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맹자 수양론과 장자 양생론에서 본 인격 함양의 접점

        정영희 한국인격교육학회 2022 인격교육 Vol.16 No.4

        맹자는 성 ․ 심 ․ 기를 통한 수양론을 제시하고 있고, 장자는 정 ․ 기 ․ 신을 통한 양생론을 제시한다. 이들의 공통점은 바로 ‘기’에 있으며 ‘양기(養氣)’를 통한 인격 함양을 제시하고 있다. 맹자는 양호연지기(養浩然之氣), 존야기(存夜氣), 존평단지기(存平旦之氣)를 의(義)와 결합시키고 있다. 이들을 잘 기르고 보존하면 기가 천지간에 가득하게 되고 부동심을 확장 확충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기는 마음의 뜻(志)을 통해 움직일 수 있고, 기가 마음에 가득 차게 되면 마음의 뜻을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존재가 된다. 인간의 내부와 외부의 교류와 소통을 촉진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인격 수준을 높일 수 있게 된다고 보고 있다. 한편, 장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는 그 자체로 만물을 생성시키지는 않는다. 그 도에서 나온 하나의 기가 만물을 이룬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만물은 기를 통해 생성되고 인간 역시 이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인간은 양기(養氣)를 통해 양생을 이룩할 수 있으며 그 핵심은 ‘비움’이다. 심재와 좌망은 비움을 통해 기가 들어오고 나갈 수 있음을 보여주는 방편들이다. 기는 내부적 외부적 소통과 교류의 매개이자 핵심이 되며, 성인, 진인, 지인이 될 수 있는 방법적 수단이기도 하다. 기는 맹자와 장자에서 공통적으로 내부와 외부의 상호 소통과 교류를 할 수 있게 하며 그것을 통해 서로가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상적 인격 함양의 기제가 된다. 맹자와 장자의 비교를 통한 수양론과 양생론은 제한된 지면에서 한꺼번에 논의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향후 인격 함양 기제와 인격교육적 의의 등을 도출할 수 있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 This paper attempts to find the point of intersection between Mengzi's Self-Cultivation and Zhuangzi's Nurturing-Life. Mengzi presents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through Human Nature (性), Mind (心), Qi (氣), and Zhuangzi emphasizes the theory of nurturing-life through Vital Force (精), Qi (氣), Sprit (神). What they have in common is Qi, to put it further, it can be said nurturing-qi. Mengzi says if you combine the virtues of Developing Great Spirit (養浩然之氣), Preserving the Night Air (存夜氣), Preserving the Daybreak Air (存平旦之氣) with moral Righteousness (義) and nurture them well, Qi will be filled with heaven and earth and expand the imperturbable mind (不動心). In Mengzi, the Qi can move through the will of the mind, when Qi fills the mind, it becomes a being that can move the will of the mind. This can be a factor that can promote internal and external exchanges and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through this, the level of personality can be raised.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Zhuangzi is the Tao itself, not to create all things, he proposes the theory of Qi, which assumes that the one Qi from the Tao creates all things. Therefore, humans can obtain nurturing-life through nurturing-qi, and the key is emptying. He believed that qi could come in and out by emptying and approach the Tao. Qi is the medium and core ele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s and exchange, and it is also a methodical means to become the sage or the true person. It can be seen that Qi is the point of character-cultivation in Mengzi and Zhuangzi.

      • 내각제 정부형태의 바판적 고찰 -조화의 정치 구현의 관점에서-

        정영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지구평화연구소 2013 평화학논총 Vol.3 No.1

        민주주의 발달로 국민의 자유와 권리가 신장되고 개인의 다양성이 보다 존중되는 오늘날의 한국사회에서 다양성으로 인한 이해관계의 충돌 가능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에 요구되어지는 새로운 정치 패러다임은 개인의 다양성이 존중됨은 물론, 동시에 사회적 합의에 기반 한 공공선을 실현해 낼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 시대적으로 요구되는 가치는 바로 조화이며, 조화의정치란 “공동체 구성원들의 다양성이 존중되는 가운데 사회적 희소가치의 현실적 분배방식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정치 공동체의 건설을 목표로 이상적 분배방식을 추구하는 지속적인인간의 노력”으호 정의 할 수 있고, 조화의 정치요소는 안정성, 민주성, 그리고 효율성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개인의 주장과 권리의식이 강화된 수평적 네트워크의 정치사회환경 하에서 대의제 민주주의의 완성도를 높임은 물론, 참여민주주의를 확대하고 정치적 선진화를 이루기 위해 조화의 정치를 구현해 낼 수 있는 정부형태로서 내각제 정부형태의 적실성에 관해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내각제는 조화의 정치 요소인 안정성, 민주성 그리고 효율성의 측면에서 유리한 정부형태이며 또한 이질화된 남북의 사회구조를 민주적인 방식으로 그러고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정부형태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현행 대통령제에 내각제적인요소가 이미 가미되어 있다는 점에서 내각제는 완전히 생소한 정부형태는 아니다. 다만 현재 안정적인 정당제도의 정착 및 발전 등 내각제가 원활하게 작동되기 위한 정치적인 환경이 미흡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점진적으로 도입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회남자(淮南子)』의 생태학적 사유와 인격교육

        정영희 한국인격교육학회 2015 인격교육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meaning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Huainanzi, a correlative and eclectic mode of thought. The character (人格) itself contains integrated aspects. Character education calls for something like ecological, correlative, and synthetic thinking. In Huainanzi, there are factors satisfying the needs of character education. Ecological thinking representing interconnectedness with nature and human beings is similar to correlative thinking. Correlative thinking is based on making a connection between entities and phenomena. Mutual correspondence (感應) among things and events involves the interrelatedness of the cosmos and human beings. Ecological and correlative thinking are interrelated. Sages are able to see the world in an interrelated, the most ideal way of seeing. Sages are not only insightful with respect to human affairs, but also perceptive about all the things in the world. They can shut down their senses and preserve their jing (精) and shen (神), they perceive the world better than others. They can preserve their body (形), energy (氣), and spirit (神) well, so the sage can be as a coherent whole. In order to reach the ideal state,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has to become a synthetic education including the various aspects of human beings and nature. 이 논문은 절충적 입장에서 저술된 『회남자(淮南子)』의 상관적 사유와 현대의 생태학적 사유의 관계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형성된 『회남자』의 양생론과 성인론(聖人論)이 인격교육에 주는 의미를 찾아보았다. 사람다움을 지향하는 인격교육은 그 자체로 통합적이고 관계적 교육을 지향한다. 인격교육에서 요청되는 통합성과 관계성은 생태학적 사유에서 중시되는 개념이다. 『회남자』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일방적이거나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중심주의 입장이 아닌 감응과 상응의 입장에서 보고 있다. 인간과 인간의 관계도 마찬가지로 단절적이고 고립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 교류하는 관계로 본다. 자연과 인간과 사회는 단절되거나 고립된 것이 아니라 연결되어 있다. 『회남자』의 상관적이고 절충적인 관점은 생태적 사유와 유사하며, 자연과 인간, 인간과 사회관계에 대하여 이론과 실천 측면에서 인격교육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회남자』에 나타나는 이상적 인격은 성인(聖人)이다. 자연과 인간, 그리고 사회 속에서 통합적 인격을 구현한 존재이다. 이상적 경지에 도달하기 위해 성인은 도가적 방법과 유가적 방법 모두를 사용하며, 자연과 인간과 사회의 합일을 추구한다.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당뇨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Capsaicin 식이의 영향

        정영희,박병주,이태희,최금희,전성현 대한비만학회 2000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9 No.4

        The effects of dietary capsaicin the pungent principle of red pepper o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were studied in diabetic rats. Diabetes was induc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treptozotocin (30 mg/kg body weight) into Wistar female rats weighing up to 200 g. Capsaicin was then used as a dietary supplement at concentrations of 0.014% or 0.028% for a period of 4 weeks. Our result show that dietary capsaicin did not make any difference in the ingested food amounts and body weights of the experimental subjects compared to the diabetic control or the control group. At 4 weeks, diabetic rats fed eapsaicin diet (0.028%) exhibited significantly decreased basal and blood glucose levels on 10, 20 minutes after an intravenous glucose loading (p$lt;0.05) when eompared to the diabetic control group. Immunoreactive insulin levels were not changed between th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eant changes of the plasma e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between the groups, but there were decreasing tendency in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LDL-cholesterol, phospholipid, and free fatty acids in capsaicin-fed group compared ta diabetic control group.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and lipoprotein(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capsaicin-fed group compared to diabetic control group (p$lt;0.05). This study suggests that dietary capsaicin improves lipid metabolism, thus capsaicin may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intervention of diabetie complications.

      • KCI등재

        유아다문화이해교육의 가능성탐색 -놀이를 활용한 중국어 학습중심으로-

        정영희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1 다문화와 평화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way of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by playing to study chinese and also examined using such play could or not motivate student to study both on foreign language and mother tongue. This study presented, statistically using play to teach chinese to children can motivate them to learn so that they participate actively in communication. Second, using such play could more developed on their vocabulary skills between other students who are not using such play. In conclusion, I believed that using play to teach chinese could improve preschool children to understand multicutural education eas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