인다. 따라서 현재 한국에서의 자동화의 효과는 대체효과가 지배적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해수 암모늄 자료의 재평가: 독특한 단주기 수질지표 가능성

        정용훈,양재삼,JEONG, YONG HOON,YANG, JAE SAM 한국해양학회 2016 바다 Vol.21 No.2

        해수 내 용존 암모늄이온의 농도 자료가 해양환경의 지표로서 가치가 있는지 평가하였다. 먼저 암모니아의 화학적인 특성을 정리하였고, 본론에서 해양환경의 대표성을 띠는 일반해역(원양, 연안, 자연하구역)과 집중비교해역(골재채취해역, 하구역)에서 암모늄 자료의 가치를 비교하였다. 암모늄은 일반해역에서 전반적으로 DO와 음의 상관관계를 갖고, COD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수질지표로서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특히 DO 또는 COD가 유사한 농도를 나타내는 해양환경조건의 경우, 보다 상세한 해석이 불가능하였으나 ODIN 비율 (산화성용존무기질소: ODIN/TDIN ratio) 혹은 RDIN 비율 (환원성용존무기질소: RDIN/TDIN ratio)를 적용하면, 비교대상 해역의 산화 및 환원 조건에 대한 보다 향상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집중비교해역에서는 저층퇴적물의 확산, 식물플랑크톤의 단기변화 등 주로 단주기 환경변화와 관련하여 암모늄의 지표로서 잠재력을 확인하였다. 암모늄은 기존의 몇 가지 단점을 보완한다면 해양환경에서 단주기로 변화하는 해양한경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We have evaluated the ammonium data in seawater as a potential short-term index for marine environment through the following steps. 1. reviewing of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mmonium in seawater, 2. comparative relationships of ammonium data with other water quality indices such as DO, COD, and nutrients from Typical Marine Environment(TME) and Special Marine Environment(SME). Ammonium data generally represent negative correlation with DO, while positive correlation with COD. In particular, under frequent cases of seawater conditions showing similar concentration of COD or DO, we have limited choice of explanation for such situation. However ODIN(ODIN/RDIN) or RDIN(RDIN/TDIN) ratio could provide advanced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se seawater condi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ammonium data as a potential short-period index for transilient marine environment, such as benthic flux of bottom sediment, hypoxia, and algal bloom. Under overcoming several handicaps, ammonium data could be an useful tool for better understand short transformation of marine environment.

      • 방선균 유전자 초고속 발현 시스템 개발

        정용훈,이일한,홍승표,성문희,홍순광 명지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4 자연과학논문집 Vol.23 No.-

        방선균의 유전자는 그 구조의 특이성으로 외래 숙주에서는 발현이 거의 되지 않아 단백질 발현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지금까지 다양한 벡터들이 방선균에서의 발현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사용하여 왔지만, 이들은 유전자를 발현시키고자 할 때마다 발현 유전자의 특성에 맞게 벡터 및 유전자를 제조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선균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두 가지의 초고속 발현 백터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pFSE와 pFSE-extra 벡터는 방선균에서 replication이 가능한 pIJ101 replication origin과 selection marker인 tsr(thiostrepton)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대장균에서도 replication이 가능한 shuttle vector 이다. 두 pFSE 벡터는 방선균에서 강력히 발현되는 강력 promoter ermEp를 가지고 있으며, pFSE-extra 벡터는 Streptomyces griseus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을 코드하는 유전자 sghC의 promoter 및 분비시그널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어, 각각 하부에 연결된 유전자의 발현을 세포내에서 또는 세포 밖으로 분비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두 벡터의 발현시스템에는 AspEI으로 절단되는 제한 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효소로 절단 시 간단히 T-vector로 이요할 수 있는 초고속 발현 시스템이다. The genes of streptomycetes are hardly expressed in other host systems because of their unique structure. Many expression systems for the streptomycetes genes have been developed, yet modification of vector and target genes is the essential prerequisite, which make a limit in their use. To make expression easier in efficient and fast way, two kinds of expression systems, named pFSE and pFSE-Extra, were constructed, Both plasmids have the repication origins from pIJ101 and pBlescript and can be used as Streptomyces-E. coli shuttle vectors. The plasmid pFSE has the strong promoter derived from ermE and designed for the intracellular expression of streptomycetes genes in Streptomyces host system. pFSE-extra has the promoter region including the secretion signal originated from the sghC gene that was identified to encode massively secreted protein from Streptomyces griseus and can be used for the secretion of the expressed protein in Streptomyces also. Both plasmids can be used as T-vector cloning system after digestion with AspEI restriction enzyme, which make their application broader as the fast expression system in Streptomy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