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olyarteritis Nodosa Complicated by Chronic Total Occlusion Accompanying Aneurysms on All Coronary Arteries

        정두철,Jung Eun Choi,Yong Keun Song,Ah Leum Lim,박경하,Young-Jin Choi 대한심장학회 2012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42 No.8

        Polyarteritis nodosa (PAN) is characterized by inflammatory necrosis of medium sized arteries. PAN can also be associated with stenosis or aneurysm of the coronary artery. However, the involvement of PAN at a coronary artery is usually asymptomatic,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iagnose. In addition, all of the three main coronary arteries involved with chronic total occlusion (CTO) is a rare finding in patients with PAN. We report a patient that presented with PAN complicated by CTO and aneurysms of three main coronary arteries, without typi-cal symptoms of angina.

      • 관상동맥 세혈관에 동맥류를 동반한 만성완전폐쇄 소견을 보인다발성 결절성 동맥염 1예

        정두철,박경하,김민규,최영진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1 No.1

        서론: 다발성 결절성 동맥염은 중간 크기 동맥의 괴사성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질환이다. 임상적으로 주로 신장, 피부, 소화기관 등을 침범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심장침범의 경우 협심증, 심부전, 심낭염 등을 일으킬 수 있고, 관상동맥 이환 시 협착이나 동맥류 소견을 보일 수 있으나 세혈관 모두를 침범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으로 되어 있다. 저자들은 관상동맥 세혈관에 동맥류를 동반한 만성완전폐쇄 소견을 보인 다발성 결절성 동맥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52세 남자로, 내원 7개월 전 왼팔의 저린감으로 한방병원에 서 침을 맞고 궤양이 발생, 이후 피부이식을 수 차례 시도 하였으나 괴사되었고 혈관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상지혈관 조영술 시행하였다. 조 영술 상 액와동맥에 다발성 동맥류 및 위팔동맥과 요골동맥에 폐색소견 관찰되어 혈관 조직검사를 시행, 다발성 결절성 동맥염이 진단되었 다. 입원 치료 중 흉통을 호소하여 순환기 내과 협진 의뢰되었다. 당시 활력증후는 혈압 140/80 mmHg, 맥박 78회/분으로 안정적이었으며 기타 신체검사 상 특이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흉부 X-선과 심전도 검사에서도 특별한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혈액 생화학검사에서CK-MB 0.7 ng/ml(정상 0~3.6), Troponin-I 0.04 이하(정상 0~0.07 ng/mL)로 정상이었다. ESR 76 mm/hour, CRP 94.90 mg/L(정상 ≤8.0). 관상동맥 조영술상 좌전하행지와 좌회선지에서 거대한 동맥류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동맥류 원위부는 만성완전폐쇄소견을 보였다. 우관상동맥 역시 근위부에 거대한 동맥류 소견을 보였고 이후 원위부는 TIMI 0 혈류를 동반한 만성완전폐쇄 소견을 보였다. 이후 환자는 면역치료와 더불어 항혈소판제, 스타틴 등을 포함한 치료 중이다.

      • 독버섯 중독에 의한 급성 간질성 폐렴, 1예

        장주아,이훈구,정두철,최정은,김철홍,현인규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1 No.1

        서론: 독버섯 중독은 흔히 발생하지만 치명적인 합병증은 드물게 일어난다. 6시간이내의 급성 중독의 경우 위장관염이나, 콜린성 중독 증상이 나타나며, 지연성 반응으로 신부전 및 간독성, 횡문근 융해증이 발생한다. 드물게는 면역 매개성 용혈성 빈혈, 알레르기성 기관지페포염, 뇌병증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독버섯 중독에 의한 급성 간질성 폐렴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71세 남자환자로, 내원 전날 야생버섯(붉은 사슴뿔버섯 추정)먹은 이후 3시간 후부터 오심, 구토, 설사, 구갈, 열감이 발생하였다. 병원 내원시 혈압저하, 질소혈증, 백혈구 증가소견이 있었으며, 보존적 치료하면서 특이 증상 없이 회복되던 중 입원 4일째부터 기침, 가래, 호흡곤란과 함께 흉부 X-선 검사에서 좌폐 침윤이 새롭게 발생하였다. 당일 기관지내시경 및 기관지 폐포 세척술을 시행하였고 기관지내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다. 환자 급성호흡부전과 함께 흉부 컴퓨터단층촬영 및 흉부 X-선 검사에서 급격히 폐침윤 진행하였고, 급성 괴사성 폐렴으로 추정되어 좌폐전절제술 시행하였고 조직검사에서 급성 간질성 폐렴 진단되었다. 수술 후에도 패혈성 쇼크, 급성 신부전, 범혈구 감소증 악화되었고, 항생제 투여, 혈액투석, G-CSF 등 투여하였으나 입원 13일째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하였다.

      • KCI등재

        Blood Stream Infections in Patients in the Burn Intensive Care Unit

        이훈구,장주아,최정은,정두철,한정완,우흥정,전욱,천병철 대한감염학회 2013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45 No.2

        Background: The study on bacteremia helps empirically select the proper antibiotics before the results of culture test about causative pathog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ausative pathogen in bloodstream infection, changing aspects based on elapsed time after burn, relationship with other sites and resistance of important causative pathogen against antibiotics through analysis on bacteria isolated from blood culture of patients hospitalized in burn intensive care unit (BICU).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patients hospitalized in BICU from January 2007 to June 2011. Changes of causative pathogen in bloodstream infection based on elapsed time after injury were analyzed.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stream infection and infection on other body parts by comparing results of cultures in burn wound site, sputum, urine and catheter tip. Antibiotics resistance patterns of Pseudomonas aeruginosa, Acinetobacter baumannii, Staphylococcus aureus, Enterococcus species, and Klebsiella pneumoniae were studied. Results: A total of 2,337 burn patients were hospitalized in BICU for 54 months. Causative pathogen was cultured in blood cultures from 397 patients (17.0%). P. aeruginosa (169, 30.1%) was the most cultured and A. baumannii (107, 19.0%) and S. aureus (81, 14.4%) were followe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ve frequency of A. baumannii tended to get lower as the period got longer after injury, but the relative frequency of K. pneumoniae got higher as the period got longer after injury. With comparison without bacteremia, P. aeruginosa bacteremia showed high probability in which the same bacteria were cultured in wound site, sputum and cathether tip, and A. baumannii bacteremia and candida bacteremia had high probability in sputum,and urine and catheter tip, respectively. 95.9% of P. aeruginosa and 95.3% of A. baumannii showed the resistance against carbapenem. 96.3% of S. aureus was methicillin resistant and 36.2% of Enterococcus species were vancomycin resistant. 75.0%of K. pneumonia were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producing bacteria. Conclusions: Since the highly antibiotic resistant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the patients hospitalized in BICU during early phase, the empirical selection of antibiotics targeting these pathogens should be considered before the results of microbiologic culture test. In addition, use of empirical antifungal agent after 1 week of injury can be considered for patients who have risk factor of fungal inf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