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금계 황준량의 녹봉정사 설립과 성주목사 재직시절의 활동

        정석태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0 한국학논집 Vol.0 No.78

        As a good government leader with in-depth knowledge and excellence in political affairs, Geumgye Hwang Jun-ryang made significant achievements in the towns he served, including Sinnyeong, Dangyeong, and Seongju. These accomplishments made him highly recognized as a government writer and caused him to receive credit from Yi Hwang for being the preeminent Neo-Confucian. After his death, Yi Hwang acknowledged his contributions to academic research and pursuit of education by writing an elegy, a funeral oration, and a record of his life. Through publications, Yi praised his contributions to the research and study of Neo-Confucianism, as well as its dissemination and practice. The positive evaluation toward Hwang Jun-ryang continued during the post-Yi’s generation by his disciples. His early death, however, did not allow him to remain as a Neo-Confucian scholar or author. In other words, he was not able to leave Confucian morals in writing, although his scholarship began to enter deeper into the world of Neo-Confucianism from Heart Sutra, Reflections On Things at Hand, and to Overview and Explanation of Zhu Xi. Instead, he was strict about discriminating heresi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Neo-Confucianism, which was more about the intelligent study. Hence, he rejected the studies of classical scholars, such as Nammyeog Jo Sik, arguing that they did not provide the right path, or they were not Confucian morals but simply heresies of Laozi and Zhuang Zhou. With Yi Hwang, h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Confucianism to help Toegye Studies become mainstream, which had Neo-Confucianism as its first principle. While serving as chiefs of local towns, including Sinnyeong, Danyang, and Seongju, he focused on the promotion of school education, particularly academic research. Furthermore, he exerted great efforts to help Neo-Confucianism and Toegye Studies to be planted deeply in those regions. In particular, since he became a new civil servant of Seongju, he stuck to Confucian morals along with selecting targets for sacrificial rituals, meaning that he held to his original thought that considered Neo-Confucianism as the primary principle. Moreover, he renamed Yeongbong Confucian Academy to Cheonggok Confucian Academy, influenced by Hangang Jeong Gu. There, he opened up the way of holding memorial services primarily for Xianshengand Zhu Xi and enshrining Kim Goeng Pil. In addition, he devoted himself to academic research and pursuit of education with Oh Geon through the restoration of 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s) shrines, bringing Yeongbong Confucian Academy back to normal, and establishing Nokbong Lecture Hall and Gonggok Confucian Academy. He concentrated his strength on research, education, and dissemination of Neo-Confucianism by publishing Overview and Explanation of Zhu Xi, a primary textbook for Neo-Confucianism. With this, he improved the way of appreciating literary works in Seongju, paving the way for Toegye Studies to take root in the region. Later, Jeong Gu, who studied in Seongju Hyanggyo Confucian School and Nokbong Lecture Hall, provided an opportunity to create a literary spirit unique to Seongju, called “Nakjung Studies (or Ganghak Studies),” which combined Toegye Studies excellent in a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Nammyeong Studies with exemplary practical spirit. 금계 황준량은 흥학과 정사에 뛰어난 선치수령으로 신녕·단양·성주 등 그가 재직했던 고을에서 많은 업적을 남겼다. 이와 함께 그는 선치수령, 곧 관료문인으로서만이 아니라 학자, 곧 주자학자로서도 스승 퇴계 이황에게 그 공적을 높게 평가받았다. 이황은 그의 사후 그에 대한 만사와 제문, 그의 행장 등을 통해 학문연구와 강학활동, 그리고 출판활동 등을 통해 주자학의 연구와 교육, 그리고 그 보급과 실천에 힘을 쏟은 공적을 높이 평가하였다. 그에 대한 이와 같은 평가는 이황 사후 그 제자들 대에도 변함이 없었다. 하지만 너무 이른 죽음으로 그의 학문이 심경과 근사록을 거쳐 희암서절요[주자서절요]로 나아가서 주자학의 깊숙한 세계로 진입하고 있었음에도 그는 학자, 곧 주자학자로서의 학문적 성취를 이론화한 저작, 다시 말하면 도학문자를 따로 남기기는 어려웠다. 대신 그는 주지적 성향이 두드러진 주자학에 독특하게 드러나는 강한 이단 변별의식에 투철해서, 당시 조선유학의 큰 흐름을 형성하고 있었던 고사들, 남명 조식 등의 고사들의 학문을 정학, 곧 도학이 아닌 노장류의 이단으로 변별하고 배격하는데 스승 이황과 함께 앞장서서 이후 우리나라의 유학이 주자학을 제일의로 하는 퇴계학이 주류를 형성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와 함께 신녕·단양·성주 등 지방고을의 수령으로 재직하면서 학교교육의 진흥, 곧 학문연구와 강학활동에 힘을 쏟아 주자학, 나아가 주자학을 제일의로 하는 퇴계학이 그 지역에 뿌리내리게 하는 데도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그는 성주목사로 부임한 이후 영봉서원 제향인물 선정과 그 위차 문제에 도학, 곧 주자학을 제일의로 하는 자신의 본래 입장을 관철해서 후일 한강 정구에 의해 영봉서원을 천곡서원으로 개명하고는, 이천 정이와 운곡 주희를 주향으로 하고 한훤당 김굉필을 종향하게 하는 길을 열어놓았다. 나아가 향교 문묘의 중수와 영봉서원의 정상화, 녹봉정사·공곡서당 등의 건립을 통해 그곳 훈도 덕계 오건과 함께 학문연구와 강학활동에 주력하는 한편, 도학, 곧 주자학 공부의 핵심교재인 회암서절요[주자서절요]를 출간하는 등 주자학의 연구와 교육, 그리고 그 보급과 실천에 힘을 쏟았다. 이를 통해 성주지역의 문풍을 크게 진작시켜 주자학을 제일의로 하는 퇴계학이 성주지역에 뿌리내리게 하는 기반을 마련하였을 뿐만 아니라, 후일 그러한 기반 위에 성주향교와 녹봉정사 등에서 수학한 정구에 의해 이론적 탐구가 승한 퇴계학과 실천적 기풍이 승한 남명학을 결합한, ‘낙중학[강안학]’이라고 일컬어지는 성주지역만의 독특한 문풍을 열어내는 계기를 만들었다.

      • KCI등재

        영남루문단의 형성과 전개과정

        정석태 동양한문학회 2022 동양한문학연구 Vol.63 No.-

        The authors of Yeongnamru poetry have been working with a single material or material called Yeongnamru in a single space called Yeongnamru for a long period of time from the early Goryeo period, the principal temple of Yeongnamsa, through the Joseon Dynasty, and before and after liberation.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author's competence and distribution by period, the amount of work produced and the level of work, Miryangbu Guesthouse Pavilion can be considered as a literary masterpiece. It survived from the early Goryeo period to before and after liberation, and it encompasses from the literati to the literati, and furthermore, not only Korean writers but also Japanese writers. We can imagine a paragraph worthy of being called Yeongnamrumundan, which is also constantly related to domestic and foreign figures in Korea. Furthermore, during the mid-Joseon period, it was active enough to give birth to Yeongnamru anthology Yeongnamrusiyun, a collection of 570 works by 259 writers who were active in the literary circles before the Imjin War. The works created by Yeongnamrumundan are centered on Chinese poetry. Moreover, the Chinese poem is a typical development method of Nujeong Jeyeong Korean poetry works in the traditional era, and the same 下平聲 including the 下平聲 先zaun character including the celestial character and the pavilion 樓 character, which are two basic rhymes that focus on realizing the nujeong and its landscape through craftsmanship. It was developed focusing on two types of characters using the 尤jaun series of characters. It is a stark reality that if you use this fixed rhyme in the creation of one poem, you will be subject to strong restrictions on the works that have already been created. It is a stark reality that if you use this fixed rhyme in the creation of one poem, you will be subject to strong restrictions on the works that have already been created. In proportion to the accumulation of previous works, great restrictions were placed on the creation of new works. However, these restrictions on the contrary inspired the writers' creative will and competitive spirit, forming the Yeongnamrumundan as a space for fierce creation, exchange and competition, and produced many works. Not only 次韻, but also 用韻 and 和韻 were operated quite freely, and many works were produced by overcoming them through ceaseless efforts to change, such as expanding the artist class and pioneering the scope of works. In this way, Yeongnamru was the best pavilion in Joseon, which had a high reputation as a Siru, because the creation of poetry was fierce and active to the extent that it had already formed a literary circle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Its fame is known even in China, and it is also introduced along with Sangunjeong in Yangyang, Gangwon-do, in Samjaedohoe, compiled by the Ming Dynasty Wanggi and his son Wangsaeui to introduce the scenic spots and nujeong under the heavens. 嶺南樓 題詠詩文의 작자들은 嶺南寺의 竹樓였던 고려전기부터 密陽府 객사 누각이던 조선조를 거쳐 해방 전후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동안 영남루라는 단일한 공간에서, 영남루라는 단일한 소재 또는 제재를 가지고 작품창작을 계속해왔다. 특히 작자의 역량과 시기별 분포 및 산출된 작품량과 작품수준을 고려할 때, 영남루를 하나의 文壇으로 상정해볼 수 있다. 고려전기에서부터 해방 전후까지 존속하고, 관료문인들에서부터 일반문인들에 이르기까지, 나아가 우리나라 문인들뿐만 아니라 일본문인들까지를 아우르는, 그래서 시간적으로는 전대의 대내외 인사들과 긴밀하게 연계되고 공간적으로는 당대의 국내외 인사들과도 끊임없이 관계하는 嶺南樓文壇이라고 일컬어봄직한 문단을 상정해볼 수 있다. 나아가 조선중기에는 임진왜란 이전까지 그 문단에서 활동한 작가 259인의 작품 570편을 모은 嶺南樓題詠文集 嶺南樓詩韻 을 낳을 정도로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영남루문단에서 창작되는 작품은 한시가 중심이 되어 있다. 더구나 그 한시는 전통시대 누정 제영 한시작품의 전형적인 전개방식, 누정과 그 경관을 作品意境으로 구현해내는데 집중하는 두 기본 운자인 하늘 天자를 포함하는 下平聲 先자운 계열 글자와 누각 樓자를 포함하는 같은 하평성 尤자운 계열 글자를 운자를 사용하는 두 유형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한시작품 창작에서 이렇게 고정된 운자를 사용할 경우 이미 창작된 작품들의 강한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전대 작품의 집적정도에 비례해서 새로운 작품창작에 굉장한 제약이 가해졌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약이 도리어 작자들의 창작 의욕이나 경쟁 심리를 더욱 고취해서 치열한 창작의 공간, 교류와 경쟁의 공간으로서 영남루문단을 형성하며 많은 작품을 산출하였다. 次韻만이 아니라 用韻과 和韻도 상당히 자유롭게 운용하고, 또 작자계층의 확대와 작품의경의 개척 등 끊임없는 변화의 노력을 통해 그러한 제약을 극복하면서 많은 작품을 산출하였다. 이처럼 영남루는 조선전기부터 이미 문단을 형성할 정도로 한시창작이 치열하고 또 활발했던, 그래서 詩樓로서 명성이 높았던 조선 제일의 누각이었다. 그 명성은 중국까지 알려져서 明나라 王圻와 그 아들 王思義가 천하의 명승지와 누정을 소개하기 위해 엮은 三才圖會 에도 강원도 襄陽의 祥雲亭과 함께 소개되어 있다. 영남루가 이 책에 오르게 된 것은 그 제영 한시작품이 중국과 우리나라를 통틀어 전통시대 누정 제영 한시작품의 전형적인 전개방식에 충실했던 유일한 누각, 다시 말하면 시루로서 명성이 일찍부터 중국까지 알려졌기 때문일 것이다.

      • KCI등재

        『退溪集』의 編刊 經緯와 그 體裁

        鄭錫胎 영남퇴계학연구원 2008 퇴계학논집 Vol.2 No.-

        『退溪集』은 退溪가 서거한 한 해 뒤인 辛未年(1571년)에 遺文을 輯錄하기 시작하여 庚子年(1600년)에 처음 간행되기까지 무려 30 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 輯錄本인 初本 『退陶先生集』에서 문집 草 稿本인 中本 『退溪先生集』 원 텍스트, 中本 『退溪先生集』 원 텍스 트에서 中本 『退溪先生集』 重校本, 中本 『退溪先生集』 重校本에서 문집 中草本, 문집 中草本에서 문집 定稿本, 곧 定本 『退溪先生文 集』이 만들어지는 참으로 복잡한 편집 과정을 거쳐 간행되었다. 詩에 있어서는 退溪가 직접 刪節까지해둔 手錄本이 존재했기 때문 에, 그것에 의거해서 문집을 內集·別集·外集으로 나누어 저작 순서 대로 편집하는 방침이 그 편찬 초기부터 이미 정해졌다. 그리고 문집의 체재와 편차는 『朱子大全』의 것을 준용하되, 書簡만은 『朱 子大全』의 內容中心의 분류 편집 방식을 따르지 않고, 그것에서 한발 진전된 人物中心의 분류 편집 방식, 다시 말하면 書簡의 與 答人物을 그 內容도 함께 고려해서 時(時賢)·知(知舊)·門(門人)·家 (家人)의 네 부류로 나누어 편집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이러한 편 집 방식은 重校작업을 주관한 鶴峯金誠一과 西厓柳成龍이 처음 적용하였고, 최종 편집자였던 月川趙穆도 그대로 따랐다. 그 점이 『退溪集』이 『朱子大全』과 가장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고, 『退溪集』 간행 이후 그 체재와 편차를 따른 우리나라 고문집의 주요한 특징 이기도 하다. 이처럼 書簡에서 진전된 편집 방식을 마련하고서도, 『退溪集』은 정작 西厓柳成龍이 草本을 가지고 판각했다고 비판할 만큼 그 초간본인 庚子本은 편집상 많은 문제를 안고 간행되었다. 전란을 겪은 뒤라서 출간을 서둘렀다면, 수정 보각 과정에 의당 바로잡았어야 한다. 하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여 추후의 改刊과정 에도 여전히 수정되지 못했고, 기존의 체재와 편차를 고수하려는 강한 관성 때문에 그대로 남겨진 채 계속 유통되었다.

      • KCI등재

        신산서원의 강학전통

        정석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9 No.-

        Sinsanseowon was founded in 1588(Seonjo 21) on the basis of the academic and blood ties of the series “Jo Sik, Shin Gye-seong→Jeong In-hong,” and based on Sanhaejeong in Gimhae, a middle-aged scholar’s school, as its mother. It was burnt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Imjin, but was rebuilt in 1609(Gwanghaegun 1), and in that year, along with Deokcheonseowon in Sancheong and Yongamseowon in Samga (Hapcheon), it became a major base seowon of the Nammyung School in Gangwoo, Yeongnam. In 1616(Gwanghaegun 8), while heading to Shin Gye-seong, the number of alumni reached about 70, and it developed into a large seowon with influence not only in Gimhae but also throughout the country. However, in 1623(Injo 1), Jeong In-hong died due to Injo rebellion and the Bugin regime collapsed, it was changed from Bugin-affiliated seowon to Namin-affiliated seowon. The early teaching spirit of Shinsan Seowon was inheriting the flow of realizing the educational goals and educational ideals of the ancient Hyanghak system that led to Yi Hwang's Yeokdongseowon and Yi Yi's Eunbyeongjeongsa. In the early 1620s, Lee Myung-ho, who was the director of Shinsanseowon, actively adopted the contents of Lee Yi's "Eunbyeongjeongsahakkyu" and "Eunbyeongjeongsa's Promise" and set the Shinsanseowonhakgyu reflecting the moral spirit of Jo Sik, who practiced as a forestry practitioner. That is “Shinsanseowonipgyu”. However, as Jeong In-hong, the party who instituted such a school rule, and his disciples stood at the center of political power as Bugin and fell, the Sinsanseowon disappeared from the forefront of history without actually realizing the purpose of the school rule in reality. Around the 1660s, only the descendants of Geumhaeheossi Heo Gyeong-Yun, who took the lead in the reconstructio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were in a state of emptiness to protect the seowon as owners. Around the 1690s, Gwangjuanssi Ahn Shin-hyeon, along with Changnyeongjossi[Nampyeongjossi] Jo Gu-ryeong and Jo I-chu, lectured on the book of Jo Sik at Shinsanseowon, followed by Jo Gu-ryung as the director for six or seven years after 1690(Sukjong 16). As a result of teaching while residing in the seowon as a teacher, the teaching function of Shinsanseowon was revived. As a disciple of Lee Hyeon-il, Jo Gu-ryeong preached the similarities and words and actions of Jo Si-sik together with Yi Hwang's "Seonghaksikdo", and the Shinsanseowon was transformed into a seowon with a scholarly style in which Jo Sik's studies and Yi Hwang's studies were uniformly combined. It is estimated that around this time, the runner's "Baengnokdonggyu" and Lee Hwang's "Isanwongyu" were published in the seowon instead of "Shinsanseowonipgyu." After that, the seowon was in a state of emptiness again. From 1780Jeongjo 4), Yu Munryong from Sancheong resided as the principal for 10 years from 1785(Jeongjo 9) and gave lectures. It was revived as a vow with a combined academic tradition. In 1866(Gojong 3), Heo Jeon took over as the director and had an opportunity to develop into a seowon in which the experiential and practical orientation of the Nammyung School and the speculative and theoretical studies of the Toegye School were harmoniously integrated. The ensuing ruins made lectures difficult any longer. However, even after the seowon was demolished, "Gyeokchiseongjeongga" ("Daehakpaljoga"), which is said to have passed on the ceremonies of inquisition to Jeong In-hong, and the first seven words and verse poems attached to it in Korean Until now, he was still deeply remembered by scholars of Gimhae region as his academic achievements. Also, the spirit of Shinsan Seowon was deeply remembered by scholars from Gimhae region. That spirit could not be continued in Gimhae due to the destruction of the seowon, but it was fully realized later in the Jaam Seodang in Miryang.

      • KCI등재

        小訥年譜와 小訥門人錄 -『先府君編年』 抄譯과 『紫巖契帖』 原文

        정석태 동양한문학회 2019 동양한문학연구 Vol.54 No.-

        This paper contains the selected translation of the Chronology of Sonul Rho Sang-Jik’s (1855–1931) Life and the original text of the Record of Sonul’s Students. The Chronology of Sonul’s Life was compiled by his son, Seongjae Rho Ga-Yong (1893–1940). It is assumed that after the death of Sonul, his son collected and compiled his father’s posthumous writings to publish them in 1932, and again planned to issue them as an appendix along with the funeral formulary. However, as things did not go smoothly as planned, there remains a manuscript with some of the revisions from its years and traces of history in a preceding column. This private collection consists of 39 pages, missing the records of “Peaceful Death” and “Mourning” at the end. Detailed annotations in double-columns are added to other parts of the text, which with its rich content, became a reliable reference of Sonul. The Record of Sonul’s Students is a list of novice students of Sonul from 1898 (Gwangmu, the reign of King Gojong), the year of the dog; two years after (Geonyang, the reign of King Gojong), he built and taught his students how to make a thatch house in Nogok, Miryang, and until 1931, the year of the goat when he passed away. Currently, the 42-page manuscript only has two copies available, which are owned by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his descendant Rho Gyu-Hyeon. There are a total of 807 people recorded in this work. Regionally, it reaches across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to Jeolla-do, Gyeonggi-do, Hwanghae Province, and Hamgyong Province. Before 1899, the year of the pig, it first recorded five people who became Sonul‘s students at a boot camp in Changnyeong, and they made their way to Miryang. Then, it documented the year and month of Buddhist rituals (or social gatherings), followed by the lists of participants of the events in the order of name, pen name, birth year, family clan, public post, and hometown. This list is a critical material that identified the size of Sonul‘s novice students, their regional distribu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The latter part of this paper contains the selected translation of the Chronology of Sonul’s Life (copy edition by Rho Gyu-Hyeon) and the original text of the Record of Sonul’s Students (owned by Rho Gyu-Hyeon). Moreover, the entire main body of the Chronology of Sonul’s Life was translated, and detailed annotations of each item for the main body are put in square brackets with adequate adjustment. For figures, pen name, name, and birth/death year are revealed; for writings, their titles are put in round brackets referring to literary works. Additional information is also written in round brackets. Furthermore, some parts that have been slightly supplemented in the main body of the Chronology. For the List of Sonul’s Students, its original text has been written with an AD in round brackets next to the sexagenary cycle of the year, while revealing one’s hometown. However, this has been omitted as it is the same information recorded before. At the end of the Chronology of Sonul’s Life, an account of Daenol Rho Sang-Ik (1849–1941) is added to promote understanding. 이것은 小訥 盧相稷(1855∼1931)의 年譜 『先府君編年』을 抄譯하고, 그 門人錄 『紫巖契帖』의 原文을 입력한 것이다. 소눌 노상직의 연보 『선부군편년』은 그의 아들 成齋 盧家容(1893∼1940)이 엮은 것이다. 소눌 노상직의 서거 후 그의 遺文을 수습해서 문집을 편찬하던 1932년경에 엮어서, 문집 발간 뒤에 다시 挽祭文 등과 함께 附錄으로 간행할 계획을 가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그러한 계획이 여의치 않았던지, 上欄에 年月과 事跡 등에 대한 수정사항 일부가 기록된 필사본의 상태로 남아 있다. 개인소장에 총 39장으로, 끝의 考終과 初喪 등을 기록한 부분이 缺落되었다. 연보 본문 항목 외에도, 필요한 경우 그 본문 항목에 雙行의 細註를 붙여 놓아, 현재 전하는 소눌 노상직에 대한 가장 내용이 풍부하고 신뢰할 만한 생애자료이다. 소눌 노상직의 문인록 『자암계첩』은 그가 1896년(고종건양1) 密陽 蘆谷에 紫巖草廬를 짓고 강학한 두 해 뒤인 1898년(고종광무2) 무술년부터 시작해서 그가 서거한 1931년 신미년까지 기록된 入門 제자들의 同講契帖이다. 필사본 총 42장으로, 부산대학교도서관 소장본과 소눌 노상직의 후손 盧圭鉉 소장본의 두 종이 현재 전한다. 入錄한 사람이 807인에 이르고, 지역적으로는 경상남도뿐만 아니라 경상북도 전역에 걸쳐 있으며, 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황해도, 함경도 등에까지 미쳐 있다. 1899년 기해년 앞에다 昌寧 克己齋에서 入門했다가 밀양까지 따라와서 수학한 5인을 먼저 적고, 이어서 講會(또는 契會) 일자의 연월을 밝혀서 적은 다음, 그 강회(또는 계회)에 참여한 사람을 姓名, 字, 生年, 本貫, 官職, 出身地를 순서대로 기록하였다. 소눌 노상직 門人의 규모와 지역적 분포, 문인 개개의 기본 인적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아래에서는 『선부군편년』(노규현 복사본)을 초역하고, 『자암계첩』(노규현 소장본)의 원문을 입력하였다. 먼저 『선부군편년』의 내용 중, 본문 항목은 전부 옮기고, 각 항목의 세주는 적절하게 가감해서 대괄호로 묶어 제시하였다. 인물의 경우 號와 姓名 및 生卒年을 밝히고, 저작의 경우 문집을 참조해서 그 제목을 밝혀서 소괄호로 묶어서 제시하였다. 또 필요한 보충설명도 소괄호로 묶어서 제시하였다. 이 외 연보 본문 항목 중 일부에는 약간 증보한 곳도 있다. 다음 『자암계첩』은 원문을 해당 연도 간지 다음에 서기만 소괄호에 넣어서 그대로 입력하되, 앞에 나온 인물과 동일하여 기록하지 않은 출신지 등은 밝혀서 적었다. 이와 함께 『선부군편년』 초역 뒤에 따로 大訥 盧相益(1849∼1941)의 略傳을 첨부해서 이해의 편의를 도왔다.

      • KCI등재

        자료의 집성과 정리작업의 필요성 ―퇴계 이황의 집성연보 편성과 정본 편찬 작업의 경우를 중심으로―

        정석태 동양한문학회 2012 동양한문학연구 Vol.35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ay to compile a biographical sketch and how to organize the collections. The chronological record of Lee Hwang's life and works have been enlarged over the years for two reasons, one from upholding the great tradition, and the other from meeting the requirements of the current times. However, the utility value of these compiled materials is doubtful since the value is itself based on the current scholars' ongoing effort to make a good use of them in the academic field. Since the completion of the four volumes of the Chronological Record of Master Taegye in 2006, the book has not been valued as the compilation of Lee Hwang's works, and has been merely used as a bibliographic sketch. Not many scholars have noticed that the newly added information which had not been compiled in Lee Hwang's anthology. Therefore, to my regret, they have stuck to the old anthology they possessed. The Chronological Record of Master Taegye could have provided a way for academics and researchers to critique and subvert the values of Lee Hwang's thoughts and his times. As the one who complied the Chronological Record of Master Taegye, I regret that the frame to analyze Lee Hwang's literary works was weak, especially poetry and philosophical ideas, and could have been done differently with a better framework. The vigorous use of the Chronological Record of Master Taegye allows scholars to lend pragmatic understanding to Lee Hwang's life and works and offers a structuring function to view his times. Rectifying the fallacies in the past research collection is left for the academics in the field, including myself as a researcher of Lee Hwang's works. Both adding more data to the compilation of the materials and employing an effective way to find values in those collections are needed to enhance the cultural climate of classical works by Lee Hwang, the great scholar and literary man of the nation. 퇴계 이황의 연보와 문집은 시대의 변천에 따라 그 시대 독자들의 요구에 부응해서 계속적으로 증보작업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측면에서 현재의 퇴계 이황의 집성연보 편성 작업이나 그의 정본 편찬 작업은 한편으로는 지난 시대의 작업을 계승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금의시대적인 요구에 부응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퇴계 이황 관련 자료의 집성과 정리 작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집성연보편성과 정본 편찬 작업의 결과로 현재 집성연보는 본편의 편성이 이미 이루어져 있고, 정본은 시문편 전체 공정의 70% 정도까지 작업이 진행된 상태이다. 따라서 가까운 시일 안에는 집성연보나 정본의 나머지 작업이 완료되어 그 성과가 학계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계에 봉착한퇴계 이황 연구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기획 추진한 결과물을 학계에제공한다고 하더라도, 연구자들이 그것을 적극적으로, 그리고 능률적으로활용하지 않는다면, 이미 영인 출간되어 있는 여러 퇴계 이황 관련 자료들에다 또 다른 새 자료를 하나 더 더해놓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 사실 목판본 퇴계선생문집이 1958년 퇴계전서의 일부로 영인 출간되고, 1980년에는 목판본 퇴계선생문집에 실린 작품의 2배 가까운 작품이 수록되어있고, 또 개개 작품, 특히 서간 개개의 경우에서 산삭된 부분들을 살려놓은 필사본 퇴계선생전서(도산전서)가 영인 출간되었어도 그 두 본간의 차이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활용한 연구자는 거의 없었다. 대부분은 관성적으로 기존의 자신이 활용하던 한 본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2006년 퇴계 이황의 집성연보 본편인 퇴계선생연표월일조록 4권이 완간된 후 6년여가 경과한 지금, 연구자들이 그 책을 활용하는 상황을 지켜보면서 과연 그 책 편성의 원래 의도,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연보가 아닌퇴계 이황 관련 자료총집으로 읽어낸 사람이 있는지 의문을 가지지 않을수 없다. 퇴계 이황의 집성연보인 퇴계선생연표월일조록의 편성자인 필자로서는, 그 책을 엮는 과정에 철학 분야와 문학 분야(특히 한시) 연구의중요한 틀이 퇴계 이황 관련 자료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의 불비로 크게 잘못되어 있음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상당 부분 가구된 사실에 기반을 한논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퇴계 이황 외의 다른 인물들에 대해서도 집성연보의 편성 작업, 나아가 그 작업을 기반으로 한 정본의 편찬작업을 해나간다면, 우리 고전시대의 역사와 문화 등을 해석해온 기존의틀이 잘못되어 있음을 확인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한 오류들을 수정하는 작업은 집성연보나 정본을 엮은 당자를 포함한 해당 인물연구자들 공동의 몫이다. 그러므로 자료의 집성과 정리 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자료의 집성과 정리 작업의 결과물인 집성연보나 정본을 적극적으로, 또 능률적으로 활용하는 풍토를 조성하는 일도 필요한 실정이다.

      • KCI우수등재

        프랑스에서 표현의 자유에 관한 연구 - 표현의 자유 제한을 중심으로 -

        강명원(Kang, Myoung Won) 한국공법학회 2021 공법연구 Vol.49 No.3

        표현의 자유는 개인 인격 실현의 기초이자, 민주주의 질서를 구성하는 핵심적 요소로서 정치적 기본권으로서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표현의 자유를 ‘우월적 기본권’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그 제한에 대해서는 보다 엄격한 요건이 적용된다. 이러한 본질을 속성으로 하는 표현의 자유는 서구세계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프랑스에서 표현의 자유는 1789년에 발생한 프랑스 대혁명과 깊은 연관이 있다. 왜냐하면, 프랑스는 1789년 8월 26일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 제11조에서 생각과 의견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표현의 자유를 규정하였고, 이후 프랑스에서 표현의 자유는 자연권으로서의 권리와 국가가 정한 권리로서의 성격이 혼합된 권리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즉, 표현의 자유란, 다른 사람에게 손해를 끼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모든 것을 할 수 있고, 다만, 필요적 제한은 사회에 해로운 행위만을 금지할 수 있도록 한정된 것이다. 이는 표현의 자유 제한에 관한 프랑스 법률 및 판례 기조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구체적으로 표현의 자유 남용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말하고, 쓰고, 인쇄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개인의 존중 무시, 미성년자 미보호, 언론을 통한 모욕 및 명예훼손 그리고 사생활 침해, 인종차별 및 반유대주의 등을 범죄로 규정하여 표현의 자유 행사 남용만을 제한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프랑스에서의 표현의 자유는 역사적 기원 및 인식, 법률과 판례에서 볼 수 있듯이 표현의 자유 그 자체를 제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표현의 자유 행사 남용만을 제한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다만, 프랑스는 종교와 관련된 표현의 자유 행사에 있어서 약간의 다른 태도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프랑스 대다수 국민의 종교가 카톨릭이라는 연유에서 주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