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학교과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문헌고찰

        정서빈,배성철 고려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se preceding research about STEAM education, and suggest setting research direction in future though comprehensive analysi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was developing STEAM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orytelling. Current, most researches about STEAM education was research using manipulatives and technology. As New approach method of STEAM education, the study was to use storytelling method which can help learning in aspect of knowledge context. Such STEAM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storytelling can help to dynamize mathematics-based STEAM education. Diverse researches of teaching and learning about STEAM education will affect positively to dynamize it.

      • 개방형 수학문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메타인지 구성요소 분석 제안

        정서빈,임도균 고려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n analysis of metacognition components in open-ende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rovide analysis framework of metacognition components and examples of open-ended mathematical problem. First, metacognition is defined most simply as “thinking about thinking”. Second, metacognition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knowledge of thinking process, control and self-command, belief and intuition. Third, open-ended problem is the problem which has various correct answer or which requests students to develop various method to get the right answer(Jerry, P., Shimada, 2004). Analysis of metacognition components in open-ende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of proposed research restructure a case study on the metacognition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problem-solving process of Sang Wook and Sang Hun(2011) toward the open-ended mathematical problem. This activity will provide didactic implication in the mathematical classroom.

      • 2030세대의 대물림된 장애 혐오에 대한 Apologia: 일상성, 탈정체성, 탈장애에 대한 문학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정서빈(Jung Sir Vin),유은빈(Yu Eun Bin),이의경(Lee Ui Gyeong) 한국장애인재단 2022 장애의 재해석 Vol.2022 No.-

        본 연구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시위를 기해 폭발한 2030 세대의 혐오의 원인을 탐색하고 폭력의 양상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자기 성찰을 곁들인 개인 의견에 대한 옹호’를 뜻하는 ‘Apologia’를 통해 성취될 수 있다. 먼저 본 연구자들은 2030 세대의 혐오는 오랜 시간을 거치며 일상화된 부당한 차별에서 기인했다고 주장하며 그들에 대한 옹호를 진행할 것이다. 다음으로, 오늘날 행해지는 폭력의 성질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보여줌으로써 자기 성찰을 행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그러한 성찰의 결론으로 오늘날의 장애 혐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을 제시함으로 써 Apologia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논의를 위해 문학텍스트 분석이라는 연구방법론을 채택하여, 세 문학텍스트 『SCP 재단』, 『어둠의 속도』, 『아몬드』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문학텍스트를 통해 ‘옹호’, ‘자기 성찰’, ‘성찰의 결론’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일상성’, ‘탈정체성’, ‘탈장애’ 라는 개념을 중심에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오늘날의 사회는 폭력적이고 차별적인 구조의 문제를 일상화하였고 그것이 장애인들에게 탈정체성의 폭력으로 다가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와 같은 일상적 폭력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으로 탈장애적 시선을 가질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ot causes of hatred in the generation of 2030 as well as the various manifestations of the violence that broke out during the Solidarity Against Disability Discrimination’s rallies. Apologia, which is defined as “defending individual beliefs with self-reflection”, can be used to accomplish this goal. The researchers will first defend the 2030 generation by arguing that hate is a result of unfair discrimination that has persisted for a very long time. Next, Wed like to engage in some self-reflection by objectively analyzing and showing the nature of violence committed nowadays. Finally, by offering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disability prejudice in todays society, we hope to realize the worth of Apologia. In order to have a thorough discussion of this, three literary texts—SCP Foundation, The Speed of Dark, and Almond—were studied using a study methodology called ‘literary text analysis’. We attempted to convey “support”, “self-reflection”, and “conclusion of reflection” through each literary work. To this end, talks concerning the notions of “dailyness,” “de-identity,” and “de-disability” were held. The studys findings revealed that todays society has normalized the issue of aggressive and discriminatory institutions, which is approaching the disabled as de-identification violence. As a solution to this constant aggression, it was suggested to adopt a de-disability gaze.

      • 전송지연이 큰 NCS 를 위한 자율복원 네트워크 설계

        정서빈(Seo Bin Jeong),김상준(Sangjun Kim),박경준(Kyung-Joon Park)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Networked control system (NCS)은 플랜트, 센서, 제어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폐루프를 이루는 제어시스템이며, 폐루프의 네트워크 전송지연이 커질 경우 플랜트가 불안정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NCS 의 네트워크에서 큰 전송지연이 발생한 경우, 플랜트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software defined network (SDN) 기반의 네트워크 복구 기법을 제안하며, 실험을 통해 전송지연이 큰 NCS 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 KCI등재

        성격유형에 따른 수학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신념의 관계

        정서빈(Jeong, Seobin),최상호(Choi, Sa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는 학생들의 성격유형이 수학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신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그 특징을 비교하여 학습이 더욱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6년 1학기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33명을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 검사, 수학 학업 성취도 그리고 <고등학생의 수학 신념검사>설문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격유형의 선호지표에 따른 수학 학업 성취도, 성격유형의 심리기능에 따른 수학 학업 성취도, 성격유형의 기질에 따른 수학 학업 성취도는 각각 집단 별로 차이가 있었고, 이러한 차이는 성격유형 별로 수학적 신념의 차이에서 추론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성격유형에 따라 수학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신념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성격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특성에 좀 더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여 개인차를 고려한 교수법을 실행하는데 구체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personality types of students influence their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belief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obtain baseline data for more efficient learning. To reach this objective, this research has collected and analyzed MBTI personality tests of 133 high school first grade students(first semester 2016),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s in mathematics and <Test for Mathematical Belief of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mathematical achievements, the result demonstrated distinct differences of each factor, preference dispositions of personality types, temperament of personality types and psychological function of the personality types. Such differences could be inferred from the differences in mathematical beliefs according to personality traits.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belief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is visible. Furthermore, specific evidences can be suggested for a teaching method that takes individual differences into account, by suggesting a specified and comprehensive direction for learners of various personality types.

      • 의사소통과 조별 활동을 통한 문제만들기 활동 제안

        배성철,정서빈,임도균 고려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problem posing and provide concrete explanation about learning development process and its example. First, problem posing activity through situation progress in the following order: situation proposal, problem posing, interchange problem solving, problem reflection, group discussion. Second, problem posing activity through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gress in the following order: problem proposal, problem solving, problem solving using diverse representation, group discussion, individual problem posing activity, interchange problem solving, problem reflection, group discussion. Problem posing activity of proposed research restructure problem posing activity of Ellerton(2013) toward the center group discussion to stress communication. This activity will provide didactic implication in the mathematical classroom.

      • Software-Defined Radio 기반의 5G 모뎀에서 Cell Search 시간 감축을 위한 RSSI Sniffing 기법

        김혜원(Hyewon Kim),한지윤(Ji Yoon Han),김빛나(BitNa Kim),정서빈(Seobin Jeong),김주엽(Juyeop Kim)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In this paper, we propose an RSSI sniffing function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cell search process. First we defined the RSSI measurement algorithm and then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protocol procedure between the PHY-RRC layers. In addition, to verify the performanc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the ARFCN where the synchronization signal of the 5G commercial base station is loc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