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 내 이민자 자영업의 시공간적 역동성 -시카고 거주 한국인 이민자를 사례로-

        정수열 ( Su Yeul Chung ),임석회 ( Seok Hoi Yim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2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5 No.3

        이민자 집단에 있어 자영업은 생존과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의 중요한 수단이다. 지리학적 관점에서는 이민자들의 주거 집중이 이민자 자영업이 성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아 왔다. 하지만 최근 이민자들의 거주지가 분산되어 집거권의 역할이 축소될 가능성이 점쳐 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민자들의 주거 분산에 따른 자영업에 대한 집거권이 행하는 역할이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 시카고 대도시권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 자영업자들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먼저 Public Use Microdata Sample(PUMS) 통계자료를 통해 한인 자영업의 전반적인 변화상을 점검하였다. 주거 분산에 대한 한인 자영업자들의 반응과 대응을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반응이라는 측면에서 자영업자들을 ‘영향이 있었다’는 그룹과 ‘영향이 별로 없었다’는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의 특성이 고객확보, 노동력수급, 자재수급, 사업정보획득, 그리고 사업경험이라는 측면에서 서로 다르다고는 것이 밝혀졌다. 두 그룹이 민족네트워크에 의존하는 정도와 활용하는 방법에서 상이하여 그러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이민자 기업가주의의 발흥에 있어 주거 집중의 중요성은 해당 자영업의 민족적 네트워크의 의존도와 활용방법에 달려있다는 점을 밝혔다. Ethnic entrepreneurship, an important means by which immigrants improve economic status, is widely believed to be facilitated by their residential concentration, i.e. ethnic enclaves. However, the recent immigrants` residential dispersion and re-clustering in some selected well-to-do suburbs portend changes in the role of ethnic enclave as a nest of immigrant entrepreneurship.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s of the residential disopersal on ethnic entrepreneurship with a case study of Korean small businessmen in Chicago, Illinois PMSA. The research utilizes the Public Use Microdata Sample (PUMS) to know the overall changes in Korean entrepreneurship through 1990s and conducts a survey to understand reactions and surviving strategies of Korean enclave businessmen to the residential shifts. Relevant to those analyses is the enclave-economy hypothesis which argues benefit from spatial clustering of co-ethnic entrepreneurs by yielding more business opportunities and higher returns.

      • KCI우수등재

        국내 북한이탈주민의 모빌리티 역량과 이주 실천

        정수열(Su-Yeul Chung),연형(Yeonhyeong Jeong) 대한지리학회 2021 대한지리학회지 Vol.56 No.6

        국내 북한이탈주민은 1990년대 북한의 극심한 경제난 이후 급증하여 2020년 현재 3만3700여 명에 달한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이주민으로서의 성격에 주목하고 모빌리티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탈북과 한국으로의 이주실천을 분석하였다. 북한과 한국에서 생애의 일정 기간을 보냈던 북한이탈주민을 눈덩이 표집하고 심층 인터뷰하여 탈북 동기, 모빌리티 역량, 한국 입국 후 정착지 선택 과정을 파악하였다. 연구 참여 북한이탈주민은 북한 사회와 삶에 대한 불만족, 주변인의 권유, 그리고 진로 및 진학 등이 탈북을 결심하게 된 직접적인 이유였다. 이들은 해외 방문 경험, 북한 내 지역 이동 경험, 외지 정보를 통한 상상 이동 경험 등의 크고 작은 모빌리티 역량을 가졌으며 이를 탈북과 한국입국 등 이주 실천에 활용하였다. 나아가 모빌리티 역량의 크기에 따라 한국 내 정착지를 선택함에 있어 적극성의 차이를 보였다. 북한이탈주민의 이주에 관련된 기존 분석은 탈북 경로를 확인하고 그 과정상 특징적 요소만을 단순 기술하거나 탈북과 관련된 배경적 요인을 부각하는 한계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모빌리티 역량이 탈북 이전과 그리고 한국으로의 입국 과정에서 축적되고 발현되며 종국에는 한국 내 정착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has risen sharply after North Korea"s extreme economic hardship in the 1990s, reaching 33,700 as of 2020. This study defines North Korean defectors as migrants and analyzes their migration practice by applying the mobility paradigm. Through snowball sampling and in-depth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d spent a certain period of their lives i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it analyzed the motives for defecting, mobility capabilities, and the process of choosing a settlement after entering South Korea. The major reasons for their defecting were the dissatisfaction with North Korean society, the recommendations from their relatives and acquaintances, and their career advancement. They had the different kinds of mobility capabilities such as overseas visit experience, inter-regional movement experience in North Korea, and imaginary movement through foreign information and utilizing them to practice the migration. Furthermore, there was a difference in activeness in selecting a settlement in Kore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bility capability. The existing literature about the mig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ends to simply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in the migration path and make only circumstantial arguments by emphasiz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for defection.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the mobility capabilities are accumulated and manifested before defecting and during moving into South Korea, and could ultimately influence the settlement in South Korea.

      • KCI등재

        사회경제적 양극화와 도시 내 계층별 거주지 분리

        정수열 ( Su Yeul Chung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5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8 No.1

        세계화와 산업구조조정으로 사회경제적 양극화가 진행됨에 따라 계층 간 거주지 분리가 심화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1990년대 말 경제위기로 사회경제적 양극화가 급진전했음을 주목하고 이가 도시 내 거주지 분리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시를 사례로 2000년대를 걸쳐 일어난 계층별 거주지 분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계층은 교육수준으로 정의되었으며 자료는 동별로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서비스시스템(MDSS)을 통해 추출하였다. 거주지 분리의 주요 지리적 양태별로 개별 도시에서 시계열적 변화를 가늠하는 전역적 측도와 도시 내 공간적 변이를 보여주는 국지적 측도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집중-균등을 측정하기 위해 전역적 지표로 상이지수를 그리고 국지적 지표로 입지계수를 활용하였으며 군집-노출을 측정하기 위해 전역적 지표로는 상호작용지수와 노출지수를 국지적 지표로는 로컬 Moran’s I 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례지역에서 계층별 거주지 분화가 심화되었으며 도시내에서 뚜렷한 공간적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계층 간 거주 패턴은 상호 연관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국내 수위 도시에서 경제 위기 이후 거주지 분리의 최근 변화상을 보다 체계적인 방법으로 파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It is widely believed that increasing socio-economic polarization inspired by globalization andeconomic restructuring worsens residential segregation by class in Korean cities. However, the existing lit-eraturefalls short in showing the recent changes of the residential segregation, particularly after the 1997financial crisis, with reliable and systematic segregation measures. Noting that there are the two majordimension in residential segregation - evenness-concentration and exposure-clustering - this study introduced not only global measure (dissimilarity index and isolation/interaction index) but also local measures(location quotient and Local Moran’s I) for each dimension. These measures are applied to the case study of Seoul in the 2000s. The class is defined by education attainment and the data is obtain through the MicroData System Service System(MDSS). The result shows that the residential segregation by edu-cation attainment persists through 2000s and even get worse in some dimension. More significantly, it turns out that high-class and low-class residence are nearly mirror-images of each other, indicating high segregation.

      • KCI등재

        베트남 중부고원지대 커피농가의 사회경제적 격차: 민족성의 영향을 중심으로

        정수열 ( Su-yeul Chung ),이승철 ( Sung-cheol Lee ),조영국 ( Young Kug Joh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2

        베트남 중부고원 지대는 1986년 개혁개방 이후 커피생산의 비약적 증대, 글로벌 커피시장과의 적극적 연계 등 을 통해 베트남뿐만 아니라 세계 유수의 커피생산 지역으로 변모하였다. 중부고원지대 커피산업의 비약적 발전은 베트남 저지 주민의 대규모 유입과 맞물려 진행되었다. 그 결과 중부고원지대는 소수민족 중심 사회에서 저지 출신 주류민족, 킨(Kinh )족 중심 사회로 변모하였다. 한편 커피산업의 발전은 중부고원지대 가족농의 사회경제적 격차 나아가 계층 분화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커피 재배 여부 및 커피재배에서의 생산성 격차가 그대로 사회경제적 격차로 발현되었다. 이 과정에서 민족간 사회경제적 격차 문제, 소수민족의 주변화 문제가 부각되었다. 민족간 사회경제적 격차는 단순히 커피재배 참여 여부만이 아니라 커피경영에 있어서 수익성 격차에 의해서도 나타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소수민족농가의 커피 경영에 있어서 상대적 저효율이 소수민족의 인적 자본 및 사회적 자본의 취약성과, 문화적 특성에 따른 상업적 농업 부적응 측면을 지적하였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여전히 생산성의 격차가 발생하는 구체적인 메카니즘을 충분히 밝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수민족 원주민 커피농가와 다수민족 이주민 커피농가의 커피 생산·판매 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커피소득 격차가 나타나게 되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사례 연구로 닥락 성의 다수민족 이주민인 킨족과 소수민족 원주민인 에데(Ede )족 커피농가를 설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민족성은 커피농가간 토지생산성 격차를 설명하는 핵심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소수민족 커피농가의 낮은 생산성은 취약한 자본에 따른 조방적 경영, 부채 문제, 나아가 낮은 소득과 부채부담으로 인한 비효율적 판매전략-대표적으로 판매시기 조절-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Since after the 1986 economic reform policy(Doi Moi), the central highland in Vietnam has transformed into one of the largest coffee producing areas. The transformation had been supported by mass migration of ethnic Kinhs from the coastal lowland. It did not take long for the Kinh migrants to be the ethnic majority in the region. Meanwhile the growth of coffee industry entailed in socio-economic disparity, specially between Kinh migrants and native ethnic minorities. The disparity has becomed obvious not only between coffee farming Kinhs and non-coffee farming ethnic minorities but also between coffee farming Kinhs and ehtnic minorities. The previous literatures highlight the lack of human and social capital and the lagging modernization in ethnic minority societies. However, they fall short in showing the explicit processes why ethnic minority coffee farmers earn less than ethnic majority counterparts. With a case study of Dak Lak province, this research attempts to show the reason why there is income gap between Kinh and ethnic minority Ede coffee farmers by comparing their ways of producing coffee and selling their products. The results show that Ede’s land productivity is significantly lower than Kinh’s. It is because Ede farmers use less fertilizer due to the shortage of the capital. Also they often get into debt for coffee production and should pay it back right after the harvest. It deprives them of chance to raise earning by selling the coffee beans at a higher price.

      • KCI등재

        교육수준별 거주지 분리와 근린주거환경 격차: 서울시를 사례로

        정수열 ( Su-yeul Chung ),이정현 ( Jung-hyun Lee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4

        최근 세계화와 산업구조조정으로 인해 가속되는 사회경제적 양극화는 학력자본의 세대 간 대물림으로 고착될 위험에 처해 있다. 본 연구는 학력자본의 대물림은 거주지 분리를 매개로 이루어진다는 인식 하에 중년층의 교육수준별 거주지 분리에 따른 근린주거환경의 격차를 서울시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국지적 거주지 분리 측도를 통해 근린별거주지 분리를 측정하고 자연, 주택, 지역인구, 생활·편의·교통, 교육, 복지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근린주거환경을 가늠하는 변수들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학력층별 집중-집적지 간에는 뚜렷한 근린주거환경의 격차가 나타났다. 특히 저학력층과 고학력층 집중-집적지 사이에는 주택환경과 교육환경 측면에서 정반대의 성격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도시의 계층별 거주지 분리의 원인에 대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되기도 한다. Socio-economic polarization in Korea partly due to recent globalization and industrial restructuring could reduce social mobility significantly through passing down educational achievement to one`s children. Under the notion that residential segregation is geographical frame for the reproduction of educational inequality, this research investigates residential segregation by educational attainment and neighborhood disparity with a case study of Seoul. The statistical analyses employed local segregation measures such as Location Quotient and Local Moran`s I and a variety of variables that reflect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found that there are sharp and clear contracts between low- and high-educational group concentrations/clusters particularly in terms of housing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facilities. This results provide some evidences that support the arguments about the causes of residential segregation by class in Korean Cities.

      • KCI등재

        인종ㆍ민족별 거주지 분화 이론에 대한 고찰과 평가

        정수열(Su-Yeul Chung) 대한지리학회 2008 대한지리학회지 Vol.43 No.4

        거주지 분화(residential segregation)는 도시 불평등을 심화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거주지 분화의 원인에 대한 상이한 주장들을 살펴보고 사례분석을 통해 현실 적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론적 고찰은 일찍이 논의가 활발했던 미국도시의 인종ㆍ민족별 거주지 분화에 대한 것으로 한정하였으며, 거주지 분화가 소수민족의 주류사회로의 낮은 동화에 기인한다고 주장하는 지리적 동화론(spatial assimilation), 주택금융시장의 인종차별에 기인한다는 층화론(place stratification), 그리고 거주지선택에 있어 타민족에 대한 선입관과 자기민족에 대한 선호에 기인한다는 재기되는 민족성론(resurgent ethnicity)을 살펴 보았다. 사례 연구로 시카고에 거주하는 아시아인의 거주패턴의 변화를 출신국가별로 지도로 그려 분석하였다. 1990년대를 통한 가장 큰 변화는 교외화와 재집중화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이는 민족성론을 그리고 부분적으로 마나 동화론을 뒷받침한다. Residential segregation is often considered to be one of the social problems that intensify urban inequality. This study reviews three different frameworks about the causes of residential segregation and tests their validity in the real world. The review focuses on racial/ethnic residential segregation in U.S. cities since it has been blamed for persistent socio-economic gap among racial/ethnic groups. The three different segregation frameworks include ‘spatial assimilation’ that attributes segregation to low degree of assimilation and acculturation, ‘place stratification’ to discriminatory practices in the housing and mortgage markets such as steering, blockbusting, and redlining, and ‘resurgent ethnicity’ to racial/ethnic preference in residential choice, particularly in-group attraction. As an effort to test their validity, the paper examined residential pattern changes of the four major Asian nationality groups through 1990s and found that their residences got decentralized but re-cluster in some selected suburbs. This supports ‘resurgent ethnicity’ largely and ‘spatial assimilation’ only partly.

      • KCI등재
      • KCI등재

        계획 이주와 자발적 이주 간 연계 -베트남 닥락 성 커피 생산에서 이주의 역할-

        정수열 ( Su Yeul Chung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3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6 No.3

        베트남이 세계 제2의 커피 생산국으로 도약하는 데에는 닥락(Dak Lak) 성(省)을 포함한 중부고원지대의 농업 발달이 있었으며 그러한 농업 발달에 연안지역에서 내륙고원지대로의 이주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기존 연구는 이러한 이주의 중요성을 인지하면서 계획 이주와 자발적 이주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해 왔다. 하지만 이들 연구는 계획 이주와 자발적 이주 간의 연계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지 못했으며 이들의 연계 관계가 커피의 생산 현장이라 할 수 있는 꼬뮨 단위에서 차별적으로 구현되었는지 밝히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닥락 성으로의 이주 흐름을 통계자료로 분석하고 Ea H’Ding 꼬뮨과 Doan Ket 꼬뮨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전문가와의 면담 그리고 농가 설문과 면담을 통해 이주 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닥락 성 스케일에서 계획 이주가 초기에는 많았다가 점차 감소하였으나, 대신 자발적 이주가 점차 증가하면서 꾸준한 인구 유입이 이루어져 이 지역이 커피 생산지로 발돋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커피 생산의 구체적 현장이라 할 수 있는 소지역 스케일에서는 계획 이주와 자발적 이주 간 연계 관계가 서로 다른 민족 구성, 정주 시기, 정부 개발 프로그램, 이주민 폭증 시기를 갖는 꼬뮨별로 상이하게 구현되었음이 밝혀져 국지적 맥락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Vietnam`s growth as the second largest coffee producer in the world has been fueled by domes-tic migration into central highlands. However, the detail migration processes have not been explicvitly discussed. In particular, the existing literatures tend to describe the migration flow in a framework of planned migration versus spontaneous migration, paying less attention to the linkage between them. With a case study of Dak Lak province which is the leading robusta producer in Vietnam,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linkage between planned and spontaneous migration in a multiscalar approach. The statistic data allow the researcher to know temporal association between the two type of migration in a provine scale. The survey and interview about two coffee-producing communes-Ea H1Ding in Cu M1gar district and Doan Ket in Krung Buk district-inform us that the linkage between planned and spontane- ous migration is contingent to the local contexts including ethnic composition, timing of settlements, governement`s development program, and timing of a larage flow of in-migration.

      • KCI등재

        국내 소매,소비지리학의 연구 동향과 과제

        정수열 ( Su Yeul Chung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1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4 No.3

        국내 소매업은 슈퍼마켓, 편의점, 할인점, 기업형 슈퍼마켓과 같은 신규 업태의 등장과 함께 성장했으며 최근에는 업태들 간의 경쟁과 갈등이 있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제지리학의 한 분야인 소매 · 소비지리학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매 · 소비지리학에서 대다수 연구가 새로운 업태가 등장할 때 마다 그들의 입지, 확산, 상권을 분석하는데 주력하고 있음을 보였다. 연구 다변화를 위해 본 논문은 새로운 소매 · 소비공간이 창출되고 있는 점을 주목하고 그를 개념화하여 다양한 연구 주제를 제시하였다. 새로운 소매 · 소비공간은 여가, 복지, 환경, 혹은 기부와 결합되기도 하고 전통적인 사적 공간인 집에 전자매장을 개설하여 침투하고 있으며 전지구적 생산과 분배 시스템에 편입되고 있다. 이러한 소매 · 소비공간의 변화와 더불어 다양한 지리적 스케일에서 소매의 공간구조도 향후 소매 · 소비지리학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The retailing industry in Korea has developed with new store formats: supermarket, convenient store, discount Store, and super-super market. Also, there are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them, becoming a national issue. This study reviews the existing literatures in Korean geography of retailing and consumption and attempts to set forth the future research themes and topics. The review shows that the existing literatures disproportionately focus on location, diffusion, and market area of the new store formats. The future research themes and topics includes the marketplace combined with recreation, donation, environment-friendliness, or social welfare; marketplace as a part of global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expansion of marketplace into homes which are longstanding private space; spatial structure of retailing at various geographical sc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