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éxico y Corea del Sur en el marco de la cooperación Sur-Sur y Triangular

        정상희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14 스페인어문학 Vol.0 No.70

        Este trabajo intenta estudiar y promover las mejores formas de trabajo y de asociaciones más convenientes para México y Corea del Sur mediante la cooperación Sur-Sur y Triangular. Por tanto primero se abordarán las definiciones de la cooperación Sur-Sur y Triangular desde diversos marcos institucionales para aclarar qué se entenderá por cooperación Sur-Sur y Triangular. Segundo, se realizará una revisión a la evolución de las actividades principales de la cooperación Sur-Sur y Triangular en la región de América Latina y México. Tercero, en base a un análisis acerca de las experiencias concretas y relevantes de la cooperación Sur-Sur y Triangular, llevados a cabo por México y Corea del Sur se pretende valorar su estatus actual, la contribución y las implicaciones estratégicas, así como los retos existentes. A continuación, se plantean algunas fórmulas o un posible plan de sus implementaciones en el marco de las relaciones existentes entre México y Corea. Finalmente se identificarán las orientaciones y potencialidades para profundizar y desarrollar nuevas formas de cooperación y vinculación de ambos países vistas desde las nuevas opciones en el ámbito de la AOD.

      • KCI등재

        페루 젠더주류화의 제도적인 체계와 젠더적 관점이 반영된 도시정책에 대한 논의

        정상희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2 국제정치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페루의 젠더주류화를 추진하기 위한 법, 정책과 제도적인 체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페루 리마(Lima)의 도시정책에서 젠더주류화의 정책적인 요소가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따라서 중남미 젠더주류화, 도시정책과 관련한 국내외 문헌과 페루 국가 차원의 통계자료를 검토하고 젠더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 부처 관료들과의 면담내용을반영하였다. 결론적으로 페루 정부 차원에서 정치적인 의지를 기반으로 젠더주류화를 위한 법과 정책등 제도적인 체계에서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 또한 성인지통계의 구축과 성인지예산의 제도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젠더주류화를 위한 정책적 요소들이 정부 차원의 정책과 프로그램에 반영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정책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한계가 발생했으며, 이러한 결과 일상생활의 영역에서 여성 살해와 여성에 대한 폭력, 가중된 돌봄 노동, 임금 격차와 같이 가정과 노동시장에서 불평등 상황은 지속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젠더주류화에 대해 학문과 실제적인 측면에서 논의의 기회를 제공하고 리마에서실행되는 젠더적 관점이 반영된 도시정책과 프로그램에 대해 고찰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정책의 수립과 실행에서 나타나고 있는 격차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한다는의미가 있다.

      • KCI등재

        개발협력의 트위닝 기법과 EU-페루 간 사례연구: 한국 지방정부에 대한 시사점

        정상희,임소진 한국유럽학회 2018 유럽연구 Vol.36 No.4

        This paper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Korean local governments when they adopt and implement twinning methods in their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with other local government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paper explored existing literature regarding to twinning definition and concept,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of the twinning process, and monitoring and evaluavion methods of the twinning projects. Based on this, we have conducted a case analysis of EU-Peru twinning against drugs and organised crimes. As the existing literature about twinning in development discipline, we have employed capacity development framework in analysing case study as twinning in development discourse is considered to be a part of capacity development activities.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critical to design the whole process of twinning in more systemic manner, including quality management by applying lessons learned. In the end, we have recommended to conduct future research not only in wider range of analysis of development cooperation twinning cases, but also general city-to-city twinning processes in order to come up with lessons learned for the future projects. By doing so,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enabling environment for Korean local governments’ twinning activities with local government partners in developing countries. 본 연구는 개발협력에서 지방분권화가 본격적으로 논의되는 가운데 한국 지방정부의새로운 지원형태로서 트위닝 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연구는 트위닝 기법의 개념, 효과성과 한계점, 평가방법론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의 이론적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사례분석으로는 EU가 페루의 불법마약과 조직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트위닝 기법의 활용사례를 역량개발의 요소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증적인 사업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트위닝 기법의 효과성과 한계점이 실제 사례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특히 지방정부 차원에서 트위닝 기법을 활용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지방정부의 개발협력 사업 참여와 트위닝 기법 활용의 증가 추세에 따라 개발협력의 영역에서 트위닝 사업의 체계적인 관리 방안과 평가방법론의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향후 공여국 지방정부간 그리고 기관 간 활용되는 트위닝 사례를 분석하여 개발협력 사업에 반영하고 교훈점을 도출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나아가 개발협력의 트위닝 사례뿐 아니라 일반적인 도시 간 트위닝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이를 개발협력 사업에 확대, 반영할 수 있는 발전방안의 제시도 필요하다. 우리는 이러한 다양한 사례분석과 시사점의 도출을 통해 향후 한국 지방정부의 더 나은 개발협력 트위닝 사업이 가능한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FTA 체결을 통한 EU의 FDI 결정 요인

        정상희,황기식,김현정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0 EU연구 Vol.- No.26

        This research mainly tries to analyze the impact of FTA on FDI determinant. It chooses the case of EU for its empirical analysis. With this research aim, it firstly looks at the particular nature of existing Free Trade Agreements of the EU with various countries. Then authors provide their hypothesis on what factors actually influence on Foreign investment determinant. Authors suggest (potential) strategy for Korean officials in terms of attracting direct investments from European capitals upon the completion of the Korea-EU FTA negotiation. EU는 현재 세계 경제 시장의 3대 권역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으며, 경제 동맹을 넘어 정치 동맹을 지향하고 있다. 유럽 지역에서의 지역연합을 공고히 함으로써 단일국가를 위한 단계적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외교 통상 문제에 대처해 나아가고 있다. 본 논문은 EU가 지역연합 차원에서 협상 및 체결하고 있는 FTA의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고 기체결 국가들을 상대로 어떠한 요인이 주요 결정 항목으로 작용하는 지에 관해 분석한 연구이다. 이러한 분석은 한ㆍEU FTA 가서명 단계의 현 시점에서 한국이 EU의 직접투자를 유인하기 위해 어떠한 투자 요인을 강화할 것인지, 또한 이와 관련하여 FTA 대응 정책 및 투자 분야의 정책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표준 기록관리시스템의 ‘기준관리’ 기능 및 이용 평가

        정상희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7

        Since central governments began to establish and use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RMS) in 2007, more and more local governments and other public organizations have constructed RMS. RMS is the essential tool for records management in electronic environments, but it is not known how well the functions of RMS reflect standards and practice related records management or how many records managers use RMS in performing their works. This paper deals with analyzing the evaluation of ‘classification & disposal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in RMS. ‘Classification & disposal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has 4 subfunctions of review of classification & preservation period, management of the schedule items, assignment of classification scheme and re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and disposal schedule is at the heart of intellectual control of records and core area of records management. So it is important to analyze whether this function plays well a role in RMS or not. This research carried out evaluation of function and use about classification & disposal schedule management in RMS. Functional evaluation is to compare and analyze how well RMS meets the functional requirements which home and foreign standards give. Use evaluation is to investigate how records managers use RMS in accomplishing their task of managing classification & disposal schedule and to look into what is the problem with the use. This paper could get the implications through the survey of records managers who are working at central governments, regional local governments and basic local governments. And these implications are considered in institutional, functional, use and administrative aspect. It is important to communicate with stakeholders so that ‘classification & disposal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further, all functions of the RMS in practice of records management could be used smoothly. Users of RMS have to raise demands or call for technical solutions of the problems which come up in use, while RMS developers and administrators must make more of an effort to satisfy their demands, reflect them on the RMS and enhance the system. 표준 기록관리시스템(이하 RMS)이 2007년 중앙행정기관의 도입을 시작으로 현재 지방자치단체, 그 밖의 공공기관에도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RMS는 전자기록환경에서 기록을 관리하기 위한 필수도구이나, 실제 RMS의 기능들이 표준이나 실무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 얼마만큼 업무에 활용되고 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기록관리시스템에 구현된 기능 중 ‘기준관리’에 대한 평가와 그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준관리’는 RMS상 기록관리기준표·기준정보관리·분류체계지정·재분류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기록관리기준표 관리와 관련된, 다시 말해 기록의 분류와 처분일정의 영역이다. 분류와 처분일정은 기록에 대한 지적 통제의 중심이자 기록관리의 핵심영역이므로, 이것이 시스템에서 그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RMS의 기준관리에 대하여 기능 평가와 이용 평가를 함께 실시하였다. 기능 평가는 국내외 표준에서 제시하는 기능요건을 RMS가 얼마나 구현하고 있는지를 비교분석한 것이다. 그리고 이용 평가는 그러한 기능들을 얼마만큼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지, 문제점은 무엇인지 진단한 것이다. 중앙행정기관과 광역 및 기초 지자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이러한 평가를 통해 얻은 시사점들을 제도적, 기능·이용적, 행정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RMS 기준관리 기능이, 더 나아가 RMS 시스템 전체가 기록관리 실무에서 원활하게 사용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사용자를 비롯한 이해당사자들의 소통임이 연구과정에서 드러났다. 사용자들은 RMS를 이용하면서 발생하는 요구사항을 지속적으로 제기하여야 하며,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은 그들의 요구사항을 분석·파악하고 이를 시스템에 반영하여, 시스템을 고도화 시키고 개선하는데 많은 노력을 하여야 한다.

      • KCI등재

        청남대 건립 관련 잔존 기록물 조사 연구

        정상희 한국기록학회 2016 기록학연구 Vol.0 No.47

        Cheongnamdae is public building which was built in 1983. Cheongnamda had been used for the exclusive villa for Presidents of Korea from then until 2003 when it opened to the public. Because of public building, public records would have been produced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records of public institutions are generally managed and destroyed according to retention schedule. Considering the retention schedule of those days, it is more likely that most of records which would show the accountability about building Cheongnamdae do not remain. But regardless of retention period, those records may be left, so we need to confirm existence of the rec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record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remain or not. For the examination, I make a list of the records which are supposed to be created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Then I identify whether those records are preserved in records-creating institutions or national archives or not. And I suggest the selection strategy of the records of existing public buildings and show the direction for managing the records of public buildings to be built. 청남대는 1983년에 건립되어 2003년까지 대통령 별장으로 사용된 공공건축물이다. 그렇다면 건립과정에서 공공기록물이 생산되었을 것이다. 공공기관의 기록물은 보존기간 동안 관리되다폐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당시 보존기간표를 고려하면, 청남대 건립 시작부터 완공까지 설명책임성을 보여줄 기록물은 남아 있지 않을 확률이 크다. 그렇지만 보존기간과 상관없이 기록물이 남아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확인해 볼 필요는 있다. 이러한현실을 감안하여 이 연구는 청남대 건립 관련 기록물의 잔존여부조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건립과정에서 생산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기록물의 목록을 작성하고, 그것을 생산 또는 보존하고 있을 것으로 짐작되는 공공기관에 잔존 기록물이 남아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이 결과를 가지고, 기존 공공건축물의 기록물 수집전략을 제언하고, 앞으로 세워질 공공건축물의 기록물 관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광역지방자치단체 단위과제 운영에 관한 연구

        정상희 한국기록학회 2016 기록학연구 Vol.0 No.4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sis the problems in managing ‘Business Transaction(Danwi-gwaje)’ of regional local government, and propose implications. The study points out the problems emerged in the operation process of Business Transaction including creating of Business Transaction and Business Transaction Profile, setting retention period and filing records, and gives concrete example of them. It concludes with presenting improvements and considerations in managing Business Transaction for systematic and efficient records management. 이 연구의 목적은 광역지방자치단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위과제 운영상 문제점을 조사·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능분류체계의 최하위 단위이자 보존기간 책정 단위인 단위과제의 신설부터, 단위과제 보존기간 책정, 단위과제카드 생성, 기록물 편철까지 일련의 운영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사례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기록물 관리를 위하여 단위과제 운영에 있어 개선되거나 고려해 봐야할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의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비교 연구 -야놀자, 배달의 민족, 카카오 T를 중심으로-

        정상희,정병규 한국물류학회 2019 물류학회지 Vol.29 No.4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large-scale platform owners who have acquired the two-sided market due to the rapid progress of digitization have been growing exponentially, but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to explain this from a business model perspective.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we developed the extended 4-type platform business (EPB) model, which was the analysis framework for analyzing the 4th industry platform business model, and applied and compared the actual overseas and Korean cases. In Korea, due to various regulations, Korean representative platform companies are limited to a specific business model called a standardized platform model, so it is urgent to enter into a competitive platform business model and a franchiser platform business model and achieve global competitiveness. It should be approached from a business model perspective rather than approaching from a traditional viewpoint such as industry attractiveness and competitiveness analysis. Even in the same industry (such as Airbnb and Couchsurfing), the platform business model changed as you perform any business strategy. According to this research, Airbnb is competitive platform business model and Couchsurfing is community platform business model. Although it was quite useful as an analytical framework, there were limitations in research that more gener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and more in-depth analysis was needed. 오늘날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양면시장을 획득한 거대 플랫폼 사업자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성장을 하고 있지만, 이를 비 즈니스 모델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는 연구는 부족한 편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플랫폼 비즈니스를 분석하기 위한 프레임웍 즉, 확장형 4가지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EPB: Extended 4Type Platform Business Model)을 도출하다. 이렇게 도출 된 모델을 바탕으로 해외 및 한국 사례를 분석하다. 해외 사례로는 Airbnb, Uber, Handy를, 한국사례로는 야놀자, 배달의 민족, 카카오 T를 중심으로 분석하다. 분석 결과 첫째, 플랫폼 오너의 강한 규범과 통제 속성은 플랫폼의 신뢰도를 높여 참여자들을 끌어들이는 촉진 도구가 되었다. 둘째, 동일한 산업이라도 어떠한 전략을 수행하느냐에 따라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이 다르기 때문 에 산업 관점 보다는 비즈니스 모델 관점에서 접근해야한다. 셋째, 규제 완화와 사회적 합의를 통해 플랫폼 사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틀은 사례를 연구하는데 매우 유용하지만,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 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