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에 나타난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정영인(Chung, Young-I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3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빗속의 사람(PITR: Person in the Rain) 그림검사에 나타난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 1, 3학년 274명에게 PITR과 학교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PITR의 분석기 준은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자원, PDI(Post Drawing Inventory) 등 세 가지 지표로 나누어 설정하였고, 자료 분석은 t검정,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정으로 Scheffé test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비교한 결과 학교 수업에서는 남학생이 더 적응을 잘하고, 학교규칙준수에서는 여학생이 더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ITR에 나타난 학교생활적응 수준은 스트레스 요인에서 남학생의 경우 비의 양, 비의 모양, 바람의 세기, 구름의 유무, 구름의 면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여학생은 비의 방향과 비와 사람의 접촉, 번개와 사람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PITR의 스트레스 대처자원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수준은 남학생의 경우 얼굴 모습, 얼굴 표정, 인물의 위치에서, 여학생은 얼굴 표정, 나체 인물상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PITR의 PDI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수준은 남학생의 경우 그림의 느낌과 사람의 기분, 여학생은 사람의 나이, 그림의 느낌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PITR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chool life adjustment using PITR drawing tes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PITR was given to the 274 middle school students including grade 1 and grade 3 in Gyongi providence. The research tools are based on stress, stress coping resources and PDI (post drawing inventory).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test as post-hoc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adapt class environment better than female students, but female students followed school policy better than male students. Second, male student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rain, shape of rain, velocity of wind, presence of clouds and size of clouds in the PITR for measuring their causes of stress. Female student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rection of rain, contacts of rain and people, relationship between lightning and people. Also, for stress coping resources in school life adjustment, significant differences showed in the facial appearance, facial expression and location of people among male students and in the facial expression and presence of naked people among female students. Lastly, significant differences showed in the impression of picture and condition of people among male students and age of people in picture, and impression of picture among female students for measuring PDI in the PITR. Thus, this study suggests possibility that PITR can be a tool to analyze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adjustment.

      • KCI등재

        LMT와 S-HTP에 표현된 집, 나무, 사람 그림에 관한 비교 연구

        정영인(Chung, Young-I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5 美術敎育論叢 Vol.29 No.2

        본 연구는 LMT와 S-HTP에 공통적으로 표현되는 집, 나무, 사람 그림을 비교하 여, 두 그림검사의 상호 보완적 유용함을 알리는데 목적을 두었다. 모든 연령에게 친숙한 소재인 집, 나무, 사람은 미술치료뿐만 아닌 미술교육에서도 많이 그려지는 항목으로 심리를 파악할 수 있는 기본 도구이기에 중요하게 다뤄져야 한다. 본 연구의 대 상은 대학에 재학 중인 337명의 학생으로, 수집 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2.0을 이용 하여 χ²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LMT와 S-HTP에 표현된 집 그림은 집의 수, 형태, 3차원적 표현, 안정감, 창문, 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두 그림검사에 표현된 나무 그림은 나무의 수, 3차원적 표현, 안정감, 가지, 뿌리, 열매, 옹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사람 그림에서는 사람의 수, 성별, 움직임, 3 차원적 표현, 얼굴 표정, 착의의 사람, 사람의 기호화에서 두 검사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LMT와 S-HTP에 표현된 집, 나무, 사람 그림을 비교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하여 두 그림검사가 상호보완적으로 유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compare house, tree, and person commonly expressed in drawings in LMT and S-HTP as well as recognize the effectiveness of using both tests. Those drawing topics are widely used not only for the purpose of the art therapy but also for the art education. Because they are friendly topics for all ages, thus, it is a basic tool to consider for one’s psychological analysis. Tests were conducted among 337 university student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the χ² test with SPSS 2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1.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number of houses, forms, 3D expression, stability, window and door in LMT and S-HTP. 2.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number of trees, 3D expression, stability, branch, roots, fruits and knots in both tests. 3.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number of people, gender, movement, 3D expression, facial expression, clothed person, symbolization in both tests. Therefore, by comparing drawing house, tree and person in LMT and S-HTP, further study will be followed proving two drawing tests need to be used effectively.

      • KCI등재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따른 발테그 그림검사(WZT) 반응특성 연구

        정영인(Chung, Young In)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따른 발테그 그림검사(WZT)의 반응특성을 통하여 대학생의 정신건강을 파악할 수 있는 검사도구로 WZT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대학교 2곳의 1∼4학년 220명으로, 연구도구는 WZT, 한국형 정신건강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교차분석을 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건강에 따른 WZT 그림지표 반응특성의 차이에서 자극그림 수용은 틀 4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그림착상의 분류에서는 틀 1, 2에서, 그림 주제 의미 부합에서는 틀 3, 4, 6, 8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선의 질에서 터치의 질은 틀 2, 6, 7에서, 음영과 윤곽에서는 틀 3, 5, 7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정신건강에 따른 WZT PDI지표 반응특성 차이는 그림의 순서에서는 틀 1, 4, 5, 6, 7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난이도에서는 쉬운 그림과 어려운 그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제목에서는 틀 1, 4, 5, 6, 8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WZT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을 파악할 수 있는 검사도구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Wartegg Zeichentest(WZT) as a test tool that can grasp the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of the WZT according to the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0 students from 1st to 4th grades from 2 universities in Gyeonggi-do, and the research tool used WZT and Korean vers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 Short Form. Data analysis wa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difference i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WZT drawing index according to mental health, the acceptance of the stimulus draw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rame 4. In addition, in the classification of drawing concep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ames 1 and 2, and in Frames 3, 4, 6, and 8 for matching the meaning of the drawing subject. In line quality, touch qua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frames 2, 6, and 7, and shades and contours in frames 3, 5, and 7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econd, differences i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WZT PDI index according to mental healt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ames 1, 4, 5, 6, and 7 in the order of pictures, and in the difficulty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sy and difficult pictures, and in the title, frame 1, 4, 5, 6, 8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fore,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the possibility of using WZT as a test tool to determine the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was confirmed.

      • KCI등재

        대학생의 발테그 그림검사(WZT) 반응특성에 관한 연구

        정영인(Chung Young I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발테그 그림검사 반응특성을 파악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47명에게 발테그 그림검사(Wartegg-Zeichentest: WZT)를 실시하였다. 분석기준은 아우구스트 페터(August Vetter)의 현상학적인 해석을 토대로 평가항목을 재구성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WZT 반응특성은 선의 성질에서 예리한 선과 윤곽을 주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착상에서는 구체적 패턴이 가장 많았고 이를 세부 분류했을 때 동적인 표현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그림주제의 의미는 부합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WZT의 차이를 살펴보면 터치의 질은 틀1, 2, 5, 6, 7, 8, 합계에서, 음영과 윤곽에서는 틀1, 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림 착상의 분류에서는 틀3, 5, 합계에서 차이를 보였고, 세부적으로는 형식적 패턴, 구체적 패턴, 회화적 패턴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그림 주제의 의미 부합은 틀1, 3, 5, 합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WZT 분석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대학생을 이해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der difference of the responsive characteristics from university students in the Wartegg-Zeichen test(WZT). The WZT was given to the 247 university students in Gyounggi Province. The assessment item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August Vetter’s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The sharp line and contouring of the line characteristics had the highest rate in the drawing responses of the WZT among college students. The pattern to express specific objects had the most frequent rates. In the pattern to express specific objects, most frames showed dynamic expressions. Also, the correspondence of the themes with drawings had the high rate. 2. Gender differences in WZ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ine characteristics of the frames 1, 2, 5, 6, 7, and 8, shading and contouring of the frames 1 and 2. Picture patterns in frames 3, and 5 showed the difference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showed in parts in formal, specific, and pictorial patterns. Gender difference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rrespondence of the themes with drawings in the frames of 1, 3, and 5. Thu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tool of analysis in the WZT as well as an useful tool to understand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에 나타난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

        정영인(Chung, Young In)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격특성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을 통하여 대학생의 성격을 파악하는 검사도구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대학교 두 곳의 1-4학년 256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와 성격 5요인 척도를 사용했고, 자료분석은 교차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격특성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의 스트레스 반응특성 차이는 비의 양, 비의 방향, 바람의 세기, 구름의 수, 웅덩이 수, 웅덩이 면적, 웅덩이와 사람 접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성격특성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의 스트레스 대처자원 반응특성 차이는 직접 보호물의 수, 전체 보호물의 수, 얼굴모습, 인물크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성격특성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의 PDI 반응특성 차이는 비에 젖은 정도, 바람의 세기, 그림 속 사람, 사람의 기분, 사람에게 필요한 것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빗속의 사람 그림이 대학생의 성격특성을 파악하는 검사도구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Person In The Rain (PITR) can be used as a tool to understand personality traits of university student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 to PITR depending on the personality traits of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targets 256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rst to fourth grades of two universities in Gyeonggi-do. The research tools used a PITR drawing test and a scale of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the data analysis was cross tabu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the stress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PITR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stud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rain, direction of rain, strength of wind, number of clouds, number of puddles, area of puddles, and person contact with puddles.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stress response resources in the PIT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personal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direct protections, total number of protections, shape of face, and the size of person. Third, the difference in the PDI reaction characteristics of the PITR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stud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rain wetness, strength of the wind, person in the drawing, person s mood, and the person s needs. These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ITR drawing test can be used as a tool to examine personality traits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의 PPAT 그림검사에 나타난 학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김선미(Kim, Seon-Mi),정영인(Chung, Young-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study stress through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of a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PPAT) drawing test, and to evaluate the degree of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it as an inspection tool. Data collection is from November 7, 2016 to December 16, and 369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5 to 6 in Gyeonggi-do conducted PPAT drawing test and study stress test.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arried out by crossove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nder in the PPAT drawing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coloring, internal energy, logicality, realistic expression, character representation, and detail in FEATS, also there was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olors used, the sex of the person, the direction of the face, age, and clothes in Content Scale. Second,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PAT drawing test according to the degree of study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nal scales of energy, space use, integration, and apple acquisition in FEATS,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ce direction and clothes of the person in Content Sca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sponses presented in the PPAT drawing test are useful for characteriz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der and study stress levels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과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PPAT)’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을 통하여 성별과 학업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PPAT 그림검사가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정도를 평가하는 검사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1월 7일부터 12월 16일까지이고,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6학년 369명에게 PPAT 그림검사와 학업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PPAT 그림검사에 나타난 성별에 따른 반응특성은 형식척도에서는 색칠 정도, 내적 에너지, 논리성, 사실적 표현, 인물 표현, 세부묘사, 그리고 내용척도에서는 그림에 사용된 색의 수, 사람의 성별, 사람의 얼굴 방향, 나이, 옷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은 형식척도에서는 내적 에너지, 공간사용, 통합, 사과취득 유무, 그리고 내용척도에서는 사람의 얼굴 방향, 옷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PPAT 그림검사에 표현된 반응은 초등학생의 성별, 학업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의존의 심각도와 애착유형 및감정표현불능증과의 관련성

        김세진(Se Jin Kim),박영민(Young Min Park),김민걸(Min Geol Kim),이덕기(Duk Ki Lee),정영인(Young In Chu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1 사회정신의학 Vol.16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128명의 알코올의존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알코올의존의 심각도와 애착유형 및 감정표현불능증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 되었다. 방 법 : 애착유형과 감정표현불능증은 각각 자가보고형 검사도구인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ECR)과 Toronto Alexithymia Scales(TAS)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알코올의존의 심각도는 Michigan Alcohol Screening Test(MAST-K)와 Addiction Severity Index(ASI)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 알코올의존 환자에서 애착유형은 두려움형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무시형, 안정형, 몰두형의 순이었다. 환자의 37.5%에서 감정표 현불능증이 있었다. MAST-K점수는 두려움형과 무시형이 안정형과 몰두형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1). ASI의 여섯 가지 영역 중 알코올 복용 영역에서 두려움형과 무시형이 안정형과 몰두형에 비해 점수가 높았으며 법적 상태 영역에서는 두려움형과 몰두 형이 안정형과 무시형에 비해 점수가 높았다(p<0.05). MAST-K 점수는 감정표현불능증과 무관하였으나 ASI의 알코올 복용영역 점수는 감정표현불능증이 있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 론 : 알코올의존 환자의 진단적 평가에서 애착유형과 감정표현불능증의 유무를 평가하는 것이 향후 심리사회적 치료의 방향 설정에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among severity of dependence, attachment style and alexithymia in 128 alcohol inpatients. Methods : Attachment style and alexithymia were assess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of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 (ECR) and Toronto Alexithymia Scales (TAS), respectively, The severity of alcohol dependence were assessed using Michigan Alcohol Screening Test (MAST-K) and Addiction Severity Index (ASI). Results : Fearful type was highest prevalent, followed by dismissing, secure and preoccupied types among 4 types of attachment style. Alexithymia was present in 37.5 % of the subjects. MAST-K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arful and dismissing than in secure and preoccupied types (p=0.005). Among six sections of ASI the scores of alcohol use se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arful and dismissing than in secure and preoccupied types (p=0.005), and the scores of legal status sec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arful and preoccupied than in secure and dismissing types (p=0.031).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alexithymia and MAST-K scores, but, the scores of alcohol use section of AS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resent of alexithymia (p=0.02).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ssessment of alexithymia and attachment styles should be performed in the diagnostic evalution of alcoholic patients. This will help make a plan of psychosocial treatment for alcoholic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