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선로 전압 조정을 위한 DSTATCOM 제어

        정수영,김태현,문승일,Jung, Soo-Young,Kim, Tae-Hyun,Moon, Seung-Il 한국전기전자학회 2001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5 No.2

        Two control techniques - PI and LQR(Linear Quadratic Regulator) - of DSTATCOM (Distribution 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 for line voltage regulation in distribution system are presented. It is shown that the voltage waveform is improved if the proposed methods are applied in IEEE 13 radial distribution system using PSCAD/EMTDC package in case of single line-to-ground fault. The three cases - without control, with PI control and with LQR control - are compared. The LQR control is shown to be best in respect of response profile and control effort required among them. 본 논문에서는 배전 계통에서 전압 파형 개선을 위하여 배전용 정지형 보상기(DSTATCOM)의 제어 기법 2가지를 보였다. 1선 지락 사고 시에 제시한 방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선로 전압 파형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제어 및 PI 제어와 LQR 제어를 비교하였다. 요구되는 응답 특성 및 제어 효과에서 LQR 제어가 우수함을 보이고 PSCAD/EMTDC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매스미디어의 사회적 책임과 어카운터빌리티

        정수영(Soo-Young Ju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9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매스미디어의 위기 타개 및 개혁을 위한 규범이론의 내용과 범위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허친스 보고서와 함께 허친스 보고서를 사상적 토대로 한 기존의 사회적 책임이론 관련 논의를 검토하여 한계점 및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허친스 보고서는 매스미디어의 책임과 어카운터빌리티를 도덕적·법적 의무로 제시하였으며 미디어와 시민의 상호 협력관계 속에서 적극적 자유 이행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하지만, 사회적 책임이론에서 미디어의 책임은 어카운터빌리티에 관한 논의가 결여된 채, ‘기능’, ‘자율적 윤리’, ‘자율규제’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소극적 자유로서의 한계를 노출해왔다. 따라서 자율규제나 기능주의적 접근에 의한 미디어의 사회적 책임 논의를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를 기반으로 한 적극적 자유 개념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사회적 토론과 합의를 거쳐 사회적 책임의 내용과 범위를 도출해 내야 한다. 허친스 보고서가 권고한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는 매스미디어가 시민사회와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사회적 자율규제’를 실천하기 위한 민주적 방안으로서, 그리고 사회적 책임이론에 내재되어 있는 한계 극복을 위해 유용하다. 따라서 다원적 미디어시스템 하에서 미디어 환경 개선과 신뢰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미디어 특성에 걸맞은 사회적 책임 그리고 어카운터빌리티의 내용 및 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 논의를 확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contents, and a range of a Normative Theory and a practice for overcoming a crisis of the Mass medi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limitation and implica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Theory was looked into by investigating a Hutchins Report. Hutchins Report suggested the related points at moral duty and legal obligation in implementing mass media’s Social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with relations in publics and community. However, within a view point of a lack of Accountability, Social Responsibility Theory limited responsibility to the realm of ‘function’, ‘self-regulation’ and ‘self-ethics’. In order to promote mass media’s quality and serve to rehabilitate its reliability under the pluralistic media system, the content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its scope should be suggested. Media Accountability is a starting point to draw out the contents and scope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also a valid democratic plan for mass media to ‘social self-regulation’ through the mutual communication with civil society. For future Social Responsibility and Media Accountability that is suitable for various mass media, and contents and a range should be defined.

      • KCI등재

        ‘세월호 언론보도 대참사’는 복구할 수 있는가?

        정수영(Soo-Young Jung) 한국언론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1 No.2

        2014년 4월 16일 아침 발생한 세월호 대참사는 ‘세월호 언론보도 대참사’로 이어졌다. 이 글은 세월호 언론보도 대참사가 대형재난이라는 ‘특수성’이나 재난보도 가이드라인의 부재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즉, ‘저널리즘 규범’에 대한 자각과 고민 그리고 실천적 노력의 부재 속에서 축적되어 온 부정적 보도 행태와 관행이 임계점에 도달하여 폭발한 것으로 진단했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진단을 토대로 저널리즘 규범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이론적 성찰을 시도했다. 첫째, 세월호 언론보도의 실체에서 드러난 일상적 보도 행태와 관행 속에 내재해 있는 근원적인 문제로 ‘윤리’의 속성과 ‘자율규제’의 한계를 지적했다. 둘째, 언론윤리와 자율규제를 핵심요지로 하는 사회적 책임이론은 언론자유를 배타적이고 독점적인 특권과 소극적 자유로 규정하고 있음을 밝혔다. 셋째,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저널리즘 규범의 패러다임을 적극적 자유로 전환해야 함을 제언했다. 언론의 적극적 자유 개념을 구성하는 키워드로 제시한 것은 ‘어카운터빌리티’(accountability)다.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had happened on April 16, 2014, the news coverage on this tragic incident also became a disastrous mes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that the miserable results of the Sewol Ferry coverage have been caused by distinctiveness such as catastrophe or absence of disaster reporting guidelines. This study analysed that this problem was caused by the cumulative effects of unethical and irresponsible news gathering practices in the midst of lacking in the awakening, concerns, and action over the journalism norms. This study attempted a theoretical exploration for the paradigm shift of journalism norms on the basis of the aware of this issue and diagnosis on the Sewol Ferry coverage.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a limitation on the ethics and self-regulation in the Sewol Ferry coverage and ordinary news gathering practices. Second,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Social responsibility theory which is based upon media ethics and self-regulation, defines the freedom of the press is exclusive, monopolistic privilege and negative freedom(freedom from). Based up on the discussion abov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aradigm of journalism norms should be changed over to positive freedom. ‘Accountability’ is a key word which forms the concept of positive freedom(freedom for).

      • KCI등재
      • KCI등재

        중국과 일본의 주요 일간지에 실린 대중문화 한류 관련 뉴스 분석

        정수영(Soo Young Jung),유세경(Sae Kyung Yu)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3 언론정보연구 Vol.50 No.1

        본 연구에서는 중국과 일본의 주요 일간지에서 대중문화 한류를 어떻게 보도했는지에 관해 분석하였다. 분석기간은 2009년 1월 1일부터 2012년 5월 31일까지다. 분석대상은 중국의『??인민일보』와『경화시보』에 보도된 총 291건의 기사, 일본의『요미우리신문』과『아사히신문』에서 보도된 총 347건의 기사다. 분석 유목으로는 6개의 대중문화 한류 장르, 3개의 논조, 그리고 5개의 뉴스 프레임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장르, 논조, 장르별 논조, 그리고 지배적 뉴스 프레임의 양적분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와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분석 결과와 해당 국가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 분석 대상 일간지의 매체적 속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뉴스 보도에 내재되어 있는 보도 시각과 태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함의는 한류 최대 수입 국가의 주요 언론에서 보도한 한류 기사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한류는 물론 우리 대중문화의 방향성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porting attitude, theme and prevalent frames in news relating to the Korean wave in the mainstream newspapers in China and Japan between 2009 and 2012. The flood of the Korean popular culture ? films, pop music and especially TV dramas into the rest of Asia around since the late 1990s became to be known as the Korean wave, which has also been swiftly making its presence felt in other parts of the world such as Europ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Korean Wave in Asia by analyzing the Korean wave news of Chinese and Japanese newspapers. The total of 291 articles have been collected from China’s People’s Daily and Jinghua Daily; 347 articles from Japan’s Yomiuri Sinbun and Asahi Sinbun have been analyzed. The findings showed that more Korean Wave news were reported in positive perspective than negative perspective, and cultural interest frame was the most predominant frame followed by comparison/competition/cooperation frame in both nations. Overall, we found that the way the Korean wave is framed in the news reflects the differences in culture and national context and that it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public understanding and evaluations of the Korean wa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