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BR 내 침지식 중공사막의 Aeration에 따른 SFCO 투과특성

        정도인,김선일,정세영,정건용 한국막학회 2016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6 No.11

        하수처리장 반송슬러지를 채취하여 안정시킨 후 중공사막 모듈을 침지시키고 운전시간에 따른 막간차압(TMP)를 막 오염의 정도로 측정하였다. 사용한 분리막은 공칭 세공크기 0.4㎛인 P사의 중공사막이며 유효 막면적이 약 0.01m2 되도록 실험실적으로 모듈을 제작하였다. 기존 MBR공정에서 사용하는 운전 및 휴지 (F/R)방식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개발한 사인파형 투과유속 연속운전(Sinusoidal flux continuous operation; SFCO)방법을 적용하였다. 운전변수으로는 Aeration 을 0, 100, 300 및 500 cc/min으로 변화시키면서 각 조건에 대한 막 오염 정도를 측정하였다.

      • MBR 내 침지식 정밀여과막의 막오염 및 임계투과유속

        정도인,김건우,김은수,정건용 한국막학회 2016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6 No.05

        하수처리장 반송슬러지를 채취한여 안정시킨 후 같은 평막 모듈 2개를 침지 시키고 각각의 막에 기존 MBR 공정인 FR (Filtration/Relaxation) 운전방식 및 연속운전을 적용시켜 막에 손상이 가지않을 정도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운전 하였다. 이후 여러 가지 물리적 세척방법을 적용하여 막을 세척하는 실험을 반복하여 각 세척법에 대한 가역오염 기울기를 측정하였다. 또한 막에 대한 임계 투과유속을 측정하여 실험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막은 P사의 평막이며 공칭세공크기 0.4 μm이며 막 면적은 약 0.02 m2이다.

      • KCI등재

        지방분권 인식 정도가 정부간 관계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분쟁조정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창진(金昌珍),정도효(丁度驍),홍성우(洪性佑) 한국지방자치학회 2019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31 No.3

        본 연구는 지방분권에 대한 인식이 정부 간 관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정부 수준(level)별로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더불어 분쟁조정제도에 대한 인식이 지방분권 인식 정도와 정부 간 관계 인식을 매개하는지에 대한 효과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로는 지방분권 인식 정도와 종속변수로는 정부 간 관계에 대한 협력 정도 인식 수준을, 그리고 분쟁조정위원회에 대한 인식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고, 자료는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설문자료(2017)를 활용하였다. 분석은 먼저, 정부 수준별로 정부 간 관계의 인식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분권화에 대한 인식이 정부 간 관계 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기 위해 서열 로짓 모형(Ordered Logit Model)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분쟁조정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분산분석의 경우에는 정부 수준별로 분권화와 분쟁조정제도, 정부 간 관계의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서열 로짓 모형의 경우 중앙-광역-지방의 순으로 수준이 내려갈수록 분권화와 정부 간 관계가 부정적이었다. 아울러, 분권화 요인에서는 기능적 요인과 재정적 요인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정부 간 관계 인식도 긍정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에서는 분쟁조정위원회의 매개효과가 전체 공무원과 중앙공무원에서만 유의하였으며, 광역과 기초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지방분권 및 정부 간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능적 요인과 재정적 요인에 대한 우선적인 고려가 있어야 하고, 분쟁조정위원회의 상황에 따른 유연한 운용이 필요함을 정책적 함의로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decentralization on the perception of intergovernmental relationships by government level. In addition, it was also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decentralization on whether recognition of the Dispute Settlement System mediated recognition of intergovernmental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decentraliz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level of recognition of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s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recognition of the Dispute Resolution Committee as a mediating variable were set and the survey data (2017) of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was utilized. First of all,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by government level, and the Ordered Logit Model was used to identify how decentralization perceptions affect intergovernmental relationships. Finall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Dispute Resolution Committee. As a result, in the analysis of vari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decentralization, the dispute settlement system, and intergovernmental relations by government level. In the case of the Ordered Logit Model, decentralization and intergovernmental relations became negative as the level of Central – Metropolitan - Local level decreased. In addition, the more perceptions of functional and financial factors in the decentralization factors, the more positive the perception of intergovernmental relations.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ediation effect of the Dispute Resolution Committee was significant only in all public officials and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and not in the metropolitans and Local autonomie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the functional and financi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s the main factor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decentralization and governments and the Dispute Resolution Committee needs flexible operations depending on the situation.

      • KCI등재

        세척용 구형입자 순환에 따른 활성슬러지내 침지식 평막의 막간차압

        정도인,민지수,이수민,정건용 한국막학회 2018 멤브레인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순수와 유사한 밀도의 세척형 구형 입자를 제작하고 순수 수조 내에서 산기량 및 입자 농도에 따른 입자의 유동 속도를 측정하였다. 세척형 구형 입자 1~3%를 MLSS 8,000 mg/L인 활성슬러지 용액에 주입하고 20 LMH 및 산기량 500 mL/min 조건에서 FR 및 SFCO 모드로 동시에 투과 실험하였다. 사용한 분리막은 유효 막면적이 90 cm2, 공칭 세공크기가 0.4 μm인 평막이다. 입자 농도가 증가할수록 TMP가 감소하였으며 FR 모드, 입자 농도 2%일 때 가장 효과적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the cleaning spherical beads with same density as water were fabricated. Bead moving velocity was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aeration rate and bead concentration in water reservoir. The permeation experiments for FR (filtration and relaxation) and SFCO (sinusoidal filtration continuous operation) modes were simultaneously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 of 1 to 3% cleaning spherical bead concentration, 20 LMH and 500 mL/min aeration rate in the MLSS 8,000 mg/L activated sludge solution. The used membrane was the 90 cm2 effective area and 0.4 μm nominal pore size flat membrane. The TMP (transmembrane pressure) decreased as the bead concentration increased, and was shown most effective in FR mode with 2% bead concentration.

      • 구형 비드 순환형 MBR 운전

        정도인,이수민,민지수,정건용 한국막학회 2017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7 No.05

        MBR(membrane bioreactor)공정에서 막 오염이 진행되면 막간차압압력(TMP, transmembrane pressure)가 증가한다. 일반적으로는 막분리 공정에서 운전/휴지(F/R, Filtration/Relaxation) 방식을 적용하여 TMP의 증가를 억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 슬러지 용액과 밀도가 유사한 구형 비드를 제작하여 MBR 하부에서 산기되는 공기와 함께 자연적으로 순환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장치의 운전에 따른 막간차압압력의 변화를 운전/휴지 방식 및 사인파형 연속 투과운전(SFCO, Sinusoidal Filtration Continuous Operation)방식을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부사+이다` 구문에 대한 연구 -`그만이다`류를 중심으로-

        정도 ( Choi Jeong-doh ),김선혜 ( Kim Sun-hye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9 국제어문 Vol.46 No.-

        이 연구에서는 `이다`와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 중 특히 부사에 초점을 맞추어 `부사+이다`가 하나의 형용사처럼 기능하는 구문들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다`와 결합한 일부 부사는 `부사+이다`가 `부사`와 `이다`의 개별의미의 합으로 이해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의미에 변화가 생긴다는 특성을 지닌다. 그리고 또 다른 특성으로는 `이다`가 선행하는 명사와 함께 재구조화를 거쳐 통사적으로 하나의 서술어처럼 기능하는 사례(`최고이다` 등)에 비추어 볼 때, 이들이 본래 그 부사로서의 용법에서는 거느리지 않던 성분을 새로이 요구한다는 특성이 있다. `부사+이다` 전체가 하나의 형용사처럼 자신만의 고유한 격틀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부사+이다`가 또 다른 하나의 특정성분을 요구한다. 이때 새로이 나타나는 성분은 실현되지 않으면 그 문장의 의미가 완전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아주`와 같은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는 특성도 지니게 된다. 이러한 특성들이 `부사+이다` 중 일부를 하나의 형용사로 파악하고자 하는 논의에 대한 근거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se adverbs which can combind `ida`, and examine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s of `adverb+ida` constructions which function as much one of adjective in sentence. The meaning of `adverb+ida` is not the sum of meaning of the `adverb` and the meaning of `ida`, and is changed. In addition, these constructions need specific constituent that the adverb originally does not need when it functions as only adverb. In short, these constructions have their own case frame like other adjectives. In this case, it thought that the meaning of the sentence can not become complete if the constituent needed by `adverb+ida` construction does not appear. And these `adverb+ida` constructions can be modified by degree adverb like `Aju`. It might seem that these characters of `adverb+ida` construction can be one of basis for the claim that these construction is worthy being treated as adjective.

      • MBR내 침지식 중공사막의 SFCO 투과특성

        정도인,정승희,이솔,정건용 한국막학회 2015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5 No.11

        분리막 생물반응조내에 정밀여과용 중공사막을 침지시키고 운전시간에 따른 막간차압(TMP)을 측정하여 막 오염 저감효과를 확인하였다. 사용한 분리막은 유효단면적이 0.01m²이고 공칭세공크기가 0.45μm인 중공사막이었다. 운전방식은 기존 운전/휴지(F/R)방식과 연속적으로 처리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개발한 사인파형 투과유속 연속운전(Sinusoidal flux continuous operation; SFCO)방법을 적용하였다. SFCO운전방법이 기존의 F/R방식보다 투과유속이 낮을 경우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