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朝鮮)”법학사(法學史)구상을 위한 시론(試論)

        정긍식 ( Geung Sik Jung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서울대학교 法學 Vol.54 No.3

        한국법학사는 미개척의 영역이다. 본고에서는 조선법학사를 서술하기 위한 방법론을 전개하였다. 우선 조선시대에 법학이 존재한 사실을 논증하기 위해 다음을 검토하였다. 첫째, 법전편찬과 법해석의 문제를 통하여 법학의 존재가능성을 논증하였다. 둘째, 법률전문가를 확인하였는데, 여기서는 율과합격자 외에 고위 행정관료를 포함시키는 것이 적합함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법전이나 법서의 편찬은 법학의 발달을 토대로 한 것으로 양자가 서로 영향을 주면서 발전함을 입증하였다. 이어서 조선시대 법학의 전개를 입법과 해석에서 찾았다. 그리고 16세기 경국대전주해의 편찬을 둘러싼 법해석의 대립을 소개하여 법학이 존재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향후 조선법학사를 서술하기 위한 과제와 방법에 대한 단상을 밝혔다. A history of Korean jurisprudence is still an unexplored field. In this paper, I study the methodology for narrating the history of jurisprudence in the Chosun dynasty. First of all, I examine following points in order to prove the existence of jurisprudence in the Chosun dynasty. Firstly, I examine interpretation of laws and codification of legal books in the Chosun dynasty. Secondly, I examine legal experts in the Chosun dynasty. I argue that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in the Chosun dynasty should be classified as legal experts in addition to low-ranking judicial officials who passed YulKwa (律科; the state examination in the subject of laws). Lastly, I examine reciprocal development between codification of legal books and jurisprudence. Next, I analyze legi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laws in order to prove development of jurisprudence in the Chosun dynasty and introduce different legal opinions in the 16th century in the process of codifying Kyeongkukdaechunchuhae (經國大典註解; The Commentary on Kyeongkukdaechun). I examine codification of legal books and private legal books in the 18th century that shows the existence of legal experts and their domestic succession. I also suggest some tasks and ideas for narrating the history of jurisprudence in the Chosun dynasty.

      • KCI등재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과 조선초기(朝鮮初期) 법제정비(法制整備)

        정긍식 ( Geung Sik Jung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서울대학교 法學 Vol.56 No.2

        본고에서는 정도전이 편찬한 ≪조선경국전≫이 사찬이 아니라 태조와의 교감 하에진행된 관찬의 성격이 짙음을 당시와 후대의 자료 및 중국의 사서편찬 전통을 통하여 논증하였다. 정도전의 핵심저작인 ≪佛氏雜辯≫, ≪經濟文鑑≫, ≪조선경국전≫에는 새로운 국가와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그의 사상이 표현되어 있다. 그는 ≪조선경국전≫에서 조선이 지향해야 할 통치제도의 개략을 선언하였다. 그리고 현존 ≪조선경국전≫ 이 전체가 아니라 서문만 초록한 것이라는 末松保和의 견해와 달리 전체임을 논증 하였다. ≪조선경국전≫의 체재는 주례에 연원하는 六典體裁인데, 이는 元의 ≪經世大典≫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다. 周禮에 입각한 ≪조선경국전≫의 육전의 순서는 세종대의 관제개혁에 그대로 반영되어 조선시대 법전편제의 기본이 되었다. ≪조선경국전≫ <憲典>은 ≪大明律≫ 전체를 소개하고 있는데, 이는 당시 ≪大明律≫이 형사일반법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을 반영하는 것이다. This paper proves that Chosunkyeongkukcheon(朝鮮經國典) was compiled officially in communion between King Taejo and Chung Tocheon(鄭道傳) rather than privately, with the help of the historical materials and the tradition of compilation in China. Chung`s idea to establish a new country was expressed in his major works, such as BulssiJabpyeon(佛氏雜辨), Kyeongchemunkam(經濟文鑑), and Chosunkeongkukcheon. He declared the outline of the ruling system that the Chosun Dynasty should aim for. This paper also proves that Chosunkyeongkukcheon was not the abstract of the preface but the whole text, as opposed to the argument of Suematsu Yasukazu(末松保和). The system of Chosunkyeongkukcheon originated in the sextant system of Churye(周禮) and was directly influenced by Kyeongsedaecheon(經世大典) of the Won(元) Dynasty. The order of Chosunkyeongkukcheon which was based upon Churye was reflected in the reform of government organization in the ruling period of King Sejong and became the prototype of the compilation of law books in the Chosun Dynasty. The body of Taemyeongyul(大明律) was introduced in the chapter of Heoncheon in Chosunkyeongkukcheon, which shows that Taemyeongyul was being received as general criminal law in the Chosun Dynasty.

      • KCI등재

        문성공 율곡 이이의 종손권 분쟁에 대한 고찰 -(조산)고등법원 1921.5.20. 선고 대정10년민상제5호 및 1922.6.20. 선고 대정 11년민상제184호 판결을 대상으로-

        정긍식(Jung, Geung Sik) 한국법사학회 2021 法史學硏究 Vol.64 No.-

        본고에서는 이이의 봉사손 선정을 둘러싼 조선시대와 식민지기의 분쟁을 분석하였다. 1685년 이이의 후손 이계가 아들 없이 사망하자, 조정에서는 부 이후시를 위해 이연을 입후하였다. 위법인 이 결정은 제사의 지속을 위한 조처이었으며, 이이의 제자가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계의 처는 이서오를 입후하여 분쟁의 씨앗을 배태하였다. 1823년 이서오의 후손 이원배가 국왕에게 호소하였지만, 패소하였다. 그 근거는 1685년과 같았고 선례라는 점이 추가되었다. 1917년 이서오와 이연의 후손 사이에 다시 분쟁이 발생하여 다섯 차례의 재판 끝에 이연의 후손이 이이의 봉사손으로 확정되었다. (조선)고등법원에서는 청송기한을 활용하여 처리하였다. 이점에서 절차와 형식을 중시하는 근대사법의 한계를 찾을 수 있다. 2001년 종중은 족보를 편찬하면서 이계-이서오의 후손을 이이의 후손에 편입하여 종중의 통합을 달성하였다. 이 사안은 분쟁을 자체적으로 해결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 analyzed the disputes over the selection of successor of Ancestor Worship for Yi I,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colonial period in this paper. When Yi Kye, a descendant of Yi I, died without a son in 1685, the government adopted Yi Yeon for her father, Yi Hu-Si. This illegal decision was a measure for the continuation of the rituals for Yi I, and disciples of Yi I provided theoretical bases. However, Yi Kye’s wife adopted Yi Seo-Oh and embedded the seeds of conflicts. In 1823, Yi Won-bae, a descendant of Yi Seo-Oh, appealed to the king but defeated in this litigation. The bases weres the same as in 1685, and a precedent was added. In 1917, a dispute arose again between the descendants of Yi Seo-oh and Yi Yeon-Yeon, and after five trials, Yi Yeon’s descendants were confirmed as legitimate successor of Ancestor Worship for Yi I. The Supreme Court in the colonial Korea handled it using the period of litigation. In this respect, the limitations of the modern judicial system that emphasize procedure and form can be found. In 2001, when the clan compiled their genealogy, the descendants of Yi Seo-Oh were incorporated into Yi I’s descendants to achieve the integration of the clan.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hat the dispute has been resolved on its own.

      • KCI등재

        한국의 가계계승에서 여성의 지위

        鄭肯植(Jung Geung Sik) 한국법사학회 2013 法史學硏究 Vol.47 No.-

        이 논문에서는 여성호주의 지위를 조선시대에서 식민지기까지 통시적으로 검토하였다. 《經國大典》에서는 남성 중심의 가계계승을 규정하였지만 예외적ㆍ한시적으로 여성에 의한 가계계승을 인정하였다. 그리고 국가에서 관리하는 호적에서는 국역을 부담하는 男丁을 중심으로 편제하여 남성이 호주가 되는 것이 원칙이었다. 그러나 호적에서 여성호주가 나타났다. 다만 조선후기에는 유교적 가족제도가 확산됨에 따라 여성호주가 줄어들었다. 1896년의 『戶口調査規則』과 1909년의 『民籍法』은 조선후기의 상황을 반영하여 제정되었다. 특히 『民籍法』에서는 남성중심의 민적을 편제하였으며, 이는 1923년의 『朝鮮戶籍令』과 1960년 『호적법』에 그대로 이어졌다. 식민지기의 호주상속관습은 남성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지만, 예외적ㆍ한시적 존재로서 여성호주를 인정하였다. 이는 조선후기에 존재한 여성호주와 크게 다르지는 않았다. 그러나 양자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는데, 조선시대에는 법적 제약없이 혼인을 할 수 있었으나 식민지기에는 호주의 동의라는 법적 제약이 있었고 또 호[가]의 연속을 중시하여 여성호주, 특히 과부는 혼인을 함에 제약이 많았다. 그 제약은 조선시대에는 사실에 불과하였으나, 식민지기에는 법적 제도적인 것이었다.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 In this article, I have surveyed women’s position of succession in the family from the Josun Dynasty to the Colonial Korea diachronically. In Kyungkukdaejun(經國大典), it was stipulated that men succeeded as the head of family(戶主), but women could also albeit temporarily. In family registers which were managed by the state, the principle was to organize family registers focused on men, for they serviced as soldiers and were burdened with taxes, so men became a head of family. Nevertheless women as the head of family existed in books of Family Registers in the late Josun Dynasty. But as Neo-Confucian Ideology was proliferated in Josun society, the number of women as the head of family were diminished. The Regulation of Census(戶口調査規則) in 1896 and the Decree of Family Register(民籍法) in 1909 were legislated by reflecting upon the reality of family succession and the composition of the heads of family in the late Josun Dynasty. Specially in the Decree of Family Register, family registers were made based on men and this tendency continued in the period of colonial Korea. The Korean Law of Family Register in 1960 was a legacy of colonial experiences. In the colonial society women could become the head of family temporarily. This is not different from the late Josun Dynasty. But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late Josun society and the colonial society. In the late Josun society, women were free and so she, especially widows, had no restriction in marrying. But in the colonial society women were not so, and she needed permission from the heads of family of her father and her father in law. Moreover a widow could hardly remarry because she had to succeed as the head of family. The restriction was only de facto in the late Josun society, but it was strongly de jure in the colonial society. That is the most important point.

      • KCI등재후보

        1517년 安東府 決訟立案 분석

        정긍식(Jung, Geung-Sik) 한국법사학회 2007 法史學硏究 Vol.35 No.-

        본고에서는 현존하는 最古의 판결문인 1517년 安東府 決訟立案을 치밀하게 번역?분석하였다. 立案은, 우리 고유의 용어로, 개인의 청원에 따라 특정한 사실에 대해 관에서 이를 확인하여 개인에게 그 사실을 증명하여 발급해주는 공문서이다. 본 결송입안은 경국대전 예전에 규정된 형식을 준수하고 있다. 소송은 당시의 법과 관례에 따라 전개되었는데, 이는 <聽訟式>과 ≪儒胥必知≫의 <決訟立案式>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translated and analyzed a civil judgement archive of Andong District(安東府i) in 1517. It is the oldest judgement archive in Korea. Yipan(立案) is a proper term of official documents. Government offices issued them by petitioners who wanted to notarize something related their rights from government offices. At first, I translated it thoroughly words by words and verified their meaning and usages. So I argued errors in present studies. And next, by analyzing the archive, I presented civil procedures in the 16th century. There were two rules in the civil procedures, one was positive law and an other was customary laws. In this document, the former was written down as "Taecheon(大典)", the latter was written down "Sik(式)" which means rules or general laws. At that time, the positive laws in civil procedures were consisted of Kyungguktaecheon(經國大典), Taecheonsokrok(大典續錄) and Sugyo(受敎) - its meaning is royal order - etc. I exhibited the civil procedures were lawful observing prescriptions in codes and customs. And the form of Yipan accorded with Yipansik(立案式) in Kyungguktaecheon Yecheon(禮典.), Chungsongsik(聽訟式) of 16th centuty and Kyeolsongyipansik(決訟立案式) of Yuseopilchi(儒胥必知). These facts mean civil procedures were executed legally in Chosun Dynas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율령의 수용과 한국 전통사회

        정긍식(Jung Geung Sik)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58-2

        본고에서는 고려부터 조선까지 중국율령의 수용과정과 그에 따른 한국법제의 변화를 살펴본다. 고려는 당률을 기반으로 법제를 정비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중국의 다양한 법을 수용하였다. 원은 고려에 대해 법제개혁을 요구하였으나 고려는 사회의 기반이 다름을 이유로 반대하였는데, 결국 원은 근친혼의 금지는 관철하였지만 노비제도의 개혁은 실패하였다. 고려는 왕법국가로 법적 안정성이 취약하였고 그래서 사회가 혼란하였다. 14세기말 혼란한 법질서를 정비하기 위해 대명률을 수용하였으며, 조선에 그대로 이어졌다. 주례의 6분체제는 고려의 통치조직의 근간이 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통치조직뿐만 아니라 법전편찬도 이에 따랐다. 14세기말 성리학과 주자가례의 수용은 남녀평등적 가족을 가부장제적 가족으로 변모시켰다. 이는 婦處制에서 夫處制로의 혼속의 변화에서 시작하여 제사에서 여성이 배제되고 점차 남자와 장자의 재산상속권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19세기 말에는 가부장제가 사실상 성립하였으며 식민지기를 거치면서 강화되었다. 또 형사법에서는 시간이 흐를수록 대명률과는 다른 조선에 특유한 규정이 많이 등장하여 형사법의 조선화가 진행되었는데, 신분관계 등 윤리를 중국보다 강조하였다. 전통시대에 중국법 수용의 특징은 우리의 필요에 따라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수용한 점이며, 이러한 자세는 세계가 통합되어가는 21세기 현재에도 여전히 의미가 있다. In this article, I examine receptions of Chinese laws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and the changes in Korean legal systems and its historical and social meanings. The Goryeo Dynasty has regulated the legal system based on Tanglu, but accepted various laws of China as needed. The Yuan[元] Dynasty demanded legal reforms of Goryeo, but Goryeo opposed it because of differences in social background, and eventually the Yuan Dynasty failed to reform the Nobi [奴婢]-System, although the prohibition of marriage of near relation took place. The Goryeo Dynasty was a kingdom based on royal decrees and legal stability was very weak, so society was confused. In the end of the 14th century, the Taminglu was received to adjust the confused legal systems, the Taminglu was accepted as general penal code in the Joseon Dynasty. The Sextant System based on the Zhouli became the basis of Goryeo’s governing organization, and it followed not only the governing organization but also the code, in the Joseon Dynasty. The acceptance of Neo-Confucianism and Zhuxi’s Family-Rituals in the late 14th century, the gender equality family was transformed to a patriarchal family. It started from the change of mood from uxorilocal marriage to virilocal marriage and proceeded to exclude women from the Ancestor-Worship ceremony and progressively strengthened the rights of inheritance of men and the eldest son.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patriarchy was established de facto and was reinforced de jure in the colonial society under the Imperial Japan. In criminal laws, many special provisions, which were different from Taminglu, were enacted in the late Joseon Society, it means the Koreanization of the criminal laws. And its substance was to strengthen ethics, such as the status quo, than Chinese laws. The characteristic of receptions of Chinese laws in the traditional Korean Society is that it is actively and subjectively accepted according to independent needs, and this attitude is still meaningful as of the 21st century when the world is integrated.

      • KCI등재

        조선본 ≪율학해이(律學解이)≫에 대하여

        정긍식 ( Geung Sik Jung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서울대학교 法學 Vol.54 No.1

        ≪律學解이≫는 현재 中國 湖南省 張家界市 慈利縣의 丞인 蕭思敬이 편찬한 대명률에 대한 개인적인 주석서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국내에서 복사본으로만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은 1466년(세조 12)에 전라도에서 500부가 간행되었으며, 현존본도 이때의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전기에는 과거 律科의 시험과목으로 채택되었고, 또 실제 사건의 해결에도 이용되는 등 중시되었다. 본고에서는 ≪律學解이≫의 구성 등을 소개하였는데, 찬자는 대명률 420개 항목 중 250개에 대해 주석을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7편에 대한 주석의 밀도를 분석하였다. 실제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항목에 대한 주석이 많으며, 또 내용에는 관리의 입장이 반영되어 있었다. 이어서 <名例律>과 <吏律>을 대상으로 주석을 8개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주석에 활용한 자료는 ≪周禮≫와 ≪禮記≫, ≪唐律疏議≫ 등 이전의 관련 자료를 종합하여 사적으로 편찬하였다. The Luxuejieyi(律學解이) is a private commentary on the Taminglu[The Great Ming Code, 大明律] compiled by Xiao Sijing(蕭思敬) who was a lower officer in Cilixian(慈利縣) Zhangjiajieshi(張家界市) Hunansheng(湖南省) China. Today, we can use only the electronic duplication in Korea. 500 copies of this book were printed at Cholla-Province in AD 1466(King Sejo 12), and I assume that the electronic duplication which I used was one of them. This book was important because it was a textbook in the bar examinations and it was applied in solving hard case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In this article, I introduced a form and structures of the Luxuejieyi. The compiler commented 250 sections of total 420 sections in the Taminglu. And I analyzed density of Comments through 7 parts of the Taminglu. In conclusion, he focused on practical use of this book, and his position as local officer was influenced in the contents of comments. And I classified comments as 8 categories by surveying <the Laws on Punishments and General Principles(名例律)> and <the Laws on Personnel (吏律)>. Xiao Sijing integrated all former books and commentaries as like the Zhouli (周禮), the Liji(禮記) and the Tanglushuyi[The T`ang Code, 唐律疏議], and compiled the Luxuejieyi privately.

      • KCI등재

        한국 근현대 법학교과과정 변천사

        정긍식(Jung, Geung-Sik)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36 No.1

        본고에서는 120년의 법학교과과정을 통시적으로 검토하였다. 초기에는 법률가를 신속하게 양성하기 위해 법학교과 중심으로 교육이 진행되었으며, 1909년부터는 체계적으로 전공과 교양이 균형을 이룬 법학교육을 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중간관리층을 양성하기 위한 법학교육만을 허용하였지만, 보성전문학교는 이에서 탈피하였다. 또 조선총독부는 경성제국대학을 설립하여 학문으로서의 법학을 추구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근대 법학교육은 일본의 영향 아래에 있었다. 해방 후에는 대학교육의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가 교육과정에 개입하여 교육내용을 규제하였다. 그래서 법학교육에서도 교양이 중시되었고, 이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교과과정이 편성되었다. 대학의 자율화를 추진한 1995년부터는 법학교육이 확산되었지만 교과과정에는 큰 변화가 없다. 이는 법의 보편성, 법학의 역사성, 강한 외부구속성 때문이다. In this paper, I review legal curriculums of last 120 years in Korea diachronically. Beginning, curriculums were composed mainly of laws to quickly train lawyers. Legal education was systematically achieved majors and liberal arts since 1909. The General Governor of Imperial Japan was allowed but only for legal education to train middle administrative lawyer, Posung Professional School was to break them up. And the General Governor established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in 1924 and pursued jurisprudence as science but failed. Legal education was under the influence of Imperial Japan in the Modern Korea. After liberation, the Nation regulated the educational process and curriculums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 tions in order to maintain the level of education. So liberal arts were emphasized in legal education too, the curriculum was organized on the basis of colonial experiences.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was promoted since 1995, and so legal education was spreaded widely, but there are no big changes in the curriculums of jurisprudence. This is because the universality of laws, historicity of juri- sprudence and the strong external shack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