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용 언어폭력 척도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구인동등성 검증 및 잠재평균 분석

        정다혜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1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verify construct equivalence of the Verbal Violence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by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o compare the latent means across gender and grade. Design/Methodology: For this purpose,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whether the scale had configural, metric, and scale invariance across gender and grade. Latent mea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mean differences on three factors across the groups. The number of subjects was 1,178 from fourth to sixth graders nationwide. Findings/Results: First, through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struct equivalence across gender and grade was verified. Second, the result of the latent mean analysis across gender came out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sixth grad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ans in Impulsive-aggress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than fourth and fifth graders. Value: These results imply that this verbal violence scale could be used for elementary students regardless of gender and grade.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pre-existing research in that it validates the verbal violence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by testing for construct equivalence and latent mean differences across gender and grade. 본 연구는 정다혜(2018)의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용 언어폭력 척도가 성별과 학년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사용 가능한 척도인지 검증하기 위해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인동등성 검증과 잠재평균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전국 단위의 4~6학년 초등학생 1,178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학년과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용 언어폭력 척도의 구인동등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언어폭력의 잠재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언어폭력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충동적 공격성, 자아존중감, 우울 모두 성별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년에 따른 언어폭력의 잠재평균 차이 분석 결과, 6학년 학생들이 4, 5학년 학생들보다 언어폭력의 하위요인에서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고, 그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Ginsenoside Rg3-enriched red ginseng extract inhibits platelet activation and in vivo thrombus formation

        정다혜,Muhammad Irfan Siddique,김성대,김석,오준환,박재규,김현경,이만휘 고려인삼학회 2017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41 No.4

        Background: Korean Red Ginseng has been used for several decades to treat many diseases, enhancing both immunity and physical strength. Previous studies have documented the therapeutic effects of ginseng, including its anticancer, antiaging,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ese activities are mediated by ginsenosides present in the ginseng plant. Ginsenoside Rg3, an effective compound from red ginseng, has been shown to have antiplatelet activity in addition to its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Platelets are important for both primary hemostasis and the repair of the vessels after injury; however, they also play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acute coronary diseases. We prepared ginsenoside Rg3-enriched red ginseng extract (Rg3-RGE) to examine its role in platelet physiology. Methods: To examine the effect of Rg3-RGE on platelet activation in vitro, platelet aggregation, granule secretion, intracellular calcium ([Ca2þ]i) mobilization, flow cytometry, and immunoblot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rat platelets. To examine the effect of Rg3-RGE on platelet activation in vivo, a collagen plus epinephrine-induced acute pulmonary thromboembolism mouse model was used. Results: We found that Rg3-RGE significantly inhibited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and [Ca2þ]i mobiliz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o reducing ATP release from collagen-stimulated platelets. Furthermore, using immunoblot analysis, we found that Rg3-RGE markedly suppresse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hosphorylation (i.e., extracellular stimuli-responsive kinase, Jun Nterminal kinase, p38) as well as the PI3K (phosphatidylinositol 3 kinase)/Akt pathway. Moreover, Rg3- RGE effectively reduced collagen plus epinephrine-induced mortality in mice.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ginsenoside Rg3-RGE could be potentially be used as an antiplatelet therapeutic agent against platelet-mediated cardiovascular disorders.

      • KCI등재

        과제가치, 자기효능감, 학업지연 간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다혜,임효진 한국초등교육학회 2023 초등교육연구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sk valu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mong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also investigated how grit moderated the the mediated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A total of 353 5th and 6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self-effic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valu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was not significant below one standard deviation (SD) of grit (-1SD), but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mean (M) and above one standard deviation (SD) of grit (+1S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is important to prevent academic procrastination with perceived task value. In addition, the higher the level of grit, the greater the effect of preventing academic procrastination,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grit interven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과제가치와 학업지연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매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릿에 따라 이러한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53부 중 불성실한 응답 3부를 제외하고 결측치 대체 후 최종적으로 350부의 설문지를 조절된 매개효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과제가치와 학업지연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릿 점수의 수준에 따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한 결과 그릿 1 표준편차 아래(-1SD)의 조건부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평균값(M)과 1 표준편차 위(+1SD)의 조건부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지각하는 과제가치가 학업지연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중요성과, 그릿에 의해 증폭되는 학업지연을 방지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감염병 재난대응역량에 대한 개념도 연구: 대구시의 코로나19 대응 과정을 중심으로

        정다혜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fection disaster response capacit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grasp the policy implications.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the conceptional structures are and what importance of infection disaster response capacity a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This study analyzed data taken from interviews with 4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gu. As a result, 57 final statements were extracted and 40 participants classified and rated them. The methods of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were employed to estimate and categorize dimensions and factors. Findings/Result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se characteristics as ‘individual- organization’ dimension and ‘theory-practice’ dimension. Second, they were recognized in five clusters: infectious disease response system, safety of students and teachers, education and professionalism,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and knowledge of infectious diseases. Thir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infectious disease response system’ was the highest. Fourth,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of infectious diseases’ was the lowest. Fifth, the importance of statements focused on organizational and practical aspects was high. Valu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fection disaster response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through an analysis of the conceptual diagram of infection disaster response capacit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감염병 재난대응역량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정책적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재난대응역량의 개념적 구조도와 중요도는 어떠한가이다. 이를 위해 코로나19의 위기 수준이 가장 심각한 지역인 대구시내에 근무하는 초등교사 40명을 대상으로 개념도 연구 방법을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연구 참여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57개의 최종 진술문들을 추출하고 이것을 범주화하여 평정하였다. 그리고 다차원분석과 군집분석을 하여 개념 구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교사들은 감염병 재난대응역량을 두 가지 차원인 개인-조직 차원과 이론-실천 차원에서 인식하였다. 둘째,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재난대응역량의 특성 요인은 5개 군집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염병 대응 체계, 학생 및 교사의 안전, 교육과 전문성, 관리 및 소통, 감염병에 대한 이해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들이 인식한 재난대응역량은 조직-실천 차원의 감염병 대응 체계와 관련된 특성들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넷째, 초등교사들이 인식한 재난대응역량은 개인-이론 차원의 감염병에 대한 이해와 관련된 특성들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전체 진술문에서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는 진술문들은 대부분 조직적 차원에서 실천적 측면에 중점을 둔 대응역량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공격성, 친구관계와 언어폭력 간의 관계: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한 모형 비교

        정다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교육논총 Vol.3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friendship and verbal violence based on different model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157 fourth-to-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rvey of AQ-K, Friendship Test and Verbal Violence Scale were us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compare two different models. In the first model, aggression impacts verbal violence with friendship serving as a full mediating variable. In the second model, the impact is partially mediated by friendship. Based on the final model of full mediation, higher aggression was related to lower friend bond, and lower friend bond was associated with more verbal violence. These results imply that aggression impact on verbal violence in a rather indirect fashion, with friendship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verbal violence.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공격성, 친구관계, 언어폭력 간의 관계를 모형 비교를 통해 검증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4~6학년 1,157명의 학생들의 데이터가 표집되었다.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공격성 검사, 친구관계 검사, 언어폭력 검사를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초등학생의 공격성이 친구관계를 완전 매개하여 언어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모델 1)과 공격성이 친구관계를 부분 매개하여 언어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모델 2)을 비교하였다. 최종모형(모델 1)에 의하면, 공격성이 높을수록 친구 간의 유대는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친구 간의 유대가 낮을수록 언어폭력성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격성이 언어폭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친구관계가 두 변인 간의 관계가 성립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낸 것에 의미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예금자보호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다혜,박성욱,이우성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1 No.3

        · 연구 주제: 본 연구에서는 예금자보호제도의 역할 및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예금자보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 연구 배경: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의 정부는 금융기관의 신뢰와 금융시스템의 안정을 위해 예금자보호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현제 시행되고 있는 예금자보호제도는 선착순 지급이 원칙이기 때문에 금융시스템이 불안정한 경우 대량 인출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예금자보호제도의 불안정성과 부정적 외부효과에 대응하는 수단으로 예금자보호한도액의 증액과 사전적 예금자보호제도에 관해 연구하였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본 논문은 현재 한국의 1인당 GDP를 이용하여 예금자보호한도의 적정금액을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선행연구와 달리 예금자보호한도액의 구체적인 금액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현행 예금자보호제도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사전적 예금자보호제도를 제안하고 사전적 예금자보호제도를 중심으로 제도를 개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선행연구와 차이점을 두고 있다. · 연구결과: 본 연구는 해외사례를 분석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예금자보호제도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그에 대한 보완점 및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최근 금융기관의 부실로 인해 예금자보호 한도액 조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한도 증액에 대한 내용을 검토한 후 예금자보호 한도액의 적정가액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예금자보호제도의 역효과를 차단하기 위해 사전적 예금보호제도의 방안으로 차등보험료율제도의 개편, 스트레스테스트 의무화 및 경기완충자본제도 도입을 제안하였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자본시장에서 금융기관은 자금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안전하게 거래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다시 말해 금융기관은 금융시장의 불안요소를 경감시키고 실물경제가 원활하게 운영되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금융시장은 시장지표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이 있어 여러 가지 불안요소도 내포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금융시장에 대한 과도한 불신은 예금주들로 하여금 일시에 대량으로 예금을 인출하는 뱅크런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금융 위기가 실물경기마저 급속도로 위축시켜 더 큰 사회적 혼란을 가져온다. 본 연구는 예금자보호한도액 증액과 사전적 예금자보호제도로 인해 금융시장이 보다 안정화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Research topic: Through this study, reviewing and considering the current depositor protection system, an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depositor protection system, its complementary reinforcement and ways to improve it, are suggested. · Research background: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as well as Korea are introducing a depositor protection system for the trust of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e stability of the financial system. However, since the current depositor protection system is based on first-come, first-served payments, mass withdrawal can occur if the financial system is unstable. In this study, as a means of responding to the instability and negative external effects of the current depositor protection system,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depositor protection limit and the preliminary depositor protection system were studied.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presented a specific amount of the depositor protection limit by presenting an appropriate amount of the depositor protection limit using the current GDP per capita in Korea. Furthermore, it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proposed a preliminary depositor protection system that can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current depositor protection system and a plan to reorganize the system around the preliminary depositor protection system. · Research Method: This study analyzed overseas cases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depositor protection system and presented supplementary and improvements. In particular, as the need to adjust the limit for depositor protection has been raised due to the recent insolvency of financial institutions, the appropriate value of the limit for depositor protection was presented after reviewing the increase in the limit. In order to prevent the adverse effects of the depositor protection system, it was proposed to reorganize the differential premium rate system, make it mandatory to test stress, and introduce an economic buffer capital system as a way to prevent the adverse effects of the deposit protection system.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In the capital market, financial institutions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suppliers and consumers of funds can make transactions safely. In other words, financial institutions play a role in alleviating instability in the financial market and supporting the real economy to operate smoothly. However, the financial market is characterized by being very sensitive to market indicators, which also implies various unstable factors. Representatively, excessive distrust in the financial market may cause bank runs in which depositors withdraw large amounts of deposits at once. This financial crisis causes even the real economy to shrink rapidly, causing greater social confu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he financial market become more stable due to the increase in the depositor protection limit and the preliminary depositor protection syste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