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산후조리원 내 신생아실의 실내 환경 특성 - 목재가구류에 따른 실내공기질과 조명배치에 따른 조도 특성을 중심으로 -

        정소담,이상진,김태욱,장슬애,김석환 한국가구학회 2013 한국가구학회지 Vol.24 No.1

        As professional postnatal care systems have been rapidly supplied, there is sharp increase of postnatal care centers without legal regulations for a mother and a infant. For the quick recovery of mothers, newborn infants that have weaker immune systems are being managed in group in the postnatal care centers. Recently, the attention of the postnatal care centers has been growing because the problem of pneumonia which led to result in a casuality in a infant unit was happen. So, this research analyzed the indoor environment of infant unit through measuring formaldehyde, carbon dioxide, intensity of illumination. As a result of the data, infant units showed higher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and carbon dioxide than Indoor Air Quality Control Law. Moreover, infant units was measured higher intensity of illumination than the range of optimum illumination for infants.

      • KCI등재

        상담사 자기 효능감 변화에 기여하는 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정소담,김창대 한국상담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6 No.4

        This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d novice counselors’s experiences of changes in self-efficacy through supervis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counselors who had experienced supervision, and additional field materials were collected.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which emphasizes the interpretation of participants’ individual experiences, was adopted. The main findings are follows: Supervision itself, along with the supervisor’s belief in the counselor’s ability and effort, enhances the supervisee’s confidence. As counselors trust their supervisors, their mastery experiences are facilitated, and the supervisor’s feedback increases self-awareness, self-acceptance, and a sense of control. Supervisors can also help supervisees develop their self-efficacy by providing clear guidance and emotional support. The discuss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availability of supervision and relational efficacy beliefs, suggesting the need for a supportive institutional environment for regular supervision.

      • KCI등재

        초심상담자의 애도 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정소담 한국상담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심상담자들이 애도 상담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내용과 구조를 살펴보고 그 경험의 본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애도 상담 경험이 있는 초심상담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현지 자료를 수집하여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총 237개의 의미 단위와 22개의 하위범주, 9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초심이라 걱정되고 부담스러움’, ‘애도라는 주제에 압도됨’, ‘전환점을 맞이함’, ‘내담자의 슬픔에 함께 공명함’, ‘보람과 충만감이 차오름’은 애도 상담 과정에, ‘내담자를 돕기 위해 고군분투함’, ‘내담자 곁에 존재함’은 애도 상담을 위한 노력에, ‘새로이 깨닫고 배움’, ‘자신과 주변을 되돌아봄’은 애도 상담의 영향에 해당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초심상담자의 애도 상담 경험의 구조는 애도 상담 과정, 애도 상담을 위한 노력, 애도 상담의 영향으로 구성되었고, 그 본질은 인간 대 인간이 함께 만나 고군분투하며 성장하고 성찰하는 여정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및 상담자 교육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qualitatively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novice counselors in grief counseling and their essential meaning. To that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counselors who had experienced grief counseling and field materials we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As a result, 237 meaning units, 22 subcategories, 9 categories were derived. The processes of grief counseling included being ‘worried and burdened as a novice,’ ‘overwhelmed by the theme of grief,’ ‘meeting the turning point,’ ‘sharing the grief and sorrow,’ and ‘feeling rewarded and fulfilled.’ Efforts in grief conseling encompassed ‘struggling to help the griever,’ ‘being with the griever.’ The influence of grief counseling was evident in ‘learning through experience’ and ‘reflecting on life and relationships.’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suggestions were proposed for further research on grief counseling and the education of novice counselors.

      • KCI등재

        Investigation of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polymer blends via molecular simulation: a review

        정소담 한국유변학회 2023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Vol.35 No.4

        Computer simulation and modeling have proven to be powerful tools in the fields of engineering and polymer science. These computational methods not only enable us to verify experimentally observed behaviors, but also provide answers to unsolved phenomena. This review addresses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of computational and theoretical studies in polymer blends. We briefly discuss the fundamental aspects of polymer blends, including experimental observations, theories, and a variety of molecular simulations and models for mixtures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articular, this study deals with the description of coarse-grained techniques that can offer perspectives into the collective behavior and properties of complicated systems. Additionally, a detailed analysis of their structural, rhe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via computation is also examined. Lastly, we summarize important findings and highlight points to be carefully considered in modeling polymer blends system accompanied by an outlook on the extension of current studies to complicated systems of many blending types.

      • KCI등재

        숙련상담자의 사별 애도 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정소담,조영희,안현지 한국상담심리학회 2025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숙련상담자들이 사별 애도 상담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살펴보고 그 본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별 애도 상담 경험이 있는 숙련상담자 5명을 심층 면담하여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49개의 의미단위와 28개의 하위범주, 12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불안정한 내담자를 보며 긴장을 느낌’, ‘슬픔에 빠진 내담자가 안타까움’, ‘내담자의 경험세계가 궁금함’, ‘내담자의 힘을 발견하고 응원함’은 사별 애도 상담에서 상담자의 내적경험에, ‘애도 상담의 구조를 자연스럽게 적용함’, ‘내담자가 사별 경험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기다려 줌’, ‘위기 개입을 애도 작업과 병행함’, ‘내담자의 개별적 특징에 주목함’, ‘내담자의 사별 경험을 새롭게 해석하여 돌려줌’, ‘내담자의 삶을 회복하고 도약하도록 도움’은 사별 애도를 위한 상담자의 전문적 개입에, ‘상담자 자신의 개인적 삶을 실존적으로 성찰함’과 ‘상담자로서 전문적 삶을 되돌아 봄’은 사별 애도 상담을 통한 상담자의 성장에 해당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숙련상담자의 애도 상담 경험의 본질은 ‘회복의 장(場)에서 상담자와 내담자가 서로를 성장시키며 관계를 확장해 나가는 과정’이었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 애도 상담 교육과 실무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of experienced counselors in grief counsel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counselor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analysis yielded 249 meaning units, 28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Counselors reported ‘being nervous about instability,’ ‘sympathizing with deep sorrow,’ ‘being curious about the client’s experience,’ and ‘cheering for the client.’ Their professional interventions included ‘structuring grief counseling,’ ‘waiting for clients to accept their loss,’ ‘providing crisis intervention,’ ‘considering individual client characteristics,’ ‘reinterpreting bereavement,’and ‘facilitating recovery and growth.’ Additionally, counselors experienced personal growth through‘taking time for existential reflection’ and ‘reflecting on professional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grief counseling practice and counselor educ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개인기준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추상적, 구체적 반복사고의 차별적 매개효과

        정소담,김창대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2

        This research was conduc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al standard perfectionism on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differential mediating effects of abstract-analytic thinking and concrete-experimental thinking. For this purpose, 565 adults were surveyed about Fros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FMPS), Repetitive Thinking Mode Questionnaire(RTMQ), Zung’s Self-report Depression Scale(SD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tiliz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personal standard perfectionism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oth abstract-analytic and concrete-experimental thinking, and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Second, while abstract-analytic thinking had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concrete-experimental thinking had negative effect on it. Third, the effect of personal standard perfectionism in the path to depression was differentially mediated by abstract-analytic thinking and concrete-experimental thinking.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개인기준 완벽주의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와 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가 병렬적으로 매개효과를 지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성인 565명을 대상으로 Frost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FMPS), 한국판 반복적 사고 방식 질문지(RTMQ), Zung’s 자기보고식 우울척도(SDS)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인기준 완벽주의는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 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에 정적 영향을,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는 우울에 정적 영향을, 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개인기준 완벽주의가 우울에 이르는 경로에서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와 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가 각각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점을 도출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판 반복적 사고 방식 질문지(RTMQ) 타당화 연구

        정소담,김창대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Repetitive Thinking Mode Questionnaire(RTMQ; Philippot et al., under review). A total of 440 adul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data was randomly assigned to samples A and B.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sample A(n=210) suggested the four factor structure consisting of ‘Abstract Evaluative Repetitive Thinking(AERT)’, ‘Concrete Experimental Repetitive Thinking(CERT)’, ‘Creative Repetitive Thinking(CRT)’, and ‘Dendrite Repetitive Thinking(DRT)’. With sample B(n=230), the four factor structure was confirm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were verifie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subfactor was between .616-.818. As expected, AE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umination, worry, depression and anxiety, while being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clarity. CERT and CRT showed reverse correlation with AERT. DRT and rumin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반복적 사고 방식 질문지(RTMQ; Philippot et al., under review)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만 18세 이상 성인 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표본 A, B에 무선 할당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본 A(n=210)를 대상으로 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AERT)’, ‘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CERT)’, ‘창의적 반복사고(CRT)’, ‘발산적 반복사고(DRT)’의 4요인 구조가 도출되었다. 표본 B(n=230)를 대상으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4요인 구조의 적합성을 확인하였고, 신뢰도와 공존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각 요인의 내적 합치도는 .616-.818 범위였다.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는 반추, 걱정, 우울, 불안과 정적 상관, 정서인식 명확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 ‘창의적 반복사고’는 대체로 이와 반대의 상관이 나타났다. ‘발산적 반복사고’는 반추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지지면의 변화가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동작 시 하지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정소담,이해지,이다희,장은지,황성수 국제PNF한국학회 2014 국제PNF한국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지지면의 변화가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동작을 할 때 하지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총 14명의 20대 각 남성, 여성의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근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EMG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보면 동적인 지지면에서 가장 높은 근활성도를 보인 근육은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Gluteus Maximus을 보였는데 이는 상부하지의 근육이 동적인 지지면에서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하부하지에 있는 근육은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측정 후 하지의 모든 근육별에서 서로 다른 지지면에서의 근 활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동적균형, 정적균형 능력의 증진을 필요로 할 때 하지의 근육 동원순서와 하지의 근육 활성도를 알아 균형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goal is to know the effects of muscle activation at three different support surface(static, unstable, dynamic) during sit to stand(STS) movement. Method : The subjects were 14(male=7, female=7). For the measuring the muscle activation at the three different support surface, surface EMG(The Trigno Wireless EMG System, Delsys Inc., USA) was used in a 5 muscles Rectus femoris(RF), Biceps femoris(BF), Gluteus maximus(GM), Tibialis anterior(TA), Gastrocnemius(GCM). Results : There were statistics significant difference all of the three different support surface of all of muslces during STS movement. The order of muscle activity at the static support surface were BF, GM, TA, RF and GCM. At the unstable support surface were BF, GM, TA, GCM and RF. At the dynamic support surface were GM, BF, RF, TA and GCM. Conclusion : Based on this study, the upper part of the leg muscles such as RF, BF, GM were activated for the dynamic balance, the lower part of the leg muscles such as TA, GCM were activated for the unstable support sur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