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고 교육분야의 인공지능(AI) 관련 해외 연구동향 분석

        정영주,김혜진,Jung, Young-Joo,Kim, Hea-Ji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2 No.3

        본 연구는 초·중·고 교육분야 인공지능과 관련된 해외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SCOPUS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관련 문헌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문헌의 발행 기간은 1974년부터 2021년 3월까지이며, 학술지 논문이 154건, 컨퍼런스 논문은 571건으로 나타났다. 이들 논문에 포함된 저자 키워드 및 인덱스 키워드 4,521개의 단어들의 동시출현(co-occurrences) 분석기법을 바탕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machine learning을 주축으로 big data, data mining, data science, deep learning이 최신 연구 동향으로 나타났고, 초·중·고등교육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은 로봇 관련 연구가 많이 있었으며, 중등은 게임과 데이터 관련 연구가 많이 있었고, 고등은 다양하고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결과분석에서 우리나라 교육부에서 2020년 9월 발표된 '인공지능 기초' 교육과정과 미국 AK4K12의 '5 Big Ideas'와 초·중·고 공통 상위 50단어와 매핑하여 우리나라 초·중·고 인공지능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I research trends related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To this end, the related literature was collected from the SCOPUS database and the publication period of the collected literature was from 1974 to March 2021, with 154 journal papers and 571 conference papers.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occurrences analysis technique of 4,521 words of author keyword and index keyword included in these pap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ig data, data mining, data science and deep learning were found as the latest research trends with machine learning a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It can be seen that elementary school had a lot of robot-related research, middle school had a lot of game and data-related research, and high school had various and in-depth research. In discussion, we mapped the top 50 words common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it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Basics' curriculum of Korean Government and '5 Big Ideas' of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so that AI research can be viewed at a glance.

      • KCI등재

        감잎(Diospyos kaki L.)으로부터 정제한 보체계 활성화 다당류

        정영주,전혁,김경임,안정희,신동훈,홍범식,조홍연,양한철,Jung, Yung-Joo,Chun, Hyug,Kim, Kyung-Im,An, Jeung-Hee,Shin, Dong-Hoon,Hong, Bum-Shik,Cho, Hong-Yon,Yang, Han-Chul 한국식품과학회 200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4 No.5

        감잎으로부터 항보체 활성물질을 분리정제하기 위해 감잎 (250 g)을 $100^{\circ}C$에서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고 분자량 10 kDa membrane을 사용하여 농축한 후 ethanol 침전과 methanol 추출을 통해 조다당류(DKC)를 얻었다. 조다당류의 정제는 DEAE-Toyopearl 650C와 Bio-gel P60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정제된 DKC-1c는 $1000\;{\mu}g/mL$의 농도에서 고전경로를 통해서는 85.4% 활성화시켰고 부경로에서는 65.1% 활성화시켰다. 정제 다당류 DKC-1c는 분자량은 66.6 kDa이고 정제도가 높은 중성다당류로써 주요 구성당은 glucose(29.0 mol.%), arabinose(24.3 mol.%), galactose(16.2 mol.%) 순으로 검출되었다. 면역전기영동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DKC-1c는 C3를 부경로에서도 C3a와 C3b로 활성화시키는 complement activator임이 확인되었다. Cold and hot water fractions of Diospyros kaki were screened to determine its anti-complementary activity. Flour of Diospyros kaki leaf (250 g) was boiled at $100^{\circ}C$ for 3 h and passed through a membrane of 10 kDa molecular weight (DK-0). DK-0 was precipitated with ethanol and refluxed with methanol to obtain the crude polysaccharide (DKC). DKC-1 was isolated by ion exchange chromatography on DEAE-Toyopearl 650C, and DKC-1c was purified from DKC-1 by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on Bio gel P-60. The anti-complementary activities of DKC-1c at $1000\;{\mu}g/mL$ were 85.4 and 61.1% via whole and alternative pathways, respectively. DKC-1c was determined as a neutral polysaccharide composed of glucose (29.0 mol.%), arabinose (24.3 mol.%), and galactose (16.2 mol.%) with the molecular weight of 66.6 kDa. Results of agarose gel immunoelectrophoresis revealed DKC-1c, as a complement activator, cleaved C3 into C3a and C3b via both pathways.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학교도서관 연구동향 분석

        정영주,김혜진,Jung, Young-Joo,Kim, Hea-Ji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3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토픽모델링을 적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4대 문헌정보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정보관리학회지의 1990년부터 2020년 7월까지 학교도서관 관련 논문 498편이다. 연구 결과 토픽모델링을 통한 주제는 27개의 토픽으로 8개의 영역 일반, 제도·체제, 건물·설비, 운영·경영, 자료조직, 서비스, 교육, 기타로 묶어 정리하였고, 하위단계 주제는 22개로 나누었다. 텍스트 정제와 토픽모델링 분석은 넷마이너(NetMiner) V.4를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토픽모델링을 위한 토픽 개수의 결정을 위해 로그우드 추정치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27개 토픽의 주제에 제목을 부여하였고 제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토픽은 도서관 활용수업(T27)이 35편, 정보활용(T2)에 관한 연구가 30편이고, 20편 이상의 연구는 평가지표개발(T13), 학교 사서교사 배치(T24), 학습정보 매체 활용(T3), 지역사회·공공도서관(T7), 도서관 협력(T9), 도서관 이용(T17), 도서관 연구(T11), 독서교육(T4), 장서개발(T5), 교육효과·교육방법(T18)이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school libraries from 1990 to July 2020. To this end, LDA topic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the domestic article abstracts related to school libraries. The total number of documents is 498 papers published by the four major domestic journal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log-likelihood estimate criter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topics for topic modeling. As a result of the study, 27 topics were discovered, then, theory were categorized by eight subject areas: general, institutional system, building/equipment, operation/management, data organization, service, education, and others. The most popular research was library utilization classes (T27) and Information Utilization (T2). More than 20 studies were found in each evaluation index development (T13), school librarian placement (T24), learning information media utilization (T3), community public library (T7), library cooperation (T9), library use (T17), library research (T11), reading education (T4), collection development (T5), and education effects/teaching methods (T18).

      • KCI등재

        공영방송 제도의 위기와 재정립

        정영주(Young-Ju Jung),홍종윤(Jong-Yoon Ho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1

        이 연구는 지난 10년간 공영방송 MBC를 둘러싸고 전개되었던 일련의 사태들을 신제도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했다. 이를 통해 정권 교체 시마다 반복되는 방송의 독립성, 공정성 논란과 수장 교체의 딜레마로부터 벗어나 보다 본질적 차원에서 새로운 공영방송 제도 구축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MBC 사태에서 방송문화진흥회-방송통신위원회-국회-청와대로 이어지는 공영방송 규제기구들의 작동 방식은 우리사회 공영방송의 정치병행성이 제도적으로 고착화된 단계에 이르렀으며, 비공식적 후견주의가 법제도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환경임을 보여주었다. 제도화된 정치병행성에 기반을 둔 외부 규제기구의 기능 부전은 내부적으로 인사권을 통한 역진 인센티브 현상을 일상화하며 공영방송 제도의 규범과 문화를 변화시켰다. 공영방송의 공정성 규범은 내부 구성원들의 분열, 명문화된 단체협약의 무력화, 경영진의 방송내용과 편성 개입 등 다층적이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쇠퇴하였다. 규제적, 규범적 차원의 변화는 구성원들의 문화 및 신념 체계에도 변동을 야기하여 공영방송 종사자로서의 의식과 정체성에 혼란이 발생했고, 전문직주의를 약화시켰다. MBC 사례는 공영방송 제도의 구조적 제약 및 결함이 규제적, 규범적, 문화적 차원들과 상호작용하면서 공영방송 제도의 퇴행과 역진에 상승효과를 일으킨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사장 교체만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다양한 제도적 층위의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영방송 지배구조에 대한 법제도적 개선과 함께 시민 참여 제도를 통한 보완, 공영방송 규범의 법적 보장과 강제성 확보, 시민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새로운 전문직 문화의 재창조 등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a series of events that have been developed around MBC for the last 10 years from a new institutionalsim perspective. Through this, we have sought to establish a new public broadcasting system in a more fundamental way, deviating from the dilemma of repeated broadcasting independence, fairness controversy, and replacement of the president every time the regime changes. In MBC case, the way of operation of regulatory bodies of public broadcasting, has reached the stage where the political parellelism of Korean public broadcasting has become institutionalized and the environment where informal clientelism is legally institutionalized. The dysfunction of the external regulatory organization based on institutionalized political parellelism has made the incentive of backward through personnel management internally and changed the norms and culture of the public broadcasting system. The fairness norm of public broadcasting has declined due to multi-layered and diverse factors such as division of internal members, nullification of collective agreement, executive intervention in broadcasting contents. Changes in the regulatory and normative dimensions have also caused changes in the culture and belief systems of members, causing confusion in consciousness and identity as public broadcasters and weakening professionalism. The MBC case shows that the structural constraints and deficiencies of the public broadcasting system interacted with the regulatory, normative, and cultural-cognitive dimensions, and caused a synergy effect with the regression and reverse of the public broadcasting system.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simply by replacing the president, an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nd supplement the problems of various institutional levels.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legislative system of the governance structure of the public broadcasting,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with the citizen participation system, secure the legal guarantee and enforcement of the public broadcasting norm, and recreate a new professional culture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with the citizen.

      • 중년기 이혼남성의 자기개념 변화에 대한 단일 사례연구

        정영주(Jung, Young-Ju),조미애(Cho, Mi-Ae)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0 부부가족상담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이혼으로 인한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느끼는 중년기 이혼남성의 사례연구로 미술치료가 중년기 이혼남성의 자기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참여자는 3년 전 이혼을 경험한 40세 중년남성으로, 주 2회 90분씩 총 22회기에 걸쳐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성신자기개념 검사와 동적 가족화(KFD), 이야기 그림검사(DAS)를 실시하였고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변화를 살펴보았다. 자료수집은 매 회기 녹음 및 전사한 축어록, 수퍼비젼 자료, 연구자의 관찰일지, 참여자의 감정노트, 미술작업 및 작품사진 자료, 사전사후 면담자료 등을 참고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성신자기개념검사의 구성요소인 자기존중감, 정서안정감, 대인신뢰감 등을 중심으로 분석을 한 결과, 미술심리치료적 접근이 자신의 억압된 부정적 정서를 건강하게 발산시켜 내면의 욕구를 해소하고 분노에 대한 내적통합이 이루어지게 도와줌으로써 자기개념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중년기 이혼남성의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로 이혼으로 인한 심리사회적 어려움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하나의 자료가 되어 임상현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is a case study on art therapy in a middle-aged divorced man who feels psycho-social difficulty due to divorce, and its purpose was to determine how art therapy affected self-concept of a middle-aged divorced man. For this purpose, art therapy was provided to a 40-year-old man who had been divorced for three years in a total of 22 sessions―two sessions a week, 90 minutes per session―from January 30 to April 16, 2017. The Sungshin Self-Concept scale was used to determine the quantitative changes after therapy and the Kinetic Family Drawing (KFD) test and the Draw-a-Story (DAS) test which were performed to see the changes after therapy. The result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components of the Sungshin Self-Concept scale: self-esteem, emotional stability, and interpersonal reliability. On the basis of this conclusion, art therapy activity helped him express his repressed negative emotions in a healthy way, have his needs satisfied, and make internal integration against anger, thus making anxious emotions stable. The researcher s hugging environment provided him with receptive experience, so that he could perceive himself positively and have stable and ideal other-awareness. So art therapy positively affected a middle-aged divorced man s self-concept formation, and this case study on personal art therapy in a middle-aged divorced man is expected to give basic data that can be of help in clinical practice for researchers who try to solve psycho-social problems caused by divorce.

      • KCI등재

        영국 근대축구의 사회·문화적 역할과 1928년 웸블리(Wembley) 민족 대항전

        정영주(Jung, Young-Joo)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98 No.-

        이 연구의 목적은 축구와 영국 사회의 상호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화와 사회는 서로 밀접하게 교류하고 작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하려는 것이다. 연구자는 민중놀이였던 축구가 영국의 중·상류층에 의해 근대축구로 변모되고 국민 스포츠로 대중화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축구가 민족 정체성이나 민족주의를 표현하는 도구로 탈바꿈하는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브리티쉬 홈 챔피언쉽 대회에 주목하였고, 1928년 웸블리 ‘인터내셔널’ 경기를 분석하여 축구의 사회·문화적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영국은 근대축구를 처음 만든 국가였고, 근대축구를 최초로 대중화한 국가였다. 그리고 이런 대중화를 통해 축구는 영국 사회와 상호작용하며 그 사회 속에 내재된 민족주의적 갈등을 표출하는 사회·문화적 창구 역할을 하였다. 1883년부터 100여 년 동안 매해 벌여졌던 브리티쉬 홈 챔피언쉽 대회는 그 자체 ‘축구 관람여행’이라는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내었는데 표면적으로는 여느 ‘목적지 관광’과 다를 바 없는 이 여행이 하나의 문화로 고착되기까지 매해 지속되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1928년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대표팀의 시합을 기사화한 신문들은 당시 경기장을 가득 메웠던 8만 관중에 별다른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나 ‘앙글로들’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 선수 개개인이 모든 것을 쏟아 붓는 경기, 터무니없이 많은 골을 내준 골키퍼의 해외이주 등 브리티쉬 홈 챔피온쉽 대회에서 드러나는 스코틀랜드인들의 민족주의적 감정은 직접적이고 명백하다. 1707년 잉글랜드에 통합된 이후 독립을 성취해내지 못하고, 영국을 구성하는 4개의 민족 가운데 하나라는 현실과 타협하고 있던 순간에도 스코틀랜드인들은 여전히 자신의 본질을 잊지 않았고 그 본질을 축구라는 문화를 통해 여과 없이 표현했다. 이들은 축구를 통해 공동체의식의 끈을 놓지 않음으로써 오랜 세월 자신의 민족적 감정을 실체화할 수 있는 밑바탕을 형성해왔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축구의 본질은 현실을 바꿀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체를 꿈꾸게 하는 문화적 매개물이다. This paper aims at discussing how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football from a mob-football to an association football is related to that of the British society. The analysis focuses on the ways in which the British Home Championship was established, paying much attention to the 1928 ‘international’ match at Wembley. The author attempts to suggest that football in Britain is the social and cultural impetus that engineers to express and release the inherent national conflicts and tensions within a United Kingdom. The British Home Championship has attracted many spectators. In particular, the journey to watch the ’international’ matches between England and Scotland becomes a significant part of the Scottish football culture. These journeys made to football stadia where the contests between the two teams were held seem to be similar to any ‘destination tourism’, but unlike the latter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se trips are borne out by its repetition. This mass movement which starts from the very beginning of the British Home Championship, is firmly established as a significant cultural event in the inter-war years. The newspaper articles issuing the 1928 ‘international’ match at Wembley almost disregard the over 80,000 spectators who must have enthusiastically supported their own teams. As a matter of course, the emotional actions and reactions from the spectators are hardly any ‘tangible’ evidence of their nationalist feelings. In fact, it is difficult to materialize nationalism into a specific shape or form, furthermore into a reality. Rather, the feelings of the public are expressed through ‘intangible’ evidences, such as, the doubts about the nationalism of the ‘Anglos’, the social pressure to the goalkeepers who were perceived to be responsible for the lost games and eventually to migrate overseas, and the Home ‘Internationals’ being always the game where the ‘Scottish’ players made their utmost effort. The Scottish lost their sovereignty in 1707, and took a long time to come to terms with the reality that Scotland is only a part of a political state which comprises four nations. However, they have never forgotten their history and identity. It is obvious that the ‘international’ matches against England, and the long preparatory period before the actual journeys taking place certainly help build a sense of belonging to their community. In sum, the author argues that football is a cultural phenomenon which actively interacts with the society, through which the Scottish firmly hold their identity, and, thus, dare to dream of once lost, but never forgotten, Scotland.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1960년대 영국의 사회복지제도 -이주민의 “꿀단지”?-

        정영주 ( Young Joo Jung ) 영국사학회 2013 영국연구 Vol.29 No.-

        본 논문은 1960년대를 중심으로 ‘블랙’ 이주민들이 영국의 복지제도가 제공하는 혜택을 누리며 영국 땅에 ‘기생’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한 사실 여부와 그러한 주장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 그리고 기생설이 이주 정착민들의 삶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블랙 이주민들에게 영국이나 영국의 복지제도가 일종의 ‘꿀단지’ 였다는 주장이 더 이상 단순히 세간을 떠돌던 의미 없는 이야기가 아니라 일부 정치가들에 의해 실체화되고 정치화 되어가던 과정을 배경으로, 영국인들이 유독 복지제도에 민감했던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시민권과 소속’에 대한 인식과 복지 혜택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1960년대에 대한 사례연구가 없는 가운데, 정부의 조사결과와 블랙 이주민들의 상황과 위치 그리고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의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1960년대 블랙 이주민들과 복지수혜와 관련된 현실을 그려내고자 하였다. 결국 1960년대 꿀단지 논의는 일부 정치가들이 이주를 제한하기 위해 이용했던 하나의 수단이었다. 영국 정부는 법제화를 통해 블랙 이주정착민들과의 사회통합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지만, 현실적으로 그들을 받아들일 수 있는 인적, 사회적, 제도적, 재정적인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었다. 이러한 가운데 블랙 이주민들은 시민으로서 당연히 행사해야할 권리를 주장하기 어려웠고, 자연스럽게 주류사회로부터 배제될 수밖에 없었다. 블랙이주민들의 입장에서 꿀단지는 영국의 복지 혜택이 아니라 그 가운데서도 삶을 해쳐나갔던 자신들의 노력과 희생이었다.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relations of immigration from the New Commonwealth countries with social security benefits in Britain. The analysis is undertaken by exploring the reality of, so called, ``honey pot`` in the 1960s. It is established that the honey pot story was proven to be unfounded, yet politicized by some politicians who strongly pushed for the restriction of immigration. Subsequently the British governments also went ahead with further restriction, but at the sam time attempted to integrate the migrant settlers by means of enacting various Racial Relations Acts. However, some sections of the British society never admitted ``Black`` immigrants as part of them, for the blacks were not perceived to ``belong`` to the land. In 1942 when Beveridge published his paper, he had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purpose of building the social security benefits system in Britain: establishing social safety nets and reducing inequality in the society bourne out by market economy. As a citizen, the immigrants were entitled to national insurance, health service, national assistance. However, due to racial as well as gender discrimination, lack of information, inability to handle the language, the fear of deportation etc, most of Black immigrants were reluctant to apply for social benefits, thus gave up their legitimate rights. These themes are explor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concepts of citizenship, belonging, and contribution. It is also examined to what extent Black immigrants could claim the benefits that they were entitled to, and to what degree racial discrimination occurred in the process of actual application. In particular, passport checking and the act of violating confidentiality of personal information and records of the applicants are also illustrated. My findings suggest that the British governments lacked human resources and finance to deal with social integration of Black immigrants. Moreover, citizenship required contribution, allegiance to the country, loyalty, sharing the experiences of hardships, and, above all, White identity. Black immigrants were outsiders, ``scroungers`` who would improperly use the welfare system that the British fought for several hundred years. Many British believed that ``honey pot`` meant either Britain or social security benefits of the country. In reality, a pot that had honey inside never existed, at least not in the 1960s. Black immigrants were making a living against all odds, believing that they could create brighter future for their children. The efforts that they were making and their readiness to accept hardships on their way led them to the road to the honey pot, nothing el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