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기(長期)옵션에 내재(內在)된 주가변동성(株價變動性)의 위험(危險)프레미엄에 관한 연구(硏究)

        정문경,Jeong, Mun-Gyeong 한국재무관리학회 1992 財務管理硏究 Vol.9 No.1

        Black과 Scholes가 옵션가격모형(價格模型)을 개발한 후 그 모형에서의 가정들을 완화시킴으로써 옵션모형들이 발전되어 왔다. Black-Scholes의 옵션가격모형(價格模型)의 문제점중의 하나는 주가의 분산이 만기일까지 일정(一定)하다는 가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옵션이 Scorer 이용하여 주가분산(株價分散)의 중요성을 고찰하였다. 즉 Cox, Ingersoll과 Ross의 일반균형이론(一般均衡理論)에 근거한 random variance 옵션모형을 도출하였고 이것을 Black-Scholes 옵션모형과 비교하였다. 장기유럽식 옵션에 대하여 주가변동성(株價變動性)의 위험(危險)프레미엄이 중요한 요소이고 위험(危險)프레미엄을 고려한 random variance 옵션모형이 위험(危險)을 고려치 않는 random variance옵션모형(模型)보다 예측력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방임과 진로장애의 관계에서 사회적 낙인의 매개 효과

        정문경 ( Moonkyeong Je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방임과 진로장애의 관계에서 사회적 낙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데이터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고, SPSS 21.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방임, 사회적 낙인, 진로장애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사회적 낙인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연구모형인 부분 매개모형에 비해 경쟁모형인 완전매개모형이 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방임은 사회적 낙인을 매개로 진로장애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부모 교육 및 상담 등의 사례개입이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애 극복에 도움이 되는 방안임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tigma between parent neglect and career barrier. For this, the 5th Panel Survey data of School Dropouts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used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3.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ut-of-school adolescents’ parent neglect, social stigma and career barrier. Second, the fully mediated model produced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the partially mediated model. This means that parent neglect indirectly affects career barrier through social stigm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case interventions such as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the parents are helpful in overcoming career barriers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고통감내력과 우울의 매개효과

        정문경(Jeong Moonk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이 고통감내력과 우울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구조모형을 설정 하였고, 검증을 위한 자료는 2018년 4월부터 6월까지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 섭, 고통감내력, 우울,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고,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은 고통감내력과 우울을 이중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과잉간섭이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 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 키기 위해 상담현장에서 고려해야할 부모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over-intrusive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in college student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ied. The data for the model was collected from survey of 302 university students.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parental over-intrusiveness, distress tolerance, de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correlated. Second, distress tolerance mediated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ived parental over-intrusive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Third, depression mediated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ived parental over-intrusive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Forth, distress tolerance double-mediated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ived over-intrusive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via depression. The results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that parental over-intrusiveness influences college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중년여성의 용서와 삶의 의미의 관계: 인지적 재해석의 매개효과

        정문경 ( Jeong Moonkye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2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용서와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인지적 재해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년여성의 용서가 인지적 재해석을 매개로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자료는 총 362명의 중년여성들로부터 용서 척도, 인지적 재해석 척도, 삶의 의미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고, SPSS 21.0과 AMOS 21.0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중년여성의 용서와 인지적 재해석, 삶의 의미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여성의 용서와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인지적재해석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중년여성의 용서 수준이 높아지면 보다 긍정적인 인지적 재해석을 함으로써 삶의 의미를 더 갖게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reapprais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giveness and the meaning in life of middle aged wome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62 middle aged women were surveyed using the forgiveness scale, reappraisal scale, and the meaning in life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forgiveness of middle aged women, reappraisal, and the meaning in life. Second, forgiveness of middle aged women affects the meaning in life through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reappraisal. This suggests that middle aged women who forgive will have more positive reappraisal, which means they will have more meaning in life.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한국산 환태평양 볼락속 (Genus Sebastes), Sebastes glaucus의 최초 보고 (쏨뱅이목: 양볼락과)

        정문경 ( Moon Kyung Jeong ),지환성 ( Hwan Sung Ji ),김진구 ( Jin-koo Kim ),이수진 ( Sujin Lee ),황선재 ( Seon Jae Hwang ),황강석 ( Kangseok Hwang ),박정호 ( Jeong-ho Park ) 한국어류학회 2016 韓國魚類學會誌 Vol.28 No.4

        쏨뱅이목 양볼락과에 속하는 Sebastes glaucus 1개체 (표준체장 276.9 mm)가 독도 북서쪽에서 자망으로 채집되었다. 본 개체는 황갈색 체색, 높은 체고, 전두부와 목덜미 부분은 볼록하고 후두부는 넓다. 또한 14개의 등 지느러미 극조 및 주상악골에 비늘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환태평양 볼락속인 이 어류의 국명으로 NFRDI (1999)에 따라 “청회볼락”을 제안한다. A single specimen (276.9 mm standard length) of the scorpaenid Sebastes glaucus was collected by a gill net from Dokdo, East Sea, Korea. The specimen is characterized by yellowish brown body color, deep body, convex frontal region and nape, board occipital region, 14 spines at dorsal fin, and no scales at maxilla. This is the first record of S. glaucus in Korea; we therefore add the species to the Korean fish fauna. According to the NFRDI (1999), we propose the Korean name, “Cheong-hoebol- rak” for this species.

      • KCI등재

        부부의 회피대처행동이 책임귀인을 매개로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정문경(Jeong, Moonkyeong) 한국가족학회 2020 가족과 문화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husbands’ and wives’ avoidance coping behavior affects intimacy through responsibility attribution,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ce coping behavior, responsibility attribution, and intimac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The data used for the model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a total of 211 couples, consisting of husband and wife pairs. First,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actor-effect of husbands’ and wives’ avoidance coping behavior was significant, and the partner-effect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actor-effect and partner-effect which avoidance coping behavior influences on intimac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only for husband. Third, the actor-effect and partner-effect of responsibility attribution were significant in case of both husbands and wives. Fourth, after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s avoidance coping behavior, responsibility attribution and intimacy, the full effect of responsible attribution has been verified in many ways. These results show that avoidance coping behavior, responsibility attribution and intimacy affect different aspects of husband-wife interaction, and that avoidance coping behavior affects the couple’s intimacy by responsibility attribution. In addition, since the full effect of responsibility attribution has been verified, clinician should intervene the couple’s avoidance behavior to maintain their intim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made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made. 연구의 목적은 부부 관계에서 부부의 회피대처행동이 책임귀인을 매개로 친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회피대처행동, 책임귀인, 친밀감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부부 상호간에 주고받는 영향을 분석하기에 적절한 자기-상대방 상호의 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구성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 모형 분석을 위해 사용된 자료는 남편과 아내 쌍으로 이루어진 총 211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남편과 아내의 회피대처행동이 책임귀인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유의하였고, 남편과 아내 회피대처행동의 상대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남편과 아내의 회피대처행동이 친밀감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남편의 경우에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편과 아내의 책임귀인이 친밀감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아내와 남편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편과 아내의 회피대처행동, 책임귀인, 친밀감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여러 경로에서 책임귀인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회피대처행동, 책임귀인, 친밀감이 남편과 아내 상호관계에서 다른 양상으로 영향을 미치며, 회피대처행동은 부부의 친밀감에 책임귀인을 완전매개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책임귀인의 완전매개효과를 통해 볼 때, 부부를 다루는 임상현장에서는 부부가 상대 배우자에게 비관적이고 부정적인 책임귀인으로 반응하기 전에 부부의 회피대처행동에 개입하여 부부의 친밀감 유지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결과들을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한국산 붉평치과 (Lampridae) 어류 1 미기록종, Lampris guttatus

        정문경 ( Moon Kyung Jeong ),신동훈 ( Dong Hoon Shin ),김맹진 ( Maeng Jin Kim ),조현수 ( Hyun Su Jo ),황강석 ( Kang Seok Hwang ) 한국어류학회 2015 韓國魚類學會誌 Vol.27 No.1

        이악어목, 붉평치과에 속하는 Lampris guttatus 1개체(표준체장 705 mm)가 2014년 11월 12일 삼척 연안의 정치망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체고가 높고 난형인 점, 지느러미와 턱이 선명한 진홍색인 점 그리고 몸 전체에 흰 반점이 불규칙하게 흩어져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 미기록종의 과명과 속명 그리고 종명은 “붉평치과”, “붉평치속” 그리고 “붉평치”로 각각 제안하였다. A single specimen (705 mm in standard length) of Lampris guttatus (Brunnich, 1788), belonging to the family Lampridae, was firstly collected from the coast of Samcheok, East Sea, Korea in November 2014. This species was characterized by having oval shaped body, vivid scarlet fins and jaw and pale white spots on body irregularly. We propose a new Korean name, “Buk-pyeong-chigwa”, “Buk-pyeong-chi-sok” and “Buk-pyeong-chi” for the family, genus and species, respectively.

      • KCI등재

        용서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문경(Moon-Kyeong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4

        본 연구는 기혼남녀의 용서수준과 결혼만족의 관계에서 긍정적 의사소통이 어떠한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혼남녀의 용서가 긍정적 의사소통을 매개로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총 300명의 기혼남녀들에게 Rye 용서수준 척도, 긍정적 의사소통 척도, 결혼만족도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기혼남녀의 용서수준과 긍정적 의사소통, 긍정적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 용서수준과 결혼만족도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혼남녀의 용서는 긍정적 의사소통을 완전매개로 결혼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혼남녀의 용서수준이 높아지면 긍정적 의사소통이 증가하고, 이를 매개로 결혼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commun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forgiv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en and wome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00 married men and women surveyed using the Rye forgiveness level, positive communication scale, and marital satisfac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rs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forgiveness of married men and women, positive communication, positive communication, marital satisfaction, forgiv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Second, forgiveness of married men and women affects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fully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communication.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forgiveness of married men and women, the higher the positive communication and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다문화정책의 시사점 도출을 위한 다문화가정아동의 능력지각과 자율성에 관한 실증적 분석

        정문경(Mun-Gyung Jeo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8 No.12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능력지각이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다문화정책의 시사점 도출을 위해 SPSS 19.0과 AMOS 19.0을 이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A광역시와 Y시 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자율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아동의 사회적 능력지각과 개인적 능력지각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이 자율성에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셋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적 능력지각과 개인적 능력지각이 자율성에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여 도출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독립변수인 사회적 능력지각과 개인적 능력지각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종속변수인 자율성에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 이러한 인과관계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의 능력지각에 의미 있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perceived multicultural children's ability to look at the impact of autonomy 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using SPSS 19.0 and AMOS 19.0 empirical analysis. To this end, in the area of A metrocity and Y city targeting elementary school autonomy on the final survey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multicultural children's social skills and self-perceived ability to influe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two perceptual effects were. Second, multicultural children's psychological well affect its autonomy was found to be third, multicultural children's social skills and self-perceived ability to influence the perception of autonomy was the effect. As a result,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by the analysi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perceived social skills and personal skills perceived to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dependent variable autonomy also appeared to affect the result of these two effects through causal multicultural that is meaningful to the child's ability to assume that perception were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