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루소를 중심으로 본 <공감문제>

        정승옥 한국프랑스학회 2015 한국프랑스학논집 Vol.91 No.-

        Des peuples infortunés gémissants sous un joug de fer, le genre humain écrasé par une poignée d’oppresseurs, une foule affamée, accablée de peine et de faim, dont le riche boit en paix le sang et les larmes, et partout le fort armé contre le faible du redoutable pouvoir des lois. Voilà bien le tableau de l’état de la France au XVIIIe siècle tel qu’il apparaît aux yeux de Rousseau. Il accuse cette réalité misérable, tandis que sa plume ne cesse de la révéler, mais en même temps il s’efforce, face à cette misère, de proposer des moyens de la surmonter. En méditant sur les premières et plus simples opérations d’âme humaine, il croit appercevoir deux principes antérieures à la raison dont l’un participe à la conservation de nous-même, et l’autre inspire une répugnance naturelle à voir périr ou souffrir nos semblables. De ces deux principes, l’amour de soi et la pitié, c’est au dernier que cet article s’intéresse. La pitié est selon Rousseau le sentiment par lequel nous nous identifier avec l’être souffrant, mais bien que naturelle au coeur de l’homme la pitié resterait inactive sans imagination. Notre réalité du XXIème siècle n’est peut-être pas si différente de celle de Rousseau, et pour échapper à la misère qui menace notre solidarité, il nous faudrait retrouver ce sentiment de la pitié, sentiment qui n’être actif que par le support de l’imagination de chaque individu et de la vie collective.

      • KCI등재

        성좌의 시학을 위하여

        정승옥(Jeong, Seung-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3

        감각적 대상과 관념적 대상 사이에 일치가 일어나면 상징이 자리 잡고 감각적 대상과 관념적 대상 사이에 틈이 생기면 그 사이로 들어오는 것이 알레고리이다. 괴테는 알레고리가 상징보다 열등한 수사기법이라고 했지만 벤야민 이전까지, 실은 벤야민 이후에도, 문단에서는 상징과 알레고리란 용어를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고 사용했다. 벤야민이 활발하게 연구되면서 이제 상징이 아닌, 벤야민이 말하는 현대적 의미에서의 알레고리로 시작품들을 읽는 움직임이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 로망주의자들은 느낄 수 있는 것은 모두 무엇인가를 상징한다고 믿었지만. 머지않아 시인들은 그 믿음이 항상 통하는 것은 아님을 깨닫는다. 벤야민에 따르면 알레고리의 세계에서는 현실이 파편화 된 역사의 잔해로 자리 잡을 터이다. 이 논문은 벤야민의 알레고리론에 기대 김성규의 시들을 읽는다. 한결같이 자연과 문명이 뒤죽박죽 섞여 묘사되어 있는 김성규의 시들은 한편 한편이 서사구조를 갖고 있으나 화자의 시선의 각도를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 차라리 그의 시들은 총체적으로가 아니라 파편화로 존재하는,〈지금-여기의 현실〉자체가 숨어있는 진짜 화자가 아닐까 따져보게 하는 시들이다. 여기가 바로 앞서 말한, 김성규의 시를〈성좌의 시학〉으로 읽을 근거가 마련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이 논문은 성좌의 시학의 틀을 마련하기 위해 쓰이는 첫 논문인데, 간단하게 말하면 각 단락들 각각이 완전무결한 독자성을 가지며 동시에 다른 단락들과 공명 관계를 갖는다. 대립하는 단락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로 병존하며 어떤 ‘총체성’을 만들어 낸다. 그 총체성의 구체화가 바로〈성좌의 시학〉이다. A symbol comes into being when a sensual object corresponds to an abstract one; an allegory does when there is a crack between a sensual object and an abstract one. Johann Wolfgang von Goethe once said that an allegory is a rhetoric rather inferior to a symbol. Even after Walter Benjamin suggested thei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most critics have not distinguished them very rigorously and applied them to anything. On the basis of recent studies on these literary terms, some critics have applied an allegory to some poetic works. A romantic believes that whatever he feels can be a symbol, however, some poets come to understand that such a belief does not make any sense. According to Benjamin, the world of allegory will be the ruins of a history that is made of a fragmented reality. This paper attempts to read Kim Sungkyu’s poetical works on the theoretical basis of an allegory. His poems that depict some fragments of nature and civilization have a distinctive narrative structure, but do not provide us with any clear perspective of their speakers. The speaker of his poems, not as a comprehensive being but as a fragmentary, is a hidden one behind a here and now reality. This moment can be a point when and where his works can be understood as a poetics of constellation. This paper is an attempt to provide a field for a poetics of constellation, in which each paragraph has its own complete uniqueness as well as corresponding relationships between paragraphs. It is also a field in which some paragraphs may be opposite to others, but the juxtaposed and superposed paragraphs result in a totality. The concreteness of this totality is a poetics of constellation.

      • KCI등재

        루소의 『고백』 또는 주변인의 삶의 세계

        정승옥(Jeong Seung-o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7 외국문학연구 Vol.- No.25

        주변인(marginal man)은 신분과 환경에 따라 인간의 가치가 규정되는 사회에서 정체성이 분명하지 않은 사람, 어느 한 곳에 뿌리내리지 못한 사람을 말한다. 루소는 자신을 상류계층과 하류계층의 사이에 자리 잡고 있는 전형적인 주변인으로 규정한다. 그는 부자와 가난한 사람 모두와 교제하며 근본적으로 상이한 두 세계를 깊이 있게 체험하지만 양쪽 세계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 루소는 몇 번의 길지 않은 시기를 제외하면 한 평생을 주변인으로 살았으며 그의 사회 경험은 대부분 국외자나 사회의 변두리에 자리 잡고 있는 사람이 겪는 것이었다. 루소는 『고백』을 쓰면서 자기의 이러한 처지를 뚜렷하게 인식하고 있다. 프랑스 문학사에서 현대적 의미의 자서전의 맨 앞에 자리 잡고 있는 『고백』은 당연히 루소 개인의 삶을 다루고 있지만 동시에 18세기 사회의 주변성을 깊이 있게 보여준다. 작품도 주변성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주인공 루소는 개인적 체험을 나타내는데 머물지 않는다. 저자 루소도 개인적 체험의 화자에 머물지 않는다. 루소를 중심으로 짜여진 『고백』의 세계는 사회현상을, 인간과 현실세계와의 관계를, 하나의 생존양식을 재현하고 있다. 주변인의 삶에 천착하고 주변인의 시선으로 현실세계를 관찰하면서 루소는 흔히 중심부의 삶으로 여기는 지배계층의 삶만이 인간다운 삶이라는 통념을 한갓 속임수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사실 루소는 기회 있을 때마다 자신이 ‘공화국의 시민’임을 강조했다. 그러나 루소의 끈질긴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유년시절부터 그의 삶이 주변계층의 삶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루소도 안다. 실재의 루소와 그가 바라는 루소 사이의 이러한 간극은 주변성이 ‘강요된’ 것임을 암시한다. 그러나 주변인의 삶과 자신의 삶이 일치를 보이게 되면서 주변성은 이제 거부되지만은 않는다. 주변인의 삶이 현실의 변두리 세계에 국한되어 있고 주변부 인생의 삶에 그칠 뿐이라는 다시 말해 역사의 바깥에 머무는 한갓 쓰레기 인생에 지나지 않는다는 기왕의 인식을 루소는 받아들이지 않는다. 루소는 주변계층의 삶을 하나의 떳떳한 삶의 양식으로 받아들이지만 그 삶이 자리 잡고 있는 사회적 역사적 공간이 사회와 역사의 변두리에 그쳐야 한다는 그동안 통용되던 선입관은 거부한다. 한마디로 하면 루소는 주변인의 삶을 ‘선택하며’ 동시에 그 삶의 사회적 역사적 공간은 ‘거부한다’. 『고백』의 주인공 루소는 자신에게 강요된 고통스런 주변성을 긍정하고 육화한 다음 그 존재를 사회의 중심부로 옮기려 함으로써 주변성을 거부하고 떳떳한 역사적 존재가 되는 과정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In Les Confessions Rousseau depicted himself as a typical marginal man; his conception of himself was ambiguous and his social status was precarious since he did not belong to any specific communities. Placed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e experienced two radically different worlds; however, he did not feel himself to belong to either world. He lived as a marginal man most of his life, and thus his social experience was that of an outsider who drifted at the margin of the society. When he wrote Les Confessions, he was very clearly conscious of his own marginal state. Les Confessions as the first modern autobiography in French literary history focuses on Rousseau's personal life experiences as well as depicts the marginal life of 18th century French society. The work itself revolves around portraying the marginal life, depicting social phenomena and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the real world as well as their life style. Observing the life of minority with the eyes of a marginal man, Rousseau revealed that the assumption was only a deception that the lives of the dominant class only had value. Rousseau emphasized many times that he was a citizen of the republic, however, one easily finds that his life belongs to the minority class since he was young. Rousseau himself knew it, too. The difference between what he was and what he wanted to be suggests that the marginality was a forced identity; however, he did not simply reject the marginality. He did not accept the common idea that the life of a marginal man was that of an outcast at the margins of the society outside of the mainstream of history. He considered the life of minority class one of the fair modes of life, while he refused to think a marginal man's social and historical position must be confined to the margins of the society. In conclusion, Rousseau wanted a life of a marginal man but rejected to belong to the marginal social and historical space. Rousseau, protagonist of Les Confessions, affirming and incarnating a painful marginality assigned to him, revealed a process in which the marginal man rejected the marginality and took up an honorable place in his socie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