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어령의 시쓰기와 말년의 양식

        정끝별 이화어문학회 2022 이화어문논집 Vol.57 No.-

        이어령(1934~2022)은 문단 생활 50년 만에 첫 시집을 발행한 이후 2권의 유고 시(노트)집을 남겼다. 본고는 테오도르 아도르노와 에드워드 사이드의 말년성 논의를 참조하여 이어령이 말년의 양식으로 선택한 시쓰기의 의미를 고찰한다. 위대한 예술가들이 평생을 거쳐 쌓아 올린 완숙의 경지에 파문을 일으키는 파국의 양식으로 사회적 질서와 시간에 저항했듯이, 이어령도 능숙한 기존의 글쓰기를 거부하는 새로운 저항과 도전을 선택했다. 지성과 분석과 논리와 진단의 글쓰기에서 벗어나 고해성사하듯 기도하고 고백하고, 상처를 드러내 펼쳐놓고, 감각과 기억을 소환한다. 그의 시편들은 산문과 시, 에세이와 시, 동시(동화)와 시, 기도와 시, 기록과 시, 낙서와 시 사이를 넘나든다. 또한 알레고리, 아포리즘, 감각적 은유, 시각적 형태성을 시적 전략으로 삼아 기독교 신앙에 의지한 기도의 양식, 모성과 동심의 생명을 지향하는 기억의 양식, 죽음에 대한 성찰의 양식, 육필로 새긴 낙서의 양식으로 특화된다. 그에게 시쓰기는 말년에 맞닥뜨린 삶과 죽음 사이의 균열과 화해 불가능한 요소들을 기존의 글쓰기와 다른 양식으로 담아내려는 의지의 표출이며, 죽음에 둘러싸인 위대한 예술가에게 저항과 도전의 마지막 여정이자 실존적 망명에 해당한다. 기존의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글쓰기에 대한 반작용의 자리에서 탄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저항성’과, 시인이 속한 21세기라는 시대적 흐름을 거스르는 중세적·근대적 시쓰기라는 점에서 ‘부정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그의 시쓰기는 완숙의 경지에 이르렀던 위대한 예술가들이 보여준 말년의 양식에 부합한다. ‘시인 이어령’은 이어령 말년의 새로운 자아다. 그의 시에 등장하는 파편적인 기도, 기억, 성찰, 낙서의 양식은 시적 자아의 본질적 구성물이자 그 자체로 말년의 정체성이다. 말년의 예술가가 마지막으로 선택한 궁극의 양식으로서의 시쓰기는 시의 근원적 자리, 시의 위의(威儀)를 새롭게 소환한다. 시간과 생로병사라는 풀리지 않는 모순을 살아내야 하는 인간에게 그 균열을 투시하는 첨단의 언어이자, 그 모순을 대면하고 감내하고 질문하는 절정의 언어로서의 시가 21세기에도 여전히 유일하고 유효한 양식임을 보여주고 있다. After fifty years of his literary career, Lee O-young (1934-2022) remained two posthumous notes since he published his first collection of poems. With reference to Theodor Adorno and Edward Said’s discussions of lateness, this paper considers the meanings of versification, which Lee O-young opted as his late style. Like so many great artists who resisted the social order and times by their catastrophic styles which created a stir in the mature stages of their respective lifelong works, Lee O-young also opted to resist and newly challenge his existing veteran writing. Going beyond his existing intellectual, analytic, logical and diagnostic writing, Lee O-young prays and confesses, just as one does the sacrament of confession, revealing and unfolding his injuries, invoking his senses and memories. His poems weave freely through prose, essays, children’s verse (fairy tales), prayer, records, and scribbles. By his making a poetic strategy with allegory, aphorism, sensory metaphor, and visible formality, his poems are characterized as the style of prayer of the christian faith, the style of memory toward the vitalities of maternity and childish mind, the style of reflection on death, and the style of scribbles in his own handwriting. “Lee O-young as a poet” is a new self of the later part of his life. His versification is not only the expression of his will to decisively style the splits and irreconcilable elements between life and death that he faced late in life, but also an existential exile, as well as a last resistive and challengeable journey of a great artist who is surrounded by death. In its birthplace for reacting against his existing writing, his versification reveals not only “negativity” in its contradictory and alienated relations, but also “resistivity” in its opposition to the temporal stream. This versification therefore answers to the late style in the respective mature stages of great artists.

      • KCI등재

        최하림 시의 시간성과 말년성

        정끝별 국제한인문학회 2021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1

        최하림(1939~2010)은 시력 50년 동안 7권의 시집과 1권의 시전집을 남겼 다. 제7시집 이후에 쓰인 최후기 시편들(『최하림 시 전집』에 실린 ‘근작 시 (2005~2008)’ 21편)은 뇌졸중의 후유증에 더해진 간암의 발발로 인해 육체적, 정신으로 죽음이라는 절대적 고독 앞에 당면한 시기에 창작된 작품들이다. 자신 의 삶을 마감해가는 말년의 시기에 보여주었던 시인 최하림의 시쓰기 양식을 살펴보기 위해 ‘말년의 양식’이라는 개념을 참조하였다. 테오도어 아도르노에게 말년성 혹은 말년의 양식은 “당대의 유행하는 모든 것에 영원히 맞서 싸우고 화 해하지 않는 예술가의 저항적 양식”이다. 기존의 장르적 규범이나 법칙으로부터 자유로우며 당대 사회에 대한 비판적 사유를 지닌 형식을 의미한다. “예술의 역사에서 말년의 작품은 파국이다”라고 했던 에드워드 사이드의 말년성과 상통 하는 지점이다. 최하림 시의 말년성은 형태성, 자기반영성, 삽화성으로 요약된다. 행간걸침을 극대화한 1행1연시를 통해 시간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사랑과 죽음이 공존하 는 삶의 불안정성 혹은 불안성을 각인하듯 시의 형태성에 담아낸다. 또한 가난 했던 유년의 가족사를 반복적으로 소환함으로써 시인의 자전(自傳)성과 주관성 을 강화한다. 이때 시인 자신은 물론 선배 시인의 선행 텍스트들을 재맥락화하 거나 반복하는 자기반영성을 통해 리듬(노래성)과 목소리(고백성)를 극대화한다. 이뿐 아니라 단편적 회상이나 상상, 꿈, 착란 등의 삽화적 에피소드들에 의해 파 편화된 내면 풍경을 알레고리한다. 여기에는 시제나 단·복수의 혼재, 고유명사의 사유화, 부사어 활용의 극대화와 같은 과잉된 시적 장치들이 뒤섞여 있다. 이러한 시적 특징은 최하림의 전·후기시들을 통해 견지해봤던 시세계와 비교 했을 때 편차가 큰 시적 변화이자 도전이다. 이는 자신의 기존 시 문법이나 당 대의 유행이나 무엇보다 자신의 기존 시 문법의 요구에 저항한 결과로서, 급작 스러운 긴장성, 단절성, 비약성, 비연속성, 이탈성 등을 극대화된 말년의 균열과 파국의 징후들이라 할 수 있다. ‘끝’이라는 절정의 지점에서 충돌하고 분쇄하는 파열에 말년성의 본질이 있다면, 최하림 최후기 시편들에서 보이는 이러한 착종 과 균열의 시적 표현들은 ‘말년의 양식’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During his fifty years of creating poetry, Choi Harim(1939~2010) accomplished seven collections and one complete work of poetry. After his seventh collection, his latest (twenty one) poems (in The Complete Works of Choi Harim’s Poetry) were created at the period(2005~2008) when he ‘entered a settled realm of his complete individual-self in absolute solitude’ from the occurrence of his hepatoman in addition to the sequelae of his apoplexy. The concept of ‘late style’ is useful in considering his style of writing poems in his last years. For Theodor Adorno, the lateness or late style is a “resistive style of artists contending and quarrelling permanently against everything in vogue during their lifetimes.” Beyond the norms or rules of existing genre, this means a freestyle with critical thoughts about the society of the time. This corresponds to the lateness of Edward Said who said that “the late works in art history end up collapsing.” The lateness of Choi Harim’s poetry is summarized as its shapedness, self-reflectiveness, and episodicity. In its shapedness, each line per verse of some of his poems with maximized enjambement reveals the temporal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as if it inscribes the instability or Angstblüte of life in common with love and death. And it reinforces the autobiographicality and subjectivity of the poet by repeatedly summoning his poor family history in his childhood. In this point, it maximizes its rhythm(songfulness) and voice(confessionality) through its self-reflectiveness re-contextualizing or repeating precedent texts of not only the poet but his predecessors. Besides, it allegorizes his inner landscape that was fragmented by illustrative episodes such as fragmentary memoirs, imagination, dreams and deliriums. This mingles excessive poetic devices such as mixture of tense or singular and plural, privatization of proper nouns, and maximization of using adverbs. These poetic features are poetic changes and challenges deviating largely from Choi Harim’s poetic world in his early and later poems. As a result of resisting the current trend of poetry and his existing poetic grammar, these can be seen as symptoms of the maximized late cracks and ends with sudden tensity, disconnectedness, leap, discontinuity and deviation. If the essence of lateness lies in explosion to crash and crush at culminating point of the ‘end,’ these poetic expressions of intricacies and cracks in last poems of Choi Harim are able to be a ‘late style.’

      • KCI등재
      • KCI등재

        21세기 현대시와 멜랑콜리의 시학

        정끝별 한국문예창작학회 2019 한국문예창작 Vol.18 No.2

        This paper ’s purpose is a consideration with the multi-layered rhetorical constructive method in the center of how the melancholic poetics of the 21st century in intimate connection with the postmodernism or post-capitalism has manifested. This poetic symptom of melancholy not only has a distinctive feature which has reflected on a poet’s autobiographical life but also represents the lost and loneliness which the individual has usually experienced in social life. This paper has traced to how melancholy(melancholie) has operated, and what relationship it has done with the conscious of the time, in poems which have been commonly entitled a word as ‘melancholy(melancholia)’ by Korean young poets. Thus this paper has illuminated firstly the concept of melancholy and its poetic characteristic in Jin Eun-Young’s poem by distinguishing between melancholy and mourning(trauer), secondly the gaze and waiting-pose of melancholia in Jang Seok-Won’s poem by comparing it with the Melancholia I that Albrecht Dürer had engraved, thirdly the structure of melancholy which has been epitomized to a psychological process as the ‘losing its object, narcissistic regression, identifying its object with itself, ambivalence of its love and hatred, and tormenting itself’ in Whang Byung-Seung’s poem, fourthly the abyss of melancholia by observing mainly the allegorical fragments in Kwun Hyuk-Oong’s poem, and finally the everyday pose of melancholy which has been made from the metonymic desire wandering about the time of ‘squander’ in Chae Eun’s poem. Therefore, in each of these poems, the rhetorical strategies of melancholy have been noticed in terms of the (fragments of) allegory, the oxymoron and paradox, the irony, the repetition and rhythm, the metaphoric transference, the metonymic transference, the aphorism, the speech, the grotesque, the fantasy, the time and space, the feeling, etc. In recent poems of Korean young poets, melancholy has become both an everyday emotion and an essential impulse in Korean modern poetry of the 21st century, and has been recognized as a possibility of its ‘new’ poetics. And it is to be said that everyday discovery of melancholy and its variety of rhetorical strategies have implied processes of the emotional and poetical practices of poetry for reviving as the new poetry. They have been by no means inferior to discussions about the gaze, structure, abyss, and pose of the 21st poetics. In this sense it is consequently to be said that this paper has meant a work to explore a variety of the melancholic rhetorics and its possibility of being a poetics of the 21st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