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육시설아동의 인지·정서·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KPI-C, 지능검사와 CCTT, STROOP, BGT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정보름 ( Jeong Bo Reum ),김윤희 ( Kim Yun Hee ),박성옥 ( Park Seong Ok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CCTT, STROOP, BGT 검사가 양육시설아동의 인지·정서·행동 문제를 진단·판별해낼 수 있는 검사도구로써의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KPI-C, 웩슬러 지능검사와 CCTT, STROOP, BGT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양육시설아동들 총 36명의 KPI-C, 지능검사, CCTT, STROOP, BGT 검사 결과를 선별하여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s의 적률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질적 분석을 위해 당시 의뢰사유, 행동관찰, 검사 결과에 따른 대상 양육시설아동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 양육시설아동은 ‘경계선 지능’을 가지고 있으며, 언어발달에서 더 취약함을 보인다. 또한,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를 복합적으로 보인다. 둘째, CCTT에서의 오류 수 증가와 STROOP의 단어점수의 저하, 그리고 BGT 반응 특성을 통해 양육시설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셋째, BGT 발달지표 점수와 Recall 수를 통해 양육시설 아동의 전반적인 인지적 능력을 추론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상 인원이 36명으로 매우 적어 일반화의 어려움이 있다는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육시설의 재정 및 운영 현실에 적합한 CCTT, STROOP, BGT를 활용하여 양육시설 아동의 인지·정서·행동 특성을 살펴보았다는 점, 일차적 변별 검사로써의 CCTT, STROOP, BGT 검사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of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KPI-C)/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WISC) and Children's Color Trails Test (CCTT)/Stroop test/Bender-Gestalt Test (BGT). This study was also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tility of those tests for interventional approach. The test data of 36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s in Daejeon was analyzed, using SPSS 19.0 Windows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 those children raised in child care centers have intelligence functioning scores on borderline on average. They also hav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CCTT/Stroop test/BGT is useful tools to examine the trend toward children's general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lso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KPI-C/WISC and CCTT/Stroop test/BGT.

      • KCI등재

        국내 재배 흰 민들레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세포독성

        박명수,정보름,박경진,Park, Myoung-Su,Jeong, Bo-Reum,Bahk, Gyung-Ji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5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8 No.4

        본 연구는 흰 민들레의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흰 민들레 꽃, 잎, 뿌리의 부위별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분석하였다. 흰 민들레 부위별 에탄올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수율은 꽃, 잎, 뿌리가 각각 $32.15{\pm}3.21%$, $31.63{\pm}0.63%$, $27.48{\pm}2.47%$로서, 꽃 > 잎 > 뿌리의 순으로 나타났다. 흰 민들레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에서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꽃 추출물에서 $61.29{\pm}2.11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잎($43.52{\pm}2.34mg/g$), 뿌리($11.36{\pm}1.87mg/g$) 순으로 나타났다. 흰 민들레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에서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같은 경향으로 꽃 ($46.11{\pm}1.88mg/g$), 잎($24.89{\pm}1.20mg/g$), 뿌리($6.31{\pm}1.22mg/g$)의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DPPH 라디컬 소거활성으로 분석한 흰 민들레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으며, 꽃, 잎 및 뿌리 에탄올 추출물 1.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89.99{\pm}2.83%$, $85.29{\pm}2.22%$, $37.88{\pm}2.34%$로 꽃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DPPH 라디컬 소거능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MTT법에 의한 흰 민들레 부 위별 에탄올 추출물 400 mg/kg 첨가시 위암 세포주(AGS), 폐암 세포주(A-549) 및 대장암 세포주(HCT-116)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확인한 결과, 위암 세포주(AGS)에서 꽃($62.85{\pm}4.63%$), 잎($47.83{\pm}4.22%$), 뿌리($4.73{\pm}0.89%$)의 순으로, 대장암 세포주(HCT-116)에서 꽃($69.89{\pm}3.44%$), 잎($54.14{\pm}2.82%$), 뿌리($9.42{\pm}1.11%$)의 순으로, 폐암 세포주(A-549)에서 꽃($85.72{\pm}4.17%$), 잎($71.79{\pm}2.98%$), 뿌리($19.10{\pm}2.04%$)의 순으로 모든 암 세포주들에 대하여 꽃 부위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 뿌리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항암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흰 민들레는 향후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서의 이용에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present study, the total content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cytotoxic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coreanum Nakai were investigated for their use as functional foods. The extract yields of the flower, leaf, and root were $32.15{\pm}3.21%$, $31.63{\pm}0.63%$, and $27.48{\pm}2.47%$,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the flower extract were $61.29{\pm}2.11mg/g$ and $46.11{\pm}1.88mg/g$, respectively, which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any other plant part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flower, leaf, and root extracts were $89.99{\pm}2.83%$, $85.29{\pm}2.22%$, and $37.88{\pm}2.34%$,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1.0 mg/mL. Cell cytotoxicity effects of AGS (human gastric carcinoma), HCT116 (human colon carcinoma), and A549 (human pulmonary carcinoma) cells were the highest in the flower extract, with values of $62.85{\pm}4.63%$, $69.89{\pm}3.44%$, and $85.72{\pm}4.17%$,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400 mg/kg. Both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cytotoxic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s from all the parts of the T. coreanum Nakai increased dose-dependently. These results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 coreanum Nakai as an edible functional food 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