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계적인 임플랜트 치료 계획의 수립과 성공적인 임상을 위한 컨셉트

        정승미,김세훈,유지현,Jeong Seung-Mi,Kim Se-Hoon,Yoo Je-Hye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0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4 No.2

        Statement of problem: It is important to have a correct presurgical treatment plan before any implant surgery. It must contain substantial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concerned. However, the standard classification only notifies the dentist about various structural, pathological and physiological dimensions Due to diverse structure of the jaw bone, current standard classification does not tell spatial dimensions of the available bone for implant insertion sites. Purpose of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atic implant treatment plan and its clinical treatment using $Implan^(R)$ program which is based on ASCIi-classification that is available for future diagnosis and scale of treatment and for systematic implant insertion. Results: By assisting the systemic measurement of the available alveolus dimension during implant surgery, it was easy to set initial implant treatment plan. Conclusion: Using $Implan^(R)$ program which is based on ASCIi-classification system that allows the establishment of systemic implant treatment plan and successful clinical performance,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the founding or initial implant treatment plan ,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and the systematization of documentation.

      • KCI등재

        디지털 스캔을 이용하여 제작된 임플란트 수술가이드의 정확도

        정승미,방정환,황찬현,강세하,최병호,방일흠,전형태,안성훈,Jeong, Seung-Mi,Fang, Jeong-Whan,Hwang, Chan-Hyeon,Kang, Se-Ha,Choi, Byung-Ho,Fang, Yiqin,Jeon, Hyongtae,An, Sunghu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5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3 No.2

        목적: 인상재와 석고모형을 사용하지 않고 디지털 영상 만을 사용하여 제작된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상하악 부분 무치악 모델 6개 세트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모델을 환자 구강구조로 간주하고 부분 무치악 모델을 Trios 구강스캐너로 디지털 인상을 채득하였다. 수술가이드의 정확도 평가를 위해 제작된 Reference plate를 모델의 교합면에 고정한 상태로 CBCT를 촬영하였다. CBCT에서 얻은 영상과 디지털 인상에서 얻은 영상을 정합하고 정합한 영상에서 임플란트 식립위치를 진단하고 수술가이드를 디자인하였다. 제작된 수술가이드를 이용하여 부분 무치악 모델에서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시술 후, 시술 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CBCT를 촬영하여 시술 전 컴퓨터 소프트웨어에서 측정한 수치와 시술 후 CBCT촬영하여 소프트웨어상에서 측정한 시술 후 수치 사이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거리오차가 임플란트 상단 X축에서 0.27 mm, Y축에서 0.29 mm 였으며, 임플란트 하단(Apex)부위에서는 X축에서 0.11 mm, Y축에서 0.14 mm 평균각도오차가 X축에서 $0.26^{\circ}$, Y축에서 $0.26^{\circ}$ 였다. 평균수직오차는 +0.44 mm로 시술 전 계획한 높이보다 평균 0.44 mm 더 위로 임플란트가 식립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인상재와 석고모형을 사용하지 않고 디지털 영상 만을 사용하여 제작된 수술가이드를 사용하여 임플란트를 시술할 경우 계획한 임플란트 식립 위치와 방향으로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a stereolithographic surgical guide that was made with information from intraoral digital impressions and cone beam CT (CBCT). Materials and methods: Six sets of resin maxilla and mandible models with missing teeth were used in this study. Intraoral digital impressions were made. The virtual models provided by these intraoral digital impressions and by the CBCT scan images of the resin models were used to create a surgical guide. Implant surgery was performed on the resin models using the surgical guide. After implant placement, the models were subjected to another CBCT scan to compare the planned and actual implant positions. Deviations in position, depth and axis between the planned and actual positions were measured for each implant. Results: The mean deviation of the insertion point and angulation were 0.28 mm and $0.26^{\circ}$, apex point were 0.11 mm and 0.14 mm respectively. The implants were situated at a mean of 0.44 mm coronal to the planned vertical positio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tereolithographic surgical guides created without the use of impressions and stone models show promising accuracy in implant place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형폐기물의 성분별 주요 원소 함량의 표준화와 에너지 함량 추정

        정승미(Seung-Mi Jeong),김용진(Yong-Jin Kim)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6 신재생에너지 Vol.12 No.3

        In this study, after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olid wastes reported in several papers, reports, etc. were collected and analysed, the representative values were derived. The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according to each component were compared with the representative values calculated by using the Monte Carlo method (Crystal ball, Oracle). To apply these representative values to energy content determination, the physical composition and proximate analysis fluctuated heavily according to the region and time are surveyed on-site, and the energy contents can be obtained easily using the standardized chemical composition obtained in this study. Therefore, the time-consuming and cost matters would be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repeated elemental analysis.

      • 해조류 당 가수분해에 미치는 염분의 저해특성

        정승미 ( Seung-mi Jeong ),이동훈 ( Dong-hoon Lee ),김용진 ( Yong-jin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최근 우리나라 서·남해안에 대량 유입되고 있는 괭생이모자반은 매년 그 양이 증가하고 있으며, 항해 및 양식시설 등에 피해를 주고 있다. 또한 막대한 비용 및 인력을 동원하여 수거한 후에도 그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리나라 해안에 유입되는 양이 매년 증가하고 있어 괭생이모자반에 대한 적절한 처리방안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해조류는 바이오에너지 회수를 위한 바이오매스로 주목을 받아, 에너지 전환 공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괭생이모자반은 해조류 중 갈조류에 속하며 바이오매스로서의 잠재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바다에서 수거/수확된 해조류에는 해수 속 염분이 일부 묻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 단계에서 해조류 관리와 후속 공정과의 연구는 현재 미미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바다에서 수거된 괭생이모자반을 대상으로 수거직후 관리(세척여부)에 따라 바이오에너지 전환 공정 중 당 가수분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세척시료와 미세척시료를 대상으로 강열감량 후 회분의 전기전도도 값을 측정한 결과, 미세척시료가 2.28 mS/cm로 세척시료보다 1.64배 높았으며, 이때 회분의 약 73%가 염분으로 나타났다. 세척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배출된 세척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3회 세척 후 세척수 전기전도도는 1회 세척 후 결과 값의 88%가 감소하여, 해조류 표면에 묻은 염분은 반복되는 세척과정에서 상당부분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세척여부는 당 가수분해 공정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효소를 이용한 생물학적 가수분해 공정에 저해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Pichia Stipitis를 이용한 섬유질계 음식물류 폐기물의 바이오에탄을 발효 특성

        정승미 ( Seung Mi Jeong ),김용진 ( Yong Jin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3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0 No.5

        To improve the conversion rate of the saccharification liquid of food wastes, containing a mixture of pentose and hexose, to bioethanol,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by P. stipites which is used in the fermentation of xylose as well as glucose as a substrate. Saccharification liquid of cellulosic food wastes such as Chinese cabbage, cabbage, and Chinese chive contained hexose, mainly glucose and fructose, and pentose, mainly xylose and trace disaccharide. The pentose in reducing sugar occupied 32%, meaning that the conversion rate to ethanol could be increased by the fermentation of such a pentose. From the result of ethanol fermentation, although the rate of fermentation by P. stipites was slower than by S. coreanus, it was verified the consumption of pentose as well as hexose in the process of the forced air injection, consequently, it was confirmed the increase of ethanol yield.

      • KCI등재후보

        NAT/NFR 교합의 임상적용

        정승미(Seung-Mi Jeong) 대한치과의사협회 2013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1 No.5

        Many concept of occlusion have been introduced in the past, but there isn’t any generally accepted unified theory since a single occlusion theory cannot represent the natural perfection, especially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clinical experience, the dynamic occlusion, and individual diversity in mastication pattern. NAT(Naturgemasse Aufwachstechnik)/NFR((Natur Funktionsgerechte Rekonstruktion) occlusion is not just a theory on occlusion, but a clinical occlusion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to clinical practice by providing dynamic occlusion adjusted to the individual mastication pattern and biomechanics. This report aims to provide a guide to a clinically biomechanical occlusion through the teamwork of both the dentist and the lab technician by introducing the NAT occlusion through following: reviewing the concept of occlusion in terms of morphology, its correlation with NAT/NFR occlusion, reviewing the limitation of conventional occlusion theories, and introducing the clinical application of NAT/NFR.

      • 저장 기간 동안 바이오매스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

        정승미 ( Seung-mi Jeong ),이동훈 ( Dong-hoon Lee ),김용진 ( Yong-jin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바이오매스의 저장 및 취급 여건은 바이오매스의 형태 및 종류에 매우 달라진다. 바이오매스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어떻게 저장하고 취급할지는 바이오매스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바이오매스의 저장시설은 어떠한 조건에서도 지속적인 원료공급, 자체 영양물질의 감소와 분해를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저장시설 내부에서는 저장물의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학적 그리고 화학적 반응 등에 의해 내부 온도가 상승하고, 온도상승에 의한 자연발화에 의한 화재 및 폭발 등의 안전성이나, 곰팡이 생성 등의 위생적인 면에서 문제될 수 있다. 특히 저장기간 동안 또는 저장 후 바이오매스의 수분함량은 원료의 적합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대부분의 목재 및 농업부산물과 같은 바이오매스는 4-50% 범위의 수분함량을 가지고 있으며, 음식물류 폐기물은 최대 94%의 수분함량을, 혼합 도시고형폐기물 중 유기물의 평균 수분함량은 53.7%의 수분함량을 나타낸다고 보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에너지회수 시설에 사용되는 바이오매스는 수분함량이 낮아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용되고 있는 바이오매스 저장시설의 종류 및 형태, 그리고 발생 가능한 문제점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저장 기간동안 수분함량에 따른 바이오매스의 물리·화학적 조성 변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