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위 '홧병'에서 분노유발사건의 상상과 이야기작업에 의한 정신생리반응:심혈관계 반응

        정상근,신준호,황익근,Chung, Sang-Keun,Shin, Jun-Ho,Hwang, Ik-Keun 대한수면의학회 2000 수면·정신생리 Vol.7 No.2

        목 적 : 저자들은 홧병 환자에서 분노유발사건의 상상 및 이야기와 관련된 자율신경계 특히 심혈관계의 특징적인 정신생리반응양상을 파악하였다. 방 법 : 전북대학교병원 정신과 외래 및 입원 환자 중 소위 '홧병'으로 진단된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노(Spiel-berger의 분노평가척도), 불안(상태특성불안척도, Hamilton 불안척도), 우울(Beck 우울 척도, Hamilton 우울 척도) 수준을 생리적 측정 전 평가하고, 홧병의 원인이 되는 분노유발사건을 조사하였다. 분노유발사건의 상상 및 이야기작업동안의 주관적 스트레스정도(SUDS)와 사건의 생생한 정도(VIVID)도 평가하였다. 스트레스 작업으로서 분노사건의 상상과 이야기 작업을 이용하였다. 스트레스 작업 전의 기저기, 작업기간, 작업 후 휴식기동안 혈압과 맥박이 측정되었다. 심리적, 생리적 평가항목들에 대한 분노사건의 상상과 이야기 작업사이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분노유발사건 상상보다 이야기작업에서, 이완기 및 수축기 혈압의 놀람(모두 p=.000) 및 회복반응(각각 p=.000, p=.017), 맥박(p=.000)의 놀람반응이 유의하게 더컸고, 분노유발사건의 생생한 정도(p=.000) 및 분노유발사건의 주관적 스트레스정도(p=.000)가 더 높았다. 즉, 홧병 환자는 분노유발사건을 상상하는 경우보다 이야기하는 경우에 자율신경계 기능이 유의하게 더 항진되고, 사건에 대한 생생한 정도 및 주관적 스트레스를 더 강하게 느꼈다. 결 론 : 상기 연구결과, 저자들은 홧병 환자들이 분노유발 사건에 대해 과도하게 반복적으로 회상하고 분노표출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자율신경계, 특히 심혈관계 반응의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cardiovascular response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imagination and discussion of anger-provoked events in patients with hwa-byung. Methods: Forty-three female patients with hwa-byung were evaluat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just before the task. Subjective Units of Distress (SUDS) and Vividness of the event (VIVID) during the imagination and discussion of the event were evaluated immediately after tasks. Blood pressure (BP) and heart rate (HR) during baseline, rest, and tasks were also evaluated. Results: Both startle and recovery responses of BP, startle response of HR, SUDS, and VIVID in discussion task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in the imagination task.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it is undesirable for the patients to excessively and repeatedly recall and talk about the anger events.

      • KCI등재

        동정법에 의한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제어기 설계

        정상근,박종국 한국통신학회 1992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17 No.9

        억제대상(抑制對象)의 모델이 정확(正確)하게 기술(記述)되지 않을때, 애매(曖昧)함이 미지(未知)의 파라메터로 나타나는 경우(境遇)가 많다. 이 애매(曖昧)함이 어떤 제약조건(制約條件)을 만족(滿足)하는 경우(境遇) 로버스트 제어방법(制御方法)을 이용(利用)하면 모델이 정확(正確)하게 기술(記述)되지 않더라도 제어(制御) 시스템을 구성(構成)할 수 가 없다. 가변구조(可變構造) 이론(理論)을 기초(基礎)로 한 제어(制御)의 특징(特徵)은 시스템의 애매(曖昧)함에 의한 영향(影響)을 고이득궤환(高利得饋還)으로 제거(除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論文)에서는 가변구조(可變構造) 이론(理論)을 이용(利用)한 VSS동정기(同定器)를 제안(提案)하였다. 미끄럼 상태(狀態)에 들어있는 제어(制御)시스템이 발생(發生)하고있는 억제입력(抑制入力)의 절환현상(折煥現像)은 실제(實際) 제어대상(制御對象)의 애매(曖昧)함의 영향(影響)을 반영(反影)한다. 따라서 몇번의 조환(操煥) 입력(入力)으로부터 유용(有用)한 정보(情報)를 검출(檢出)하여 적당(適當)한 동정기구(同定機構)를 선택(選擇)해서 이들 정보(情報)를 이용(利用)하면, 미지(未知) 파라메터를 정확(正確)하게 정(定)하는 것이 가능(可能)하다. 따라서 제안한 동정기를 로보트 매니퓰레이터의 미지파라메타 동정기에 첨가하여 보다 효과적인 제어기를 구성하였다. When the model of control object is not described correctly, ambiguity is often expressed by unknown parameter, In a case that this ambiguity satisfies a certain condition of limit, if robust control method is used, even if model is not correctly discribed, control system can be composed. The characteristic of control based on the variable structure theory is that the influence by ambiguity of system eradicates high-gain feedback. Therefore in this paper, VSS indentifier is proposed. Transformation of control input producing control system in sliding mode actually reflects influence of ambiguity unknown parameter of control object. If useful information is out from transformation input by a few times of operation, proper identify mechanism is selected and this information is used, to decide the unknown parameter is possible. So more effective controller was composed by addition of the proposed identifier to the unknown parameter identifier of robot manipulator.

      • KCI등재

        공황장애환자의 정신생리적 반응

        정상근,조광현,애자,박태원,황익근,Chung, Sang-Keun,Cho, Kwang-Hyun,Jung, Ae-Ja,Park, Tae-Won,Hwang, Ik-Keun 대한수면의학회 2001 수면·정신생리 Vol.8 No.1

        목 적 : 정상 대조군보다 공황장애환자의 생리적 각성수준이 더 높고 생리적 유연성이 더 적을 것이다. 이러한 가정을 확인하기 위해 공황장애환자와 정상대조군사이의 정신생리반응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방 법 : 환자군은 DSM-Ⅳ의 공황장애 진단기준에 맞는 외래 및 입원 환자 10명(남성 9명, 여성 1명;연령 $47.5{\pm}14.3$세), 정상 대조군(남성 9명, 여성 1명 ; 연령 $47.3{\pm}10.1$세)은 전북의대 학생 및 전북대학교병원직원 10명으로 선정하였다. 심리적 평가항목으로서, 불안, 우울 수준은 상태특성불안척도, Beck 우울 척도, Hamilton 불안 및 우울 척도로 평가하였다. 생리적 평가항목으로서 자율신경계의 정신생리반응을 측정하였는데, 맥박, 호흡속도, 피부전도반응, 근전도 등은 J & J I-330모델을 이용하였다. 스트레스작업은 4가지로서 암산, 비디오게임, 과호흡, 스트레스사건 이야기작업을 이용하였다. 정신생리반응의 측정순서는 생리반응 측정전 약 15분간의 휴식후 각각 3분씩의 '기저기간-암산작업 기간-휴식기간(3분)-비디오게임 기간-휴식기간-과호흡 기간-휴식기간-트레스사건 이야기작업 기간'으로 하였다. 두 군사이의 스트레스작업에 따른 심리적, 생리적 평가 항목들의 차이를 통계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조군보다 공황장애군에서 우울, 불안수준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생리반응 중 피부전도반응(p=.017), 근전도(p=.047), 맥박(p=.049)의 기저치가 대조군보다 공황장애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피부전도반응의 경우, 과호흡시 놀람반응이 대조군보다 공황장애군에서 유의하게 더 컸다(p=.001). 맥박의 경우, 암산작업시 놀람 및 회복반응이 대조군보다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적었다(각각 p=.007, p=.002). 환자군내에서 피부전도반응의 경우, 암산(p=.0001) 및 비디오게임(p=.021) 작업시 놀람반응이 회복반응보다 유의하게 더 컸다. 또한 호흡반응의 경우, 환자군내에서 과호흡시(p=.035) 놀람반응보다 회복반응이 유의하게 더 컸다. 결 론 : 상기 결과로 미루어보아, 공황장애환자는 정상 대조군보다 기저기에서 대부분 자율신경계의 생리적 각성수준이 더 높았으나, 측정항목에 따라 생리적 유연성의 기복이 있었다. 따라서, 공황장애환자의 치료시 자율신경계의 각성수준을 감소시키고, 일부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유연성 회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Objectives: An Increased level of psychophysiologic arousal and diminished physiologic flexibility would be observed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compared with a normal control group.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psychophysiologic response betwee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nd normal control to examine this hypothesis. Methods: Ten Korea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ho met the diagnostic criteria of DSM-IV were compared with 10 normal healthy subjects. In psychological assessment,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were evaluated b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Beck's Depression Inventory and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 and Depression. Heart rate, respiration rate, electrodermal response, and electromyographic activity were measured by biofeedback system (J & J I-330 model) to determine psychophysiologic responses on autonomic nervous system. Stressful tasks included mental arithmetic, video game, hyperventilation, and talking about a stressful event. Psychophysiologic responses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s : baseline(3 min)-mental arithmetic (3 min)-rest (3 min)-video game (3 min)-rest (3 min)-hyperventilation (3 min)-rest (3 min)-talking about a stressful event (3 min). Results: The baseline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electrodermal response (p=.017), electromyographic activity (p=.047) and heart rate (p=.049)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al subject group. In electrodermal response, patient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tartle response than the control group during hyperventilation (p=.001). Startle and recovery responses of heart rate in the patien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responses in the control group during mental arithmetic (p=.007, p=.002). In electrodermal response of the patient group, startle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recovery response during mental arithmetic (p=.000) and video game task (p=.021). Recovery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tartle response in respiratory response during hyperventilatio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had higher autonomic arousal than the control group, but the physiologic flexibility was variable. We suggest that it is helpful for treatment of panic disorder to decrease the level of autonomic arousal and to recover the physiologic flexibility in certain stressful event.

      • KCI등재

        정신전력교육이 장병 사기에 미치는 영향 : 주간정신전력교육과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중심으로

        정상근,이석준 국방정신전력원 2023 정신전력연구 Vol.- No.7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military spirit education on soldiers' morale. Through the Planned Behavioral Theory, attitudes and behaviors of soldiers participating in weekly education were measured, and how these results affect soldiers' morale was analyzed. In additi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weekly military spirit education recognized by soldiers were analyzed,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prepared through the IPA methodolog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890 soldiers of Armed Force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IPA analysis on military spirit education, "North Korean military capability," "South Korea-U.S. alliance," and "Advanced Military Culture Trusted by the people" were cited as "Focus Areas for Improvement." Next, the most urgent areas of education to be improved and introduced are education on military psychology and combat stres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Military Spirit education, attitudes toward education, efficacy, social norms, and behavioral inten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soldier morale.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the weekly Military Spirit education is effective, and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rea of Military Spirit in a more multi-level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warfare. As can be seen from the IPA results, soldiers recognize not only education on the history and tactics of Armed Forces but also education on the human rights, personality, and trust of soldiers as necessary areas for strengthening military spirit. Above all, education on military psychology and combat stress is more in demand than anything else. As a result through this study, the educational system and environment are diagnosed, focusing on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soldiers who are consumers of weekly military spirit education, and its focus area for improvement are derived through IPA. In the future, a basic plan for mid-to long-term military spirit education is established to suggest the need to introduce evidence-based policies in its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장병들을 대상으로 한 정신전력교육이 장병 사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합리적 행동이론 중 하나인 ‘계획된 행동이론’을 통해 주간정신전력교육에 참여하는 장병들의 교육효과에 대한 태도와 이해, 행동 등을 측정하고, 이 결과가 장병들의 사기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장병들이 인식하는 주간정신전력교육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고, IPA 방법론을 통해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의 조사대상은 육·해·공·해병대 병사 890명이다. 먼저 현 정신전력교육에 대한 IPA 분석 결과 중요도는 높은 축에 속하면서도 수행도는 낮은 항목으로 ‘북한군의 군사능력’, ‘한·미동맹’, ‘국민에게 신뢰받는 선진 병영문화’가 ‘중점개선 영역’으로 꼽혔다. 다음으로 병사들이 인식하는 정신전력 강화를 위해 가장 시급하게 개선 및 도입되어야 하는 교육영역으로는 전장심리와 전투스트레스에 대한 교육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및 경로 분석 결과 정신전력교육에 대한 참여 빈도와 교육에 대한 태도, 효능감, 사회적 규범, 그리고 행동 의도는 장병 사기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를 통해 현 주간정신전력교육이 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다차원적인 현대전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신전력의 영역을 보다 다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IPA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병사들은 대한민국의 역사나 국군의 전력 및 전술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장병 인권과 인성 및 신뢰에 대한 교육도 정신전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다. 무엇보다 전장심리와 전투스트레스에 대한 교육은 그 어느 교육보다 수요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주간정신전력교육의 수요자인 병사들의 인식 및 요구를 중심으로 교육체계 및 환경을 진단하고,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통해 현재 주간정신전력교육의 중점개선영역을 도출하였다. 향후에도 중·장기적인 정신전력교육 기본계획을 세워 정신전력교육에도 증거기반정책이 도입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금융·증권법 판례회고-파생상품거래에 관한 최근 판례회고-

        정상근 한국상사판례학회 2004 상사판례연구 Vol.0 No.17

        A future contract is an agreement to buy or sell a specific amount of a commodities at a particular price on a stipulated future trade. Futures is an important tools for risk management. Futures contract is eventually zero-sum game. The loss in one is likely to offset by a gain in the other. Even though futures are an zero-sum game, derivatives are to be harmful to the parties with its complexity, market manipulation and fraud. Court shall apply torts in this case. Torts theory as compared with contract theory is convenient in practice but at a disadvantage to the client. Contract theory is advantageous in liability of assistant, prescription, set-off and liability in proof. This attitude makes contract theory dwindle and aggravates the position of client. 1) Therefore the problem of illegal solicitation can be solved with a fault in contracting. 2) Also the liability of notice in derivatives falls on the liability of safeguard and can be solved with contract theory. There is a tendency the Supreme Court made an application the method of a dealings in stocks rather than in derivatives in the problem of consumer protection. It is necessary to set up a criterion in the determining of unlawfulness in illegal transaction.

      • The Secondary Products by Ozone-initiated Reaction with Terpenes Emitted from Natural Paint

        정상근,Rheo B. Lamorena,이우진,배귀남,문길주,김신도 한국실내환경학회 2004 한국실내환경학회지 Vol.1 No.1

        The use of natural paint for the application to walls and furnishings is now increasing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thereby the natural paint could be a significant source of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BVOCs) in indoor environment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gas-phase reactions between terpenes and ozone can generate sub-micron size particles and tox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such as aldehydes and ketones. In this research, we have studied the formation of particles and secondary organic compounds during the reaction of ozone with terpenes emitted from commercial natural paint. The paint applied onto stainless steel was dried and oxidized in a Teflon chamber. Two monoterpenes(α- and β-pinenes) were identified by FTIR and GC/MS. Several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ozone concentration on particle formation. Increased ozone levels significantly affect the increase of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monitored with SMPS), which results in the increase of particle counts ranging from 8,000 to 70,000 particles/cm3. Gas-phase products such as formaldehyde, acetaldehyde, acetone + acrolein, and propionaldehyde were identified during the terpene/ozone reactions by HPLC. These compounds are potential hazardous chemical compounds having harmful health effects to animals and plant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provide an insight on the adverse effect of eco-friendly natural product on indoor air quality(IAQ).

      • KCI등재

        정신과 약물의 부작용 : 여성에서

        정상근,최재호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3 생물치료정신의학 Vol.9 No.1

        이상과 같이 임신 및 수유기간, 여성내분비 기능과 관련된 정신과 사용 약물들의 부작용과 일반적인 원칙 또는 관리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개개인의 특정한 정신과적 질환의 약물치료와 여성 특유의 특정 상황에 대한 이해득실을 신중하게, 포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정신과 의사들은 이러한 내용들을 충분히 숙지함으로서, 임상 실제 상황에서 임신, 수유, 여성내분비 기능과 관련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예방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of psychiatric problem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represents a unique and complex clinical situation. When women take psychotropic medications in these conditions, they and their fetus or neonate may experience unwanted, adverse effects due to these medications. Inthe 1st trimester, teratogenicity is the main drug risk, in the 2-3rd trimester, growth retardation and neurological damage may occur and after birth, drug withdrawal effects may occur. Women may also experience sexual dysfunction or amenorrhea. Therefore, under the these background we reviewed adverse effects, malformation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and female endocrine dysfunction. We also reviewed the principles and management of those situations.

      • KCI등재

        교통사고관련 환자에서 사건상상에 대한 정신생리반응

        정상근,최명수,황익근,Chung, Sang-Keun,Choi, Myong-Su,Hwang, Ik-Keun 대한수면의학회 2001 수면·정신생리 Vol.8 No.1

        목 적 : 교통사고경험은 환자에게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로 인한 자율신경계의 생리적 각성수준이 항진되어 있을 것이다. 저자들은 교통사고와 관련된 환자중 교통사고에 대한 기억이 있는 군과 없는 군사이의 정신생리반응양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북대학교병원 정신과 외래 및 입원환자들중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교통사고 관련 환자들이었으며, 연구목적상 이들을 교통사고상황을 기억하고 있는 환자군(12명, 연령 $41.42{\pm}9.10$세 ; 교육수준 $10.33{\pm}3.14$년)과 전혀 기억하지 못하고 있는 환자(12명, 연령 $44.08{\pm}9.83$세 ; 교육수준 $10.92{\pm}3.40$년)군으로 양분하였다. 심리적 평가항목으로서 불안, 우울 수준은 상태특성불안척도, Beck 우울 척도, Hamilton 불안 및 우울 척도로 평가하였다. 생리적 평가항목으로서 자율신경계의 정신생리반응을 측정하였는데, 맥박, 피부전도반응, 근전도 등은 J & J I-330모델을 이용하였고, 수축기 및 이완기의 혈압은 DINAMAP XL Monitor mode 9340을 이용하였다. 스트레스작업은 '대본이용 및 상상기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에게 그들이 실제로 경험했던 교통사고상황을 대본으로 작성된 것을 읽어주고 사고상황을 상상하도록 교육시켰다. 정신생리반응의 측정순서는 생리반응 측정전 약 15분간의 휴식후 '기저기간(3분)-대본낭독기간(30초)-교통사고상황의 상상(3분)-휴식기간(3분)'으로 하였다. 두 군사이의 스트레스작업에 따른 심리적, 생리적 평가항목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정신생리반응중 피부전도반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기억군의 기저기간과 상상기간, 휴식기간의 측정치가 비기억군에 비해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근전도는 휴식기의 측정치가 기억군이 비기억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28). 그러나, 다른 생리반응항목들은 두군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상기 결과, 저자들은 교통사고상황을 기억하고 있는 군에서 기억하지 못하고 있는 군보다 피부전도반응과 같은 일부 자율신경계의 생리적 각성수준이 더 높은 경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교통사고관련 환자의 치료시, 그들이 경험했던 교통사고의 반복적인 기억(재경험)을 최소화시키고, 일부 자율신경계반응의 각성수준을 감소시키는 치료적 기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Objectives: The experience of traffic accident is a kind of the psychosocial stressors to person. The traffic accident-related patients may show the psychophysiologic hyperarousal. So we examined the differences of psychophysiologic response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the memory of experienceing a traffic accident. Methods: Twenty-four traffic accident-relat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r memory of a traffic accident. In psychological assessment,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were evaluated b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Beck's Depression Inventory, and Hamilton Rating Scales For Anxiety and Depression. Heart rate, electrodermal response (EDR), and electromyographic activity (EMG) were measured by biofeedback system,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by automated vital sign monitor during baseline, task, and rest periods. We utilized script-driven imagery technique as a stressful task. The patients listened to the script describing their own traffic accident experience and were instructed to imagine the event during the task period. Statistically analytic data were obtained from the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and psychophysiologic data between two groups. Results: The memory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ly higher EDR than the none memory group, but showed higher tendency during baseline, imagery, and rest periods. The memor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EMG than the none memory group during rest period.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other psychophysiologic repons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the memory group had higher tendency in autonomic arousal level such as electrodermal response than the none memory group. We suggest that physicians need to minimize repetitive imagery of traffic accident (reexperience), and decrease the autonomic hyperarousal in the treatment of traffic accident-related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