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속인주의(Jus Sanguinis) 기반으로 속지주의(jus soli) 적용·확대를 위한 대한민국 국적법 제2조(출생에 의한 국적취득) 개정 관련 쟁점 검토

        鄭錦心 ( Jeong Kum Sim ) 법조협회 2021 法曹 Vol.70 No.6

        대한민국은 보충적출생지주의를 도입하기 위해 영주자의 국내출생자녀에 대해 간이하게 국적을 부여하는 제도를 입법예고하였지만, 반중정서, 여론분열, 정치적 이슈화로 사실상 국적법 개정은 요원해졌다. 국적이란 특정국가와 개인을 연결하는 법적 유대로서 국적법은 국민의 자격과 요건을 정하는 법률이다. 보충적출생지주의 도입은 속인주의를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속인주의를 유지하면서 세계화 추세와 이민자 증가의 현실적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현시점에서 독일이 지난 2000년 국민 공감대 형성, 정치권합의 등을 거쳐 조건부 절충안을 담아 보충적출생지주의를 국적법에 포함한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그렇다면 유보된 국적법 개정을 어떻게 하면 재추진할 수 있을까? 국적법 관련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 토론회 등을 거쳐 정책, 법령 분야, 공감대 형성 분야, 입법시기 분야로 쟁점을 도출하여 3가지 분야에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법령·정책 분야는 ① 외국인정책기본계획의 틀에서 점진적 도입 ② 사회통합과 국익의 조화를 반영한 대상자 선정 ③ 아동 인권보호로 접근, 출생등록제 연계한 보충적출생지주의 도입 ④ 정부입법 이외 방식 검토이다. 공감대 형성 분야는 ① 반중정서 해소 ② 저출산·고령화 유일한 대책이라는 편견 해소 ③ 정치화 극복 ④ 언론, 공청회ㆍ토론회, 청년 인플루언서 등을 활용한 홍보이다. 입법시기 등 분야는 ① 국정상황, 정부시책, 정책환경, 국민정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기 결정 ②새정부 출법 후 재입법 추진이다. 저성장시대 도래가 예견된 미래사회를 준비하고, 외국인의 국내출생자녀와 그 부모가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하여 새로운 경제활동의 주체로서 국가발전의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출생을 기반으로 한 국적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며, 새정부출범과 함께 보충적출생지주의 도입 및 재입법화 추진은 전향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introduce supplementary birthplace principl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legislation was announced to grant nationality to domestic children of permanent residents, but the revision of the Nationality Act has virtually become a long way off due to anti-Chinese sentiment, public opinion division, and political issues. Nationality is a legal bond that connects a specific country and individuals, and the Nationality Act is a law that determines the qualifications and requirements of the people. The introduction of supplementary birth principle does not give up the Jus Sanguinism but reflects the realistic situation of globalization and the increase in immigrants while fundamentally maintaining Jus Sanguinism. Korea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Germany included supplementary birthplace principle in the Nationality Act with conditional compromise through the formation of public consensus and political consensus in 2000. If so, how can we re-promote the revision of the reserved Nationality Act? Through big data analysis and expert discussions related to the Nationality Act, issues were drawn into the legal and policy fields, consensus formation fields, and legislative period fields and reasonable alternatives were suggested in three areas. The legal and policy fields are ⅰ) gradual introduction from the framework of the basic foreign policy plan. ⅱ) selection of subjects reflecting the harmony of social integration and national interests. ⅲ) introduction of supplementary birthplace principle linked to the birth registration system. fourth government legislation. ⅳ) Consensus formation fields are ⅰ) Resolving anti-China sentiment. ⅱ) Overcoming politicization. ⅲ) Promoting using the media, public hearings and discussions, and youth influencer. Legislative period fields are ⅰ) Decide appropriate time in consideration of state affairs, government policies, policy environment, and public sentiment. ⅱ) Re-legislation should be promoted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new gover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aradigm of birth-based nationality policy so that foreign-born children and their parents can stably settle in Korea and establish themselves as growth engines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the introduction and re-legislation of the new government should be considered proactively.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난민 재정착 법제 비교 연구

        정금심(Jeong, Kum Sim) 한국비교공법학회 2020 공법학연구 Vol.21 No.2

        2020. 3. 11.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한 이후 전세계적으로 국경통제와 이동제한 등 초강경의 이민․난민정책이 나타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전략은 국가의 고립과 폐쇄가 아닌 국가간 연대(Solidarity)와 협력(Co-operation)이다. 코로나-19로 인하여 국가 중심주의적이고 고립적인 이민·난민정책의 컨센서스를 반영할 수밖에 없는 정책적 한계는 있지만, 난민에 대한 인도적 보호와 난민 문제 해결에 책임있는 역할을 해야한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난민 재정착은 국가마다 수용절차 및 정착지원에 따른 비용 발생, 정착단계에서 난민에 대한 복지 수준 및 보호의 범위, 지원의 한계 등 논란이 제기되고 있지만, 국제적 연대권을 기반으로 대량 난민 발생 문제를 즉각적으로 해결하고, 인도적 측면에서 난민 보호를 실천하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본의 경우 2010년 아시아 최초 제3국 정주 난민 수용사업을 파일럿 프로그램(Pilot Program)으로 시작하여 2015년 정규화 전환에 성공하였고, 제3국 정주 난민 수용사업의 지속 추진을 위한 중장기적 계획 수립, 전문가 등의 평가를 거쳐 난민 재정착 수용을 점진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점은 주목할만하다. 한국의 경우는 2013년 7월 시행된 「난민법」에 재정착 난민 수용의 근거와 국내 정착허가의 요건과 절차 등 구체적인 사항을 규정하였다. 2015년 제16회 외국인정책위원회에서 심의를 거쳐 2015-2017년 3년간 제1차 재정착 시범사업을 실시하였고, 2018년-2019년 2년간 제2차 재정착 시범사업을 실시하여 총 149명을 출입국․외국인지원센터의 초기적응교육을 거쳐 지역사회로 안정적으로 정착시켰지만 사실상 정규화 전환에는 성공하지 못하였다. 2018년 재정착 난민에 대한 정착실태조사결과 자립과 통합이 정착의 핵심원리이며, 자립과 통합이 유기적 관계를 맺으며 상호영향을 미치는 관계임을 확인하였고, 교육이 자립과 통합의 기반요소이자 촉진매개체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국의 정서적 특성과 다이나믹한 문화적 특성이 난민 재정착의 특수성인 연대성, 안정성, 보충성과 결합할 때 난민들의 문화 적응과 안정적 정착에 크게 기여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이 한국은 난민법상 재정착 난민 수용의 법적 기반을 토대로 한국적 특성을 반영한 프로세스를 안정적으로 구축하여 정규화를 추진한다면 한국사회에 필요한 인적 자원 확보와 동시에 국제사회에서 인권 국가로서 책임있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모범사례로 남게 될 것임을 확신한다. Sinc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on March 11. 2020 declared the Corona-19 Pandemic, the most stringent immigration and refugee policies such as border control and movement restrictions have been emerging worldwide. The strategy for preparing for the post COVID-19 is not the isolation and closure of the state but the inter-state solidarity and co-operation. Although there are policy limitations that can not help but reflect the consensus of national-centered and isolated immigration and refugee policies due to COVID-19, it can not be denied that it should play a responsible role in humanitarian protection of refugees and refugee problem solving. Resettlement is attracting attention as the most realistic alternative that, based on international solidarity, enables the immediate resolution of the problem of mass occurrence of refugees, and implements the humanitarian protection of refugees. Even then, it is noted that controversy over resettlement has arisen in various countries over such matters as refugee acceptance procedures, settlement support costs, scope of welfare levels and protection to be afforded on refugees during the settlement phase and limitation of available support. In Japan, it is noteworthy that from 2010 the project acceptance of resettlement refugees from third countries for the first time in Asia was started as a pilot program and succeeded in regularization in 2015.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mid to long term plan to continue the project acceptance of resettlement refugees from third countries, and has been gradually developing the acceptance of refugee resettlement through evaluation by experts. In Korea, the Refugee Act, which was enacted in July 2013, stipulated specific matters such as the grounds for accepting resettlement refugees and the requirements and procedures for permitting settlement in Korea. After undergoing deliberation at the 16th Foreign Policy Committee meeting in 2015, the first resettlement pilot program was implemented for three-years period from 2015 to 2017, and the second resettlement pilot program was conducted for two years from 2018 to 2019. A total of 149 people were settled in the local community through induction training support provided by immigration support centers. but in fact, the resettlement pilot program was not successful in regularizat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settlement status of resettlement refugees in 2018, it was confirmed that “self-reliance” and “integration” are the core principles of settlement, and that “self-reliance” and “integration” have an organic relationship and have an impact on each other. Also it was confirmed that education is the foundation element of “self-reliance” and “integration” and a vehicle for the promo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dynamic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contribute greatly to the cultural adaptation and stable settlement of refugees when combined with solidarity, stability, and supplementation, which are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refugee resettlement. As such, if Korea promotes regularization by establishing a process that reflects Korea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legal basis of accepting resettlement refugees under the Refugee Law, it is confident that it will secure human resources necessary for Korean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remain a best practice to play a responsible role as a human rights stat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 KCI우수등재

        난민 인권 보호를 위한 난민법 개정 방향 연구 - 난민 심사 및 난민 처우를 중심으로 -

        정금심 ( Jeong Kumsim ) 법조협회 2018 法曹 Vol.67 No.3

        한국은 2013년 7월부터 아시아 최초로 독립된 난민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으나 여전히 난민인정률이 낮고 난민심사의 전문성이 부족하며 난민 인권보호에 미흡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올해로 난민법 시행 5주년을 맞이하여 그간 제도 운영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분석하고 난민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이를 난민법 개정에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 난민법 개정의 기본 방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난민심사 절차의 개선이다. 난민협약상 강제송환금지 원칙을 엄격히 적용하고, 출입국항난민신청 제도의 안착을 위해 사전적격심사 기능으로서 회부심사제도 운영, 명백히 이유없는 신청 등 불회부 대상 기준을 법률에 상향 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민간전문심사인력 확보 등을 통해 현행 이의신청 전담기구인 난민위원회의 기능을 확대·강화한 난민심판원의 설립이 절실하다. 둘째는 난민에 대한 처우개선을 통한 최소한의 권익보장이다. 난민신청자에 대한 기본적 생계유지를 위한 생계비 지원제도의 확대 운영, 의료와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인 인도적 체류자에 대해 난민인정자에 준하는 수준으로 사회적 처우의 상향, 장애 난민 등을 포함한 난민인정자에 대한 지원확대 및 난민인정자 귀화절차 간소화 등 안정적 사회통합이 필요하다. In July 2013, South Korea’s Refugee Act was enacted and went into effect, the first of its kind in Asia. However, Korea continues to be criticized for the low rate of refugee recognition, lack of expertise in refugee status determination and lack of effective protection for the human rights of refugees. This paper suggests two major directions for the revision of the Act. The first involves the improvement of the refugee status determination procedure. To do so, it is necessary to strictly apply the principle of non-refoulement enshrined in the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undertake pre-screening assessment to firmly establish the refugee recognition application procedure at the port-of-entry; and propose more stringent provisions regarding the grounds for non-referral including manifestly unfounded applications for refugee status. Moreover,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the Refugee Appeals Board by expanding and strengthening the current function of the Refugee Committee in charge of appeal reviews by inviting individuals with relevant expert knowledge or experience to take part in the proceedings of the Board. Second, the revised edition of the Act must aim to protect the basic human rights of refugees by improving refugee support system. It is important to strive for social integration by enhancing living allowances for refugee applicants to cover their basic needs; allowing humanitarian status holders affected by the ‘blind-spot’ of medical and welfare system to enjoy the rights granted to recognized refugees; and increasing support and streamlining the naturalization procedures for recognized refugees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