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군용 직렬형 HEV의 주행 전략에 따른 연비 성능 비교에 관한 연구

        정대봉(Daebong Jung),김형준(Hyungjun Kim),강형묵(Hyungmook Kang),박재만(Jaeman Park),민경덕(Kyoungdoug Min),서정일(Jung-il Seo) 대한기계학회 201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1 No.6

        군용 차량은 일반 차량에 비하여 높은 기동 성능 및 정숙성을 요구한다. 또한 최소의 연료보급으로 최대의 작전 수행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시리즈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 모터만을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하므로, 정숙성이 뛰어나고 초기 기동 토크가 커 구동 성능이 뛰어나다. 또한 하이브리드화를 통하여 연비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시리즈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배터리 SOC 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엔진과 발전기로 이루어진 발전 시스템에서 전기를 생산하여 차량 구동에 이용하거나 배터리를 충전한다. 발전 시스템의 작동 여부와 작동 영역을 결정하는 것이 시리즈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전략이며 이 주행전략에 따라 연비 성능에 차이가 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주행 전략을 비교/평가함으로써 군용 시리즈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비 성능을 최대로 높일 수 있는 주행 전략을 제안하였다. The military vehicle, compared to a conventional vehicle requires higher driving performance, quietness and longer driving distance with minimal fuel supply. The 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 can be driven with no noise and has high initial startup performance because it uses only traction motor which has high startup torque to drive the vehicle Moreover, the fuel economy can be improved as vehicle is hybridized. In 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 the electric generation system which consists of engine and generator supplies electric energy to battery or traction motor as vehicle driving states and battery SOC. The control strategy determines the operation of generation system. Thus, the fuel economy of the 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 is changed depending on which control strategy is applied to vehicle. In this study, the control strategy which shows the best fuel economy is suggested by comparing 3 control strategies.

      • KCI등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군용 직렬형 HEV 의 주행 전략에 따른 연비 성능 비교에 관한 연구

        정대봉(Daebong Jung),김형준(Hyungjun Kim),강형묵(Hyungmook Kang),박재만(Jaeman Park),민경덕(Kyoungdoug Min),서정일(Jung-il Seo) 대한기계학회 2012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6 No.1

        군용 차량은 일반 차량에 비하여 높은 기동 성능 및 정숙성을 요구한다. 또한 최소의 연료 보급으로 최대의 작전 수행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시리즈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 모터만을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하므로, 정숙성이 뛰어나고 초기 기동 토크가 커 구동 성능이 뛰어나다. 또한 하이브리드화를 통하여 연비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시리즈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배터리 SOC 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엔진과 발전기로 이루어진 발전 시스템에서 전기를 생산하여 차량 구동에 이용하거나 배터리를 충전한다. 발전 시스템의 작동 여부와 작동 영역을 결정하는 것이 시리즈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전략이며 이 주행전략에 따라 연비 성능에 차이가 난다. 본 연구에서는 Thermostat, Power-Follower, Combined 주행 전략을 비교/평가 하였으며 새롭게 제안한 Combined 주행 전략을 통하여 기존 차량 대비 37%의 연비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Military vehicles, compared to conventional vehicles, require higher driving performance, quieter operation, and longer driving distances with minimal fuel supplies. The 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 can be driven with no noise and has high initial startup performance, because it uses only a traction motor that has a high startup torque to drive the vehicle. Moreover, the fuel economy can be improved if the vehicle is hybridized. In 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s, the electric generation system, which consists of an engine and a generator, supplies electric energy to a battery or traction motor depending on the vehicle driving state and battery state of charge (SOC). The control strategy determines the operation of the generation system. Thus, the fuel economy of the 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 relies on the control strategy. In this study, thermostat, power-follower, and combined strategies were compared, and a 37% improvement in the fuel economy was implemented using the combined control strategy sug gested in this study.

      • KCI등재

        靑銅器時代早期二重口緣土器의 觀察

        정대봉(Jung, Dae Bong) 한국상고사학회 2015 한국상고사학보 Vol.89 No.-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청동기시대의 시작과 함께 등장하는 이중구연토기는 청동기시대 早期부터 前期까지 장기간 존속하는 토기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중구연토기의 장기존속에도 불구하고 계통과 분류가 분명치 않아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돌대문계토기와 공반하며 (석상)위석식노지를 갖춘 대형 (장)방형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이중구연토기의 계통은 크게 조기의 古式과 전기의 新式으로 구분되고 古式은 다시 조기전반의 재지계와 외래계로 분류 할 수 있다. 조기전반으로 편년되는 고식의 재지계이중구연토기는 상촌리식토기와 같이 점토띠를 기벽에 두르는 형태로 제작되고 외래계는 요동계이중구연토기와 같이 점토띠 자체가 구연단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고식이중구연토기는 초창기 모습인 조기전반의 사례만 확인될 뿐, 한반도남부지역에서 어떠한 변화과정을 거치면서 전기 가락동식토기로 변모하였는지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편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고에서는 진주 평거 3–1지구 유적에서 출토되는 이중구연토기군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조기전반의 고식이중구연토기와 형태적 차이점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중구연부의 제작기법은 구연단을 꺾어 접는 방식으로 제작한 것이 밝혀졌고 이러한 제작방법 및 외형적 특징은 서북지역 및 동북지역에서 전혀 확인되지 않는 방식이며 이는 원형에서 다소 변형한 형태로 파악된다. 요컨대, 이러한 제작방식은 조기 전반 외래계 古式이중구연토기가 서북지역에서 한반도 남부지역으로 남하하면서 변형된 고유의 형태로 파악되며 중심연대는 조기 후반에 속하며 이를‘평거동식이중구연토기’로 지칭하여 구분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즉, 고식이중구연토기는 조기전반 이중구연부를 별도로 제작하는 방식(재지계/외래계)에서 조기후반 이중 구연부를 꺾어 접는 방식으로 변형한 다음, 최종적으로 전기의 가락동식토기로 완전히 재지화되는 양상으로 파악한 것이다. It is a double-rimmed pottery and Doldaemun pottery which is marking a beginning of early Bronze Ag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material culture of Early Bronze Age has been identified by increasing data and continuous research. It is that their origin is from northwestern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ome is from the northeast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so far the Research trends have been focused on typical Doldaemun pottery and now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ouble-rimmed pottery in early Bronze Age. Therefore, in this paper, I looked up the meaning of the double-rimmed pottery, and making a classifying between double-rimmed pottery by old and new type. An old type double-rimmed pottery is also divided traditional type and exotic type. Meanwhile, according to the most recent data, it is so difficult to divide double-rimmed pottery or Doldaemun pottery. Because of morphological resemblance. So I suggested that the way of division metho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lso I made a conclusion the origin of these pottery is individual variation of northwestern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So, to propose naming of these new type of double-rimmed pottery to “double-rimmed pottery of Pyunggeodong type”, It appears only early Bronze Age in the Nam river basin in sou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 Series HEV Bus에서의 발전 시스템 최적화에 관한 연구

        정대봉(Daebong Jung),민경덕(Kyoungdoug Min),조용래,임용수(Yongsoo Lim)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11

        For improving fuel economy and emissions, many studies of HEV have been conducted. However, most of studies of HEV are concentrated on parallel or power split type HEV. It should be noted that series type HEV has some advantages comparing with that of parallel or power split type. One is that the engine is operated in high efficiency area since the engine and drive shaft are decoupled. Nevertheless of that advantages, optimization about powertrain system of series HEV was not considered precisely. So, in this study, optimization of generation system of series HEV was conducted based on series HEV bus. The main objective is to simulate and compare the fuel economies of conventional generation system and system which is considering about engine and generator simultaneously. The simulation algorithm us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optimal control theory, Dynamic Programming. Optimized generation system shows improved fuel economy about 2% comparing with non optimized generation system.

      • KCI등재

        청동기시대 조기 移住와 定着의 고고학적 현상과 의미

        정대봉(Jung, Dae Bong) 부산고고학회 2016 고고광장 Vol.- No.18

        본고는 우리나라 선사시대에 최초로 나타나는 청동기시대 조기 이주와 정착에 관한 현상을 이론적 접근을 통해 밝히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은 文化變動을 바라보는 주된 시각인 이주와 전파의 이론적 개념을 이해한 다음, 이를 한반도 중남부지역 청동기시대 조기의 물질문화에 적용하는 ‘연역적 방법’을 적용하였다. 한반도 중남부지역 청동기시대 물질문화의 형성은 청천강~압록강유역의 한반도 서북지역의 큰 영향 아래. 두만 강유역의 동북지역 문화요소가 융합하여 형성된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이 두 지역은 신석기시대에서 청동 기시대로의 전환이 연속적인데 반해, 한반도 중남부지역의 해당시기 전환기는 극히 단절적인 것이 사실이다. 현재 까지의 자료로 보는 한, 확실한 점은 한반도 중남부지역의 신석기시대 종말기의 상황이 뚜렷하지 않으며 이어지는 청동기시대 개시기의 유물복합체와 보이는 異質性이다. 전환기에 돌연 등장한 이런 문화변동은 前시기와 개연성이 짙은 한반도 서북지역의 그것과도 절대적인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문화변동은 한반도 서북지역 주민의 집단 ‘移住’ 가능성을 상정할 수 있다. 이는 전파와는 분명히 구별해야 할 개념이며 이러한 이주와 그 후 정착의 과정은 또 다른 문화변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고의 핵심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의 종류를 파악하고 이주를 발생케 하는 요인으로서 원거주지의 사회적 변동과 기후변동을 근거로 삼았다. 둘째, 이주 후, 정착의 고고학적 증거로 청동기시대 조기 방형주거 지의 속성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주거지의 형태 및 속성이 초기에 비해 획기적으로 변화하는 시점을 포착 하였으며, 이는 필자의 지난 토기연구 결과와도 정합하는 것으로서 청동기시대 조기 후반으로 획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주 집단과 선주민의 力關係에 따른 공간적 모델을 창출하여 한반도의 실정에 맞게 추론하였다. 이에 따르면 한반도 중남부지역 신석기~청동기시대 전환기의 공간적 모델은 ‘獨立的 土地占有’ 임을 가정하였다. This paper focus on to prove migration and settlement in early Bronze age on the Korea peninsula by theoretical approach. Method of research is to understand cultural changes and then apply deductive method on the material culture of Korea peninsula. Formation of the material culture in early Bronze age is built by direct influence of the northwestern province where is Chung chun river and Aprok river basin. On the other hand, there is continuedness among the material culture in northwestern province and northeast province, there is no probability among the material culture between the Neolithic Age and early Bronze age on the Korea peninsula. Based on current data, one thing is for sure that phenomenon of terminal period of Neolithic Age is unclear, and there are so different among the archeological materials. Change in culture of the transition period is so different by northwestern province which is highly probable of the earlier times of the Bronze age. Therefore, I think that this phenomenon on the change in culture have the possibility by migration. Moving of a group is the people who live in northwestern province of the Korea peninsula. Also, this must be subdivided by culture diffusion. Migration and settlement process can be recognized another way which grasp the meaning of the archeological materials. Major core content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on the sort and cause of migration, and then as a basis to this is social change and climate change. Second, after migration, As archeological evidence I select type of structure change process in early Bronze age on Young Seo province of Korea peninsula. As a result, I traced turning point which is changed comparing with the initial stage. And this is tally by my past studies which is presupposed in early Bronze age. Lastly, as creating spatial interaction model among the settler and indigenous people, I make a deduction apposite to the case of Korea peninsula. According to this, spatial interaction model of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early Bronze age and Neolithic age is independent land occupation. Finally, I think that it goes with the course of time, material culture of the indigenous people is dissipated.

      • KCI등재

        인센티브 여행 참가자 만족이 직무만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대봉 ( Dae Bong Jung ) 관광경영학회 2013 관광경영연구 Vol.57 No.-

        The necessity of employee`s satisfaction in the occupational atmosphere has been rapidly increased in the competitive global society and flood of information changing from moment to moment. Recently companies recently are introducing incentive travel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employee in the job areas. Therefore, in a typical travel, the journey itself is the most important, while both participants and companies` aspects are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in incentive travel. In other words, we need to study on the effect of travel satisfaction as well as satisfaction of incentive travel participant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erms of companies. This study attempts to contribute to providing the resources to the marketing strategy through the results for the impact of the job satisfa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on satisfaction of incentive travel for companies and the marketing materials when travel agency offers incentive travel products to companies.

      • xEV 배터리의 열관리를 위한 온도 예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정대봉(Daebong Jung),손동기(Dongkee Sohn),전진용(Jinyong Jeon) 한국자동차공학회 2016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6 No.5

        In recent, xEV has been emerged as alternative solution to resolve the environment problem since it can improve fuel economy and reduce exhaust gas emission. Especially, a lithium ion battery (LIB) which has higher power and energy density than other type battery is core part of xEV since it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xEV.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rmal management system is necessary to use LIB because it is very sensitive to temperature. In this study, the thermal network model which can estimate the battery temperature in the battery module or pack has been developed based on fundamental heat transfer mechanism. The target battery module consists of cells, coolant circuit, and fixing plates. Each part is modeled as thermal mass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conduction and convection models. To improve accuracy of the model, multi-mass model is applied to fixing plate and coolant circuit. The simulation results were validat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and showed good agreement by ±1℃.

      • Study on the Heat Recovery System in 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

        정대봉(Jung, Daebong),용진우(Yong, Jinwoo),김민재(Kim, Minjae),김형준(Kim, Hyoungjun),민경덕(Min, Kyoungdou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In recent, there are tremendous requirements to improve the fuel economy of vehicle. For satisfaction of requirements, Hybrid Electric Vehicle or other technologies are suggested and implemented.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almost 35% energy loss is occurred in the shape of exhaust gas as ever. For increase the efficiency of vehicle, it is certain that the exhaust gas energy should be recover, and generate energy. In previous studies, the technologies such as turbo-compound, thermoelectric and rankine cycle are suggested to recover the exhaust heat energy in vehicle. But, they focus on the conventional vehicle or parallel Hybrid Electric Vehicle. 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 has advantage that the engine and drive shaft are de-coupled. It means that the engine can be operated in high efficiency area regardless with vehicle states. Therefore, if rankine cycle is applied to 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 operating condition of that becomes almost steady. So, in this study, theoretical analysis on the efficiency of rankine cycle applied to series hybrid electric city bus is carried and the energy recovered from exhaust gas during vehicle drive cycle is calculated.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