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교육서비스품질, 전공만족, 취업준비스트레스, 취업준비행동의 영향관계 연구-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명희,이원화 동북아관광학회 2019 동북아관광연구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학과의 교육서비스품질, 전공만족, 취업스트레스, 취업준비행동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한자료 수집은 대구, 경북지역의 4년제 대학 항공서비스관련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총 230부를 분석에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육서비스품질의 교수요인, 물리적 환경이 전공만족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직원요인은 관계만족을 제외한 전공만족의 모든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전공만족은취업준비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만족의교과만족, 관계만족은 정보탐색활동과 준비계획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보였다. 마지막으로 취업준비스트레스는 취업준비행동 요인 중 준비계획활동에 유의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통하여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교육서비스품질 향상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며학생들이 지각하는 취업준비스트레스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취업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on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s, major satisfaction, job-seeking stress,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Firs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professor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ll 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and staff factors have an impact on all 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except relationship. Second, it has been found that major satisfac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seeking stress. Third, the curriculum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the major satisfac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formation search activities and preparation planning activities. Finally, job-seeking stress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reparatory planning activities among the factors for job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is result, we are going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ing education service quality that can lead to th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and analyze the impact of job-seeking stress on job preparation behavior that students perceive as being late and use as basic data for effective job guidance.

      • KCI등재

        감성지능이 의사소통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명희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5

        본 연구에서는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성지능(자기감성이해, 감성활용, 감성조절, 타인감성이해), 의사소통능력(목표간파, 조리성, 집중력, 주장력, 반응력, 자기노출), 자아존중감(가정적 자아존중감, 개인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대구, 경북 소재 4년제 대학 항공서비스 관련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230부의 설문지를 확보하여 SPSS 22.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기감성이해는 집중력에, 감성활용은 조리성과 자기노출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감성조절은 조리성과 주장력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타인감성이해는 조리성, 집중력, 주장력, 반응력에는 정(+)의 영향을, 목표간파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노출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감성이해는 자아존중감의 세 개 하위요인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감성활용은 가정적 자아존중감, 개인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사회적 자아존중감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감성조절은 개인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가정적 자아존중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타인감성이해는 사회적 자아존중감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능력의 조리성, 집중력은 자아존중감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반응력은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노출은 개인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목표간파와 주장력은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감성지능을 높이기 위해 상담프로그램 강화와 관련 교양 교과목을 늘이고 인성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즉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과에서 교과목 선정 시 감성지능 향상을 위한 대인관계 훈련 프로그램, 인성 함양 프로그램 등이 교육내용에 포함 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steem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four-year aviation service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to conduct research and verification using the SPSS 22.0 for Windows Statistics program. First, the analysis show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s a partial effect on communication skills. Other sensi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factors except self-exposure and target interception, and others showed a negative effect on target liver wave. Emotional control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ssertiveness and cooking, and a positive influence on self-sensitivity.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has shown partial effects on self-esteem. Self-sensitivity ha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three sub-factors of self-esteem, and emotional utilization ha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ome self-esteem and personal self-esteem. Emotional control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sonal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Third, communication skills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effect on self-esteem. Responsiveness has shown a negative effect on both the self-respecting sub-factor an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factors of self-esteem. Through this study, we have identified the need to strengthen counseling programs, increase related liberal arts courses and strengthen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In other words,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respect, it suggests that interpersonal training programs for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sonality-building programs for selecting subjects in departments need to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조선시대 불화와 의례공간

        정명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5 불교문예연구 Vol.0 No.6

        조선시대 신앙활동에 있어서 불교의식의 비중은 매우 증가하여, 건축, 불 상, 공예 등 불교미술 전반에서 의식문화의 영향이 광범위하게 확인된다. 본 고에서는 불교의례의 성행이 가져온 변화를 불교회화의 측면에서 살펴보았 다. 불화와 의례공간의 관련성은 주불전 내부의 의식과 야외 의식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조망할 수 있다. 예배 공간으로 인식되던 주불전(主佛殿)은 다양한 법회(法會)와 의례가 개 최되는 공간으로 활용되었고, 전각 내부에는 의식 수요에 부응하는 불화가 봉 안되었다. 불보살을 도량[道場]에 청해 공양을 권하는 권공(勸供)과 육도의 중 생을 청하여 음식을 베푸는 시식(施食) 의례는 특정 의식에 한정되지 않고 불 교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수륙재의 성행은 특히 삼단의례(三壇儀禮)라 는 형식을 통해 저변화되었다. 그 결과 주불전 안에 상단(上壇), 중단(中壇), 하단(下壇)의 삼단이 갖추어지고, 각 단을 상징하는 불화가 하나의 기본 조합 을 이루게 된다. 한편 야외 의식용 대형 불화인 괘불(掛佛)이 전국적으로 조성되는 현상은 전각 외부로까지 확장된 의식에서 불화의 쓰임과 기능 확대를 보여준다. 불 화는 의식단의 가설에 따른 수요로 혹은 전각 내부에서 외부로 의식단이 옮 겨짐으로써 이동하였다. 불화를 거는 절차의 핵심은 의식이 진행되는 곳으로 불보살의 강림(降臨)을 청하는 것이다. 불보살의 강림은 도량에 초청하고자 하는 불보살의 명호를 부르는 거불(擧佛) 절차를 통해 상징되었다. 또한 거불 의 대상이 의식용 불화의 주제로 그려짐으로써 구체적으로 시각화되었다. 의 식을 위해 불화를 꺼내 이동하고, 의식을 마치면 다시 원래의 자리에 가져다 두는 일련의 절차는 불보살의 현존을‘도량으로의 강림’이라는 극적인 방식 으로 전달하였다. 이들의 강림을 찬탄하고 도량에 내려온 불보살에게 공양을 올리는 절차는 의식의 신이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조선시대 불교회화는 전각에 봉안되어 불상의 뒤편에 놓여 불전이 상징하 는 불세계를 상징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의식의 성행이라는 신앙의 흐름에서 역동적으로 기능하였다. 전각 외부로 확장되는 의식과 의식을 전담하는 불 화로의 이행을 대표하는 것이 괘불이라면, 감로도(甘露圖)는 의식에 사용되 던 불화가 전각 내부의 불화로 고정되는 현상을 보여준다. 의식의 성행으로 의식 전용 불화가 생겨나는 동시에 특정한 의식에 사용되던 불화가 상설 불 화로 봉안되었다. 조선시대 불교회화는 의식 수요에 부응하는 과정에서 그 주제와 구성에서 다양한 변용을 보이며 전개되었다. 불화가 봉안된 공간과 그 공간에서 이루어졌던 의식 문화를 통해 조선시대 불화의 다각적인 기능 을 이해할 수 있다. In regard to religious activities of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a significant rise of Buddhist rituals, and the influence of ritual culture was widely observed across Buddhist art including architecture, statues, and crafts. This study explores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prevalence of Buddhist rituals in the Buddhist paintings. The correlation between Buddhist paintings and ritual spaces is surveyed from two aspects-indoor rituals held in the main halls of temples and outdoor rituals. The main hall, which was perceived as a place for worship, was utilized as a space for holding diverse Buddhist services and rituals, and Buddhist paintings were enshrined inside the halls in order to fulfill ritual demands. The ritual of inviting Buddha and bodhisattvas to the temple and making offerings, and the ritual of inviting all sattva in the six paramitas and sharing food wer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ritual but had an influence on overall Buddhist culture. The growing prevalence of Suryukjae (the Water and Land ritual), a ceremony conducted for the salvation of all the souls of the dead on land and sea, occurred through the formality involving the threelevel altar ritual scheme. As a result, a three-level altar comprised of the upper, middle, and lower altar was formed within the main hall, with a Buddhist painting symbolic of each level comprising a single, basic composition. Meanwhile, the phenomenon of the production of large hanging Buddhist paintings for outdoor rites across the nation demonstrates the expansion in the use and function of Buddhist paintings in rites that have extended outside the halls. Buddhist paintings were moved according to demand of the installation of ritual altars or the relocation of the ritual alta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hall. The purpose of hanging Buddhist paintings is in requesting and inviting the advent of Buddha and the bodhisattvas to the place where the ritual is held. The advent of Buddha and bodhisattva was symbolized through the process of calling out the names of deities to be invited to the temple. Moreover, the subject of the name dictation was visualized as it was depicted in paintings for ritual use. The process of taking out and moving paintings for rituals and returning them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fter the rituals represents the “advent of Buddha and bodhisattva to the temple”in a dramatic way. The process of lauding the advent of Buddha and bodhisattva and making offerings to them greatly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mythical power of the rituals.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were enshrined and hung in a hall behind the statue of Buddha, not only symbolizing the Buddhist world but actively utilized in the time when rituals prevailed as well. If large hanging scrolls of Buddhist painting are to represent the expansion of rites outside the hall and special Buddhist paintings used for the outdoor rituals, then gamnodo (nectar ritual paintings) demonstrate the phenomenon of paintings for ritual use being fixed as paintings within the hall. With the prevalence of rituals, there was an emergence of paintings used exclusively for rituals, and simultaneously paintings that were used for particular rituals were enshrined as permanent paintings inside a hall. Buddhist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out the process of meeting the demands of rituals, were diversified in theme and composition. The multilateral function of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Joseon period is understood by examining the space in which the paintings were enshrined and the rituals carried out in the space.

      • KCI등재

        사회적지지가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부모효능감을 중심으로 -

        정명희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8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자녀양육에 있어 긍정적이고 효율적인 양육방식을 택하는데 사회적지지가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결혼이주여성의 양육방식과 사회적지지 간 그리고 부모효능감 간의 매개적인 경로와 인과관계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10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자료에 기초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지지는 자녀양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온정적인 자녀양육은 부모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지지를 받는 결혼이주여성들은 부모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양육에 있어 온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지지가 자녀양육에 긍정적이고 효율적인 양육태도를 보였으며, 자녀의 양육에서 부모효능감이 높게 나타나 자녀와의 상호교류가 잘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저출산 고령화의 한국적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세대 주역이 될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교육과 양육에 관한 정부의 지원책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Result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210 immigrant women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survey data, The result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of immigrant women,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rearing.Second, compassionate parenting, parent 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Third ,marriage migrant women receiving social support, parenting parents showed higher efficacy, showed a compassionate attitude. Immigrant women's social support means that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howed a positive and effective parenting attitudes, and child throat-efficacy of parents in the rearing of the children show a higher mean what is the interaction of children and well done. Therefore, it suggested to be the protagonist for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society to solve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degree on parenting and education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need the government's support.

      • KCI등재

        MODIS NDVI 시계열 패턴 변화를 이용한 산림식생변화 모니터링 방법론

        정명희,이상훈,장은미,홍성욱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4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has been used to measure and monitor plant growth, vegetation cover, and biomass from multispectral satellite data. It is also a valuable index in forest applications, providing forest resource information. In this research, an approach for monitoring forest change using MODIS NDVI time series data is explored. NDVI difference-based approaches for a specific point in time have possible accuracy problems and are lacking in monitoring long-term forest cover change. It means that a multi-time NDVI pattern change needs to be considered. In this study, an efficient methodology to consider long-term NDVI pattern is suggested using a harmonic model. The suggested method reconstructs MODIS NDVI time series data through application of the harmonic model, which corrects missing and erroneous data. Then NDVI pattern is analyzed based on estimated values of the harmonic model. The suggested method was applied to 49 NDVI time series data from Aug. 21, 2009 to Sep. 6, 2011 and its usefulness was shown through an experiment. 정규식생지수(NDVI)는 식생자원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식생지수(VI-Vegetation Index) 중 하나로 여러 응용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지수이다. 산림 분야에서도 NDVI가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산림 변화 모니터링을 위해 MODIS NDVI를 활용하는 방법론이 연구되었다.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NDVI 값을 비교 및 분류하여 변화를 탐지하는 방법은 기계나 기상상태의 영향으로 자료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고 장기적인 변화를 탐지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하모닉 모형을 이용하여 NDVI 시계열 자료를 통해 NDVI 패턴을 고려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먼저 하모닉 모형을 적용하여 미관측 자료나 자료의 오류를 보정한 NDVI 시계열 자료를 재구축하고 추정된 하모닉 요소의 모수를 기준으로 장기적 패턴을 통해 식생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은 한반도 지역의 2009년 8월 21일부터 2011년 9월 6일까지 총 49개의 MODIS NDVI 시계열 자료에 적용하여 모형의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주변인의 자살경험이 노인의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명희,허성희 한국노인복지학회 2017 노인복지연구 Vol.72 No.1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possibility that the suicide loss (suicidal experience of neighbours and friends) affects copycat suicide of the elderly and the risk factors that affect their suicide when they have experienced suicide loss. Based on this, this study inspected how much suicide loss has influence on three stages of the elderly regarding suicide such as suicidal ideation, suicidal plan and suicidal attempt, respectively. And also this study checked the influence of the previous stage on the following one based on the three stages of elderly suicide. For this study, we surveyed elderly people who are over 65 years old and living in five districts in Seoul. Total 1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comprehensive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0%(20 persons) of the elderly in the study had experience of suicide lo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suicide loss significantly affects suicidal ideation, plan and attempt of the elderly, which means higher suicide loss could lead to higher suicidal ideation, plan and attempt of the elderly. Third, significant influences were found three stages of elderly suicide focused on the controlled variables. The degree of suicidal ideation tended to be higher when respondents lived alone, their educational levels were lower and their depression levels were higher; the degree of suicidal plan were higher when their educational levels were lower, their depression levels were higher and they have little support systems; and the degree of suicidal attempt were higher when their economic status were higher and they have little support systems. Lastly, each suicidal stage appeared to be affected by the previous stage of suicid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to prevent and intervene in elderly suicide in effective ways based on the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이 가까운 친구나 이웃과 같은 주변인의 자살경험에 노출 되었을때, 노인자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을 통해 모방자살의 가능성과 자살위험 요인이 될수 있을 측면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주변인의 자살경험은 자신의 친구 및 이웃 중 자살시도를 하여 실제 사망한 경우와 자살시도를 하였으나 사망하지 않은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주변인의 자살경험이 노인의자살생각과 자살계획, 자살시도 3가지 영역에 각각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동시에 3가지 노인자살 영역을 중심으로 이전 단계가 다음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5개구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00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20%(20명)가 주변인의 자살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노인 자살정도의 평균점수는 1.33점이며, 각각의 영역별로는 자살생각 1.46점, 자살계획 1.12점, 자살시도 1.13점으로나타났다. 둘째, 주변인의 자살경험이 노인의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 3가지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이들 모두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여 주변인의 자살경험이 있을수록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제변수들을 중심으로 노인자살의 3가지 영역에 미치는 요인을 각각 살펴본 결과, 자살생각은 교육수준이 낮고 독거이며,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자살계획은 교육수준이 낮고 우울수준이 높고 지지체계 수가 낮을수록, 자살시도는 경제수준이 높고 지지체계 수가 작을수록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각 자살 단계들은 이전 자살단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 기반한 실질적인 노인 자살예방과개입을 위한 실천적․정책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공간적 현상의 모형화 및 시뮬레이션 : 자연화재발생의 경우

        정명희 한국공간정보학회 1998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6 No.1

        자연적이거나 인위적인 여러 요인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지표는 계속 변화해간다. 자연재해는 생태계의 다양한 군집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데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이런 변화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특정 사건의 발생과정이나 공간적 분포에 대한 연구는 환경과 자원관리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표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화재의 경우를 중심으로 공간적 분포를 모형화하는 방법론을 설명하였다. 자연화재는 주로 번개에 의해 발생되어 몇 주에 결쳐 수만 킬로미터의 지역을 태우면서 새롭고 다양한 서식지를 만들어 가는 주된 자연재해중의 하나로 생태계관리차원에서 연구되고 있다. 오스트리아 빅토리아사막을 예로 이곳에서의 자연화재 발생지역을 20년동안의 원격탐사자료(MSS data)로부터 추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자연화재발생에 대한 공간적 모형을 개발하였고 모형에 입각한 시뮬레이션 방법을 논의하였다. 화재발생과정은 불규칙적으로 분포된 공간상의 point pattern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이의 모형화를 위해서 Nonhomogeneous Planar Poissin Process가 이용되었다. The complex interactions of climate, topography, geology, biota and hwnan activities result in the land cover patterns, which are impacted by natural disturbances such as fire, earthquake and flood. Natural disturbances disrupt ecosystem communities and change the physical environment, thereby generating a new landscape. Community ecologists believe that disturbance is critical in determining how diverse ecological systems function. Fires were once a major agent of disturbance in the North American tall grass prairies, African savannas, and Australian bush. The major focus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stochastic model of spatial process of disturbance or spatial events and simulate the process based on the developed model and it was applied to the fire arrival process in the Great Victoria Desert of Australia, where wildfires generate a mosaic of patches of habitat at various stages of post-fire succession. For this research, Landsat Multi-Spectral Scanner(MSS) data covering the period from 1972 to 1994 were utilized. Fire arrival process is characterized as a spatial point pattern irregularly distributed within a region of space. Here, nonhomogeneous planar Poisson process is proposed as a model for the fire arrival process and rejection sampling thinning the homogeneous Poisson process is used for its sim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