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학의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고용의 결정요인들에 관한 연구

        정대훈(Daehun Chung),신동엽(Dongyoub Shin)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6 産業關係硏究 Vol.26 No.3

        전 세계적으로 비정규직이 확대되면서 이에 관련된 연구도 신속하게 발전해 왔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인적자원관리나 노사관계의 관점에서 조직 내부요인들을 중심으로 비정규직 고용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했고, 비정규직 고용의 급속한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수준의 특성이나 제도적 수준, 환경 수준의 특성 등과 같은 거시 조직이론적 요인들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거시 조직이론의 관점에서 조직이 왜 비정규직 고용을 확대하며 축소하는지를 조직 내부의 요인이 아닌 보다 거시적인 수준에서의 요인들의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모형은 거시 조직이론의 주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제도이론과 환경적합성이론, 그리고 지위이론과 기업행동이론을 통합하여 비정규직 고용을 설명한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 211개의 국내 4년제 종합대학교들의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고용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사회담론과 환경 불확실성이 거시적 요인으로서 비정규직 고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 효과는 개별 조직의 지위와 성과피드백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With the worldwide diffusion of contingent employment in recent years, academic inquiries of this issue also have rapidly increased. Nevertheless, prior studies focused mostly on intra-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contingent employment from HRM or IR perspectives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potential effects of more macro-level factors such as organizational,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level factors, which have been studied primarily in the field of macro organizational theory. In this regards, this paper examines the potential effects of macro-level determinants on contingent employment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non-tenure track faculty in Korean universities. The research model of this paper draws on various theoretical paradigms of macro organization theory such institutional theory, contingency theory, status theory and behavioral theory of the firm. The results of our empirical study that analyzed the macro determinants of non-tenure track faculty in 211 Korean universities 2007-2013, the employment of non-tenure track faculty turned out to be affected significantly by social discourses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Moreover, we also found that the effects of the two variables are moderated by organizational status and performance feedback. Gener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기업 다운사이징에 대한 전략적 접근

        정대훈(Daehun Chung),신동엽(Dongyoub Shin)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7 産業關係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기업 다운사이징을 일으키는 결정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운사이징은 위기에 봉착한 기업들이 우선적으로 내리는 의사결정 중 하나로서, 기업의 대표적인 조직변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경제적 관점에서 다운사이징을 설명해 왔는데, 기업이 효율성을 높이고 경제적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그리고 환경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합리적 의사결정으로서 다운사이징을 실시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해는 기업의 경제적 동기가 경우에 따라 다운사이징을 억제할 수도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고 있으며, 동시에 기업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그러한 경제적 동기를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간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조직학습이론의 관점을 적용하여 기업 다운사이징에 대한 보다 동태적인 연구모형을 제시한다. 조직학습이론은 조직의 행동이 성과목표로부터의 성과피드백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 보는데, 본 연구는 이 관점에서 기업이 규모 성장과 수익성이라는 복수의 성과목표들을 가지고, 이 목표들로부터 어떤 성과피드백들을 받느냐에 따라 다운사이징을 실시하는 정도가 달라질 것이라 예측한다. 2000년부터 2014년까지 15년의 관측기간 동안 323개의 국내 조선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회귀분석결과, 기업규모가 목표치보다 클수록, 수익성이 목표치보다 낮을수록 기업의 다운사이징 규모는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익성 목표가 만족되었을 때 기업은 규모성장 목표를 고려하여 다운사이징 의사결정을 내리지만, 수익성 목표가 만족되지 않았을 때는 기업규모에 상관없이 다운사이징 규모를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의 시사점 및 한계점은 논의와 함께 제시되었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corporate downsizing. Downsizing is one of the typical types of organizational change, which firms faced with a crisis put on priority. Although there has been a substantial body of research analyzing firms’ downsizing decision in terms of economic perspective, the existing researches have excluded the possibility of that firms’ economic incentive can deter downsizing in certain situations. Furthermore, these studies have not taken it into consideration that firms’ economic incentive can change by interactions with environments. In this regard, we suggest a theoretical model applying the view o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that consider organizational change as a result of search activity depending on performance feedback. In this view, we predict that firms’ downsizing decision depends on their own performance feedback. Specifically, we argue that firms downsize to achieve two goals - growth and profitability - respectively and exhibit different patterns of downsizing up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oals. To empirically test our hypotheses, we use longitudinal data of Korean shipbuilding firms during 2000-2014.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firm size intensifies downsizing when a firm achieves above aspiration level, while the firm profitability intensifies downsizing when under aspiration level. Moreover, we found that the extent to which the expansion of a firm’s downsizing sca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m is enlarged only when its financial objectives are satisfied, and that a firm not financially successful expands the scale of the downsizing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firm.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future research agenda are discussed.

      • KCI등재

        조직탐색모형의 확장: 한국 조선산업의 연구개발(R&D)에 대한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정대훈(Chung, Daehun),신동엽(Shin, Dongyeob) 한국인사관리학회 2017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1 No.2

        조직학습이론은 조직탐색모형을 바탕으로 조직변화와 혁신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논의해왔다. 즉, 조직이 성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문제해결형 탐색을 일으키고, 보유한 여유자 원으로부터 여유자원 탐색을 일으켜 연구개발투자를 강화함으로써 혁신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하지만 기존 조직탐색모형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는데, 첫째로 성과문제가 오히려 위협에 대한 경직성을 일으켜 연구개발투자를 위축시킬 것이라는 관점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고, 둘째로 높은 성과가 조직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설명이 제시되지 않았다. 셋째로 여유자원 탐색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관리자의 인지가 미치는 역할을 간과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위와 같은 한계들을 보완한 대안적인 조직탐색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부정적인 성과피드백과 연구개발투자 사이에 곡선형 관계를 예측함으로써 상반된 관점들을 통합한다. 또한 본 연구는 긍정적인 성과피드백이 관리자의 자신감을 강화시킴으로써 연구개발투자를 줄이는 의사결정을 이끌어낼 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는 여유자원 탐색을 약화시키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측한다. 2000년에서 2014년까지 323개의 국내 조선업체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종단 분석 결과, 본 연구가 제시한 모든 가설들이 지지되었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R&D decision making by applying organizational search model o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In terms of the organizational search model, decision makers cause an organizational change through both problemistic search from performance evaluation and slack search from financial slack.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on the organizational search model. Firstly, some empirical researches have not supported problemistic search in terms of the threat rigidity perspective. Secondly, the existing model lacks understanding of how a positive performance feedback affect an organizational change. Finally, the existing search model could not explain that there is a certain difference in facilitating slack search even though organizations possess the same level of slack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n alternative organizational search model. More specifically, we predict that there is a curvilinear relationship between a negative performance feedback and R&D expenditure to reconcile two perspectives. Furthermore, we posit that the positive performance feedback has negative effect on R&D expenditure, and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slack and R&D expenditure. To verify our hypotheses,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using data of Korean shipbuilding firms during 2000-2014, and all hypotheses were strongly supported.

      • KCI등재

        세 유형의 사회적 열망수준과 조직의 탐색활동: 한국 조선산업의 연구개발투자를 중심으로

        정대훈(Daehun Chung),신동엽(Dongyoub Shi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9 인사조직연구 Vol.27 No.1

        조직학습이론은 기업이 성과평가를 토대로 연구개발투자와 같은 탐색활동을 강화시키거나 제한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해왔다. 기업은 열망수준을 기준으로 성과평가를 수행하는데, 특히 그 결과가 부정적으로 나타날 때 문제해결을 위한 탐색활동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은 다양한 조건과 맥락 하에서 이 논의를 입증해왔는데, 기업은 산업의 평균 성과나 경쟁자들의 성과, 그리고 시장주도기업들의 성과보다 자신의 성과가 낮을 때 연구개발투자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기업은 다양한 비교대상들을 참고하여 성과평가를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기업이 사회적 열망수준의 준거들 중 어떤 비교대상을 우선시하는지, 그리고 어떤 비교대상을 참고한 성과평가가 탐색활동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시도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업이 자신의 성과를 다른 기업들의 성과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내린다는 사회적 열망수준을 비교대상별로 세분화하여 기업의 탐색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먼저 산업의 평균 성과, 경쟁기업들의 성과, 그리고 시장주도기업들의 성과 각각을 기준으로 한 기업의 성과평가가 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다음, 각각의 영향이 기업이 속한 산업의 경기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본 논문은 각각의 비교대상을 기준으로 한 성과평가의 결과가 부정적일 때 기업의 탐색활동은 강화되지만, 경기가 호전될수록 산업의 평균 성과가 갖는 영향은 약화되는 반면, 경쟁기업들과 시장주도기업들의 성과가 갖는 영향은 강화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가설검증을 위해 본 논문은 한국 조선산업의 266개 기업들의 2000년부터 2010년까지의 연구개발투자 자료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비교대상보다 성과가 낮을수록 기업의 연구개발투자가 강화될 것이라는 예측이 지지되었으며, 산업의 경기에 따른 차별적 영향은 산업 평균 성과와 경쟁기업들의 성과에 한해서만 지지되었다. 결과에 대한 요약과 논의, 연구의 학문적·실용적 기여점과 한계점이 제시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three social aspiration levels on search activities.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has explained how firms change search activities such as R&D investment depending on performance feedback. That is, the firm evaluates its performance in comparison to aspiration level, and increases search activities at lower-than-aspiration-level performance to solve the performance problem. Prior studies have examined this argument in various conditions and contexts. In terms of social aspiration levels, there can be various references with which the focal firm constructs its social aspiration level, such as average performance of the industry, competitors’ performance, and market leaders’ performance. Nevertheless,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n search activities among these different social aspiration levels based on different references has received scant attention in the existing literature.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how the firm’s performance evaluations based on various different social aspiration levels affect search activities differently. We examine how the firm’s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each of the three social aspiration levels affects its R&D investment, and whether and how the effect changes depending on economic condition. We predict that negative performance feedback from each of the three social aspiration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irm’s search activities, but the effect will decrease differently depending on economic condition. That is, we predict that in an economic boom, while the effect of industry-average performance as a normative goal will decrease, the effect of competitors’ performance as a competitive goal and market leaders’ performance as a technological goal will increase. To test our hypotheses, we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using original panel data of the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from 2000-2010. Most of the hypotheses were supported. Contribution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Scandal and Name Change: Organizational Identity and Transgressional Sources of Name Change

        정대훈(Daehun Chung),노그림(Grimm Noh) 한국인사조직학회 2021 인사조직연구 Vol.29 No.3

        조직의 명칭은 조직정체성을 대표하는 핵심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조직들은 매우 중요한 사유가 없는 이상 조직 명칭을 바꾸는 의사결정을 쉽게 내리지 않는다. 본 논문은 조직정체성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스캔들에 휘말린 조직들이 이러한 위협을 벗어나기 위하여 조직 명칭을 변경하는 경우를 관찰하였다. 조직 내부의 위법행위 혹은 도덕적 비판을 받을 수 있는 행위가 미디어에 의해 알려지게 되었을 때 이로 인한 스캔들은 조직 이미지와 평판에 심각한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조직은 조직정체성이 위협받는 상황을 회피하거나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 이때 실행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명칭 변경을 들 수 있다. 조직은 조직을 대표하는 명칭을 바꿈으로써 청중(audience)에게 조직의 변화의지에 대한 신호(signal)를 보낼 수 있으며 이미 손상된 조직정체성의 재건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논문은 1997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에 소재한 모든 대학들의 명칭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학 혹은 대학조직 내 일부 구성원이 스캔들과 관련이 되었을 때 이러한 상황이 대학명칭 변경에 영향을 미쳤는지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의하면 스캔들에 휘말린 대학은 대학 명칭을 변경할 가능성이 높으나, 이 가능성은 대학의 정체성의 특징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지역기반 정체성을 가진 대학의 경우에는 스캔들이 대학 명칭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규범기반 정체성을 가진 대학이나 특성화기반 정체성을 가진 대학의 경우 스캔들이 대학명칭 변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분석 결과가 조직정체성 관련 이론에 대해 갖는 함의를 토론한다. Since a name embodies the core of organizational identity, organizations seldom change their names without a compelling reason. This paper suggests that organizations may choose to change their names when they experience a serious threat to their identity, such as a scandal. As the news of an organization’s transgression is covered and amplified into a scandal by the media, the scandal damages the reputation and image of the organization as perceived by the public. Organizations employ various means to protect their organizational identity from this kind of threat, one of which is changing the name of the organization. Through organizational name change, organizations can signal to the public or their target consumers that they are genuinely trying to reform themselves, and also reconstruct their tainted organizational identity. This study examines all name-change events undertaken by Korean universities between 1997 and 2014. Our empirical analyses showed that universities involved in scandals were indeed more likely to change their names compared to universities without such experiences. However,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candals and organizational name changes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organizational identity. The results of our empirical study suggest that the tendency to change an organizational name is weaker in organizations with a regional identity, and stronger in organizations with a norm-based identity or a specialist identit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ith regard to organizational identity.

      • KCI등재

        규범적 동형화의 두 가지 원천: 전문지식과 매체를 통한 입학사정관제 확산을 중심으로

        정대훈(Chung, Daehun),신동엽(Shin, Dongyeob),김선혁(Kim, Sunhyuk)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4

        새로운 관행과 제도의 확산은 다양한 이론들에 의해 이해되어왔지만, 신제도이론은 이 같 은 사회현상을 효과적으로 설명해내는 대표적인 조직이론이다. 특히 새로운 사회적 요소를 뒷받침하는 규범이 강화되면서 확산이 가속화된다는 규범적 동형화 논의는 다양한 경험적 맥 락들에 적용되어 그 설명력을 인정받아왔다. 하지만 다른 동형화 메커니즘들에 비해 규범적 동형화의 세부 논의들은 여전히 초기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며, 동형화 과정에서 매체의 역할이 무엇이며 행위자들의 상이한 반응이 나타나는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한 이론화가 이뤄 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규범적 동형화와 관련된 그간의 논의들을 통합하고 반영 하는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본 연구는 규범을 그 원천에 따라 전 문지식기반 규범과 매체기반 규범으로 구분한 뒤, 각각의 규범이 어떤 메커니즘으로 신규제 도의 확산에 기여하는지를 논의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이 같은 규범적 동형화가 조직의 특성 인 지위와 자원의존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주어질 것으로 본다. 위 논의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국내 입학사정관 제도의 확산에 주목한다. 2007년부 터 정책적으로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는 기존의 계량적 평가 중심의 입시제도와는 질적으로 다 른 혁신적인 제도로서, 오늘날에는 100여개가 넘는 대학들이 이 제도를 통하여 학생들을 선 발하고 있다. 이 제도의 영향력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확산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규범적 동형화의 확장된 이론적 모형을 적용하여 국내 대학들의 입학사정관제 확산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제공함과 동시에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 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국내 226개의 4년제 종합대학교들의 입학사정관제 채택에 대한 종 단자료를 활용하여 이분형로짓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전문지식에 기반한 규범의 강화는 대학들의 입학사정관제 채택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둘째, 매체를 통해 형성되 는 규범의 강화는 대학들이 입학사정관제를 채택할 가능성을 높인다. 셋째, 매체기반 규범의 영향은 대학의 지위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며, 마지막으로 전문지식기반 규범의 영향은 대학 의 자원의존성에 따라 증가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규범적 동형화의 두 원천들을 규명하고 있으며, 어떤 대학이 어떤 규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여 입학사정관제를 채택하는지를 밝히 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Even though various theories have attempted to explain the diffusion of new practice, the neo-institutional theory describes the phenomenon best. According to the theory, when a social norm is strengthen, the diffusion of new practice is accelerated. This diffusion mechanism is called ‘the normative isomorphism.’ However, in comparison to other isomorphism mechanisms, the discussion of normative isomorphism has been relatively stagnant and could not explain what a role of media is in the process of isomorphism. Futhermore,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n how actors react to the normative isomorphism differently. Thu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theoretical model answering above research questions.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distinguishes a professional knowledge-based norm and a media-based norm according to its source and discusses how each norm contributes the diffusion of new practice. Moreover, we predict that the effect of normative isomorphism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organizational status and resource dependency. To verify above discussions, we focused o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n Korean universities. In spite of importance of the system, the diffusion mechanism of the system is still unknown. Therefore, this paper will offer a systemic understanding of the diffusion mechanism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n Korean universities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by applying an extended theoretical model of normative isomorphism. We conduct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longitudinal data of 226 Korean universities during 2007-2013,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 professional knowledge-based norm increases the likelihood of adoption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n Korean universities. Secondly, a media-based norm have a positive effect on Korean universities’adoption of the system. Lastly, the effects vary with organizational status and resource dependency.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future research agenda are discussed.

      • KCI등재

        공공조직의 공공성에 대한 시장논리와 전문가 집단, 노동조합의 영향 : 지방의료원의 공공의료 활동을 중심으로

        정대훈(Daehun Chung),신동엽(Dongyoub Shin)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인사조직연구 Vol.28 No.1

        공공조직의 공공성과 수익성의 관계를 다룬 최근의 연구들은 이 목표들이 상충되지 않고 상호보완적 관계를 가진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 관계에 대한 경험적 증거는 여전히 명확하지 않으며, 두 성과지표들 간의 인과관계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도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조직이 실제 수익성을 강화하려는 과정에서 공공성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를 논의하고 이를 입증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공공조직이 시장논리를 받아들이는 정도에 따라 공적 활동이 달라질 것이라 본다. 공공조직이 시장논리를 강하게 받아들일수록 수익성을 개선하려는 활동들에 많은 자원들이 투입되고 공적 활동에 대한 구성원들의 관심이 감소한 결과로 공공조직의 공적 활동은 위축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시장논리의 이러한 영향이 공공조직 내 전문가 집단과 노동조합의 활동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 본다. 전문가들의 활동은 공적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들은 자율성을 보호하기 위해 시장논리를 약화시킴으로써 공적 활동의 강화에 간접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노동조합의 활동 역시 공적 활동을 약화시킬 수 있지만, 이들은 권력기반을 유지하기 위해 시장논리를 약화시킴으로써 공적 활동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이 논의들을 입증하기 위하여 국내 34개 지방의료원들의 공공의료 활동에 대한 패널자료들을 수집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지방의료원의 시장논리가 강화될수록 공공의료 활동은 감소하였으며, 지방의료원 내전문가 집단과 노동조합의 규모가 증가할수록 공공의료 활동은 감소하였다. 하지만 전문가 집단과 노동조합의 규모가 증가할수록 시장논리가 공공의료 활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조직의 공공성에 시장논리와 하위집단들이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공공조직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Recent studies on public organizations have generally regarde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ness and profitability as complementary rather than mutually conflicting. Nevertheless, not only does empirical evidence on this thesis remain scarce but also the causality between them has yet to be clearly identified.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ublic organizations’ pursuit of profitability on their publicness. In particular, public organizations’ public activities vary depending on market logic. We argue that the pursuit of profitability by public organizations negatively affects their public activities due to market logic’s negative effect on investment and interest in public activities. We further argue that the effect of market logic will vary depending on professionals and unions within the public organizations. Even though professionals and unions can directly weaken public activities, they are also likely to weaken the effect of market logic, as it constrains professional autonomy and agitates a union’s power base. As a consequence, both of them will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market logic on public activities by public organizations. In order to empirically test our arguments, we analyzed panel data from 34 Korean public hospitals, which supported all of our hypothese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on public organizations and the contradictory nature of public organizations.

      • KCI우수등재

        조직학습과 지위

        정대훈(Daehun Chung),신동엽(Dongyoub Shin) 한국경영학회 2016 經營學硏究 Vol.45 No.5

        This paper examines whether and how status moderates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learning, which is the key adaptive mechanism to environmental feedbacks, on R&D investment. Most existing learning papers on R&D analyzed the effects of experiential learning and/or vicarious learning on R&D expenditures. However, those existing studies paid scant attention to the fact that such effects from the two types of organizational learning often varied across organizations. To explain this variation, the current paper focuse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tatus which we view as the main cause of such differences of learning effects across organizations. That is, we predict that organizational status will reduce the effects of experiential and vicarious learning on R&D investment. To test the hypotheses empirically, this paper analyzed an original data-set of Korean universities’ R&D investments 2007-201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ll the hypotheses were supported.

      • KCI우수등재

        조직근접성과 신규제도의 채택 간의 관계

        정대훈(Daehun Chung),신동엽(DongYoub Shin) 한국경영학회 2017 經營學硏究 Vol.46 No.6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how organizational proximity affects the adoption of a new practice. Researchers have argued that a proximity between actors may facilitate interactions, networking, and innovation. Referring to social learning and network perspectives, some researchers suggest that a social proximity between actors becomes closer when the actors belong to same social class. From the market perspective, others argue that actors’ market niches are overlap when the actors deal with a similar customer group, and that this overlap is similar in concept to a ecological proximity. However,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how two types of proximity inter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our goal is to suggest a theoretical framework considering interaction effect between social proximity and ecological proximity. Specifically, we discuss how each proximity affects the adoption of a new practice and how organization makes a decision when considering two type of proximity simultaneously. To verify above discussions, we conducted a probit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of Korean universities during 2007-2014, and all hypotheses are strongly supported. The summary an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벤처기업 CEO와 종업원들의 지식격차와 외부학습활동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강지훈 ( Jihoon Kang ),정대훈 ( Daehun Chung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0 기업경영리뷰 Vol.11 No.2

        본 연구의 목표는 벤처기업 내부의 지식격차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벤처기업의 혁신성은 여러 요인들의 영향을 받지만 그 중에서도 중요한 것은 구성원들 간 지식이전이다. 구성원들의 지식이 활발하게 교류되고 공유될 때 새로운 조합으로서의 혁신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하지만 벤처기업의 CEO와 종업원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지식격차는 이 같은 지식이전을 저해함으로써 벤처기업의 혁신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그 영향은 벤처기업이 외부에서 수행하는 학습활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그 학습활동이 종업원들의 혁신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지식격차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기 때문이다. 이 논의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81개의 한국 중소벤처기업들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벤처기업 내 구성원 간 지식격차가 클수록 혁신성과에는 부정적이며, 조직은 직접학습 및 간접학습을 통해 지식격차의 부정적 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knowledge gaps between CEO and employees on venture firm’s innovation performance. Venture firm’s innovation is affected by several factors, but the most important is knowledge transfer among members in a group. Knowledge gap between the CEO and employees of venture firms can negatively affect the innovativeness of venture firms by hindering knowledge transfer. However, the impact may vary depending on the firm’s external learning activities performed, because the learning activities moderate the negative impact of the knowledge gap by bridging the innovation capacity of employees. To verify the above discussions, this study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on 2,081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firm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verified that the bigger the knowledge gap between ceo and employees, the more negative for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e venture firm can mitigate the negative effect of the knowledge gap through direct and indirect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