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唐代 신라와 고구려인의 越境, 그리고 소설 속 그들의 형상

        鄭廣薰 한국중국소설학회 2017 中國小說論叢 Vol.52 No.-

        본 논문은 《태평광기》의 고사들을 중심으로 신라와 고구려를 비롯한 한반도인과 그 나라들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이는 한국인 자신의 기록이 아닌 중국인이 일종의 외국인으로서 한반도 사람들을 어떻게 인식했는지에 대한 고찰이다. 당대 전반에 걸쳐 중국의 동쪽으로는 주로 신라와 일본의 사신, 승려 그리고 그들을 수행하는 이들이 공식적으로 중국 땅을 오가곤 했다. 고구려인의 경우는 중국에 인접한 국가의 이주민으로서 자연스레 중국에 흘러들어오기도 하고, 패전국의 유민으로서 중국 땅에 강제로 이주되기도 했다. 이러한 사람들의 모습이 《태평광기》의 고사들 속에 다양하게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들의 형상을 신라와 고구려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신라의 경우 이 형상은 ‘중개자(매개자)로서의 신라와 신라인’, ‘신비로운 인물로서의 신라인’, ‘서화(書畵)를 즐기는 나라로서의 신라’, ‘진귀한 물건의 산지로서의 신라’, ‘부정적 이미지의 신라인’이라는 다섯 가지로 나누었다. 그리고 고구려의 경우는 먼저 ‘고구려 유민과 그들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다음으로는 신라의 고사와 동일한 설정이면서도 그들에 대한 인식에서는 차이를 보이는 작품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들 하나하나는 어떤 역사적 사실이나 사건의 명확한 근거를 제시한다는 의미보다는 당시 한국인에 대한 인식의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Silla and Koguryo of ancient Korea and their people are perceived by China through the analysis about the stories of Taiping Guangji太平廣記. This is an examination of how the Chinese perceived the Korean people as a foreigner in the past. Throughout the period of the Tang Dynasty, Silla and Japan’s diplomatic delegation, monks, and those who accompanied with them officially traveled to China. In the case of the Koguryo people, it was natural that they migrated to China as an emigrant of the neighboring country, and they were often forced to migrate to the Chinese land as a refugee in the defeated country. These figures are variously reflected in the stories of Taiping Guangji. In the case of Silla, these figures can be separated into ‘Silla as a mediator’, ‘People of Silla as a mysterious figure’, ‘Silla as a country enjoying books and pictures’ and ‘Silla as a producing place of rare objects’. In the case of Koguryo, we first examine ‘The refugee of Koguryo and the perception of them’, and then analyze the works that have the same setting of the Silla story but differ in the perception of them. Each of these analyses is intended to examine the tendency of perceptions of Koreans at the time rather than to suggest the conclusive evidences of any historical facts or events.

      • 단일시편에 의한 Jic 파괴인성치 결정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정광훈 성균관대학교 1985 성균기계 Vol.10 No.-

        A Jic test procedure using a single deeply cracked specimen is proposed. The crack extension is measured by partially unloading the specimen to determine the compliance. Jic tests were made using aluminum alloys 2024-F, 7075-T6, 5052H38.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Jic measured by this technique is in good agreement with that measured by using a multi-specimen method. It is simple and effective for J-Integral of Aluminum Alloys.

      • 디지털교과서 활용 집단의 인터넷 활용 시간 및 중독 수준

        정광훈,계보경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디지털교과서는 ``기존 내용(서책형 교과서)에 용어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 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원 및 관리 기능이 지원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 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로 상호작용을 지원하고 수준별 학습을 지원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디지털기기 활용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이에 따른 기기 중독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교과 내용을 디지털 매체로 전달하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역시 이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 또한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경험이 없는 우리나라 일반적인 청소년들의 스마트폰(기기) 중독 실태와 학교에서 디지털교과서를 1년 이상 활용하고 있는 디지털교과 서 연구학교 학생들을 스마트폰(기기) 중독위험률을 비교 분석하여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이 학생들의 기기 활용 시간과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학생들의 1일 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은 일반 청소년보다 낮았으며, 스마트기기 중독 위험군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나,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인터넷 이용 시간과 기기 중독의 위험률을 높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경변인에 따른 스마트폰(기기) 중독 분석 결과, 일반 청소년과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학생들의 분 석 결과에서 공통적으로 중학생이 초등학생보다 높은 스마트폰(기기) 중독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급에 따른 예방과 처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Linkage Sliding Mechanism을 적용한 손 재활 로봇의 설계

        정광훈,이학 한국기계기술학회 2023 한국기계기술학회지 Vol.25 No.2

        This paper presents a 1-DOF robot for hand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hemiplegic patients. The robot provides the cylindrical grasp movement, which is one of the dominant Activities of Daily Living. Linkage Sliding Mechanism allows the proposed robot to be a simple and lightweight structure. Motion test for the healthy subjects are carried out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robot. Consequen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robot was suitable for performing hand rehabilitation treatment.

      • KCI등재

        당대(唐代) 소설 속 시장과 상인-이질 세계와의 접촉과 그 매개 주체-

        정광훈 중국학연구회 2019 中國學硏究 Vol.- No.87

        As the word ‘士農工商’ proves, merchants and traders in the traditional Confucian culture were one of the most despised professions. This is because the merchant is viewed as a negative entity that does not directly participate in production activities and further confuses the proper distribution of products. However, the fact that ‘商’ is included in the ‘士 農工商’ professions itself paradoxically shows that regardless of criticism of merchants, people can not help but acknowledge their social role in traditional society.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what kind of roles traders in the stories of Tang dynasty have in terms of ‘mediator’ of the other world, unlike the general research themes on merchants. In the same vein, the ‘marketplace’ in which merchants are active can also be a space for ‘border’ to enter a different world. The merchant, the subject of mediation, and the marketplace connect the human world with the world of immortal hermit. ‘仙人’, a human being and a hermit, acts in the marketplace as merchant and lead people to the world of hermit. This is where the merchant nature of the medium works. In addition, the merchants from the West of the Tang dynasty has enabled people to contact the different world through unrealistic behavior and unreasonable trading methods. It can be said that the role of mediator, the essence of merchant and market, is extended beyond the mediator of goods or money, to the medium of different worlds. This may be a common characteristic of merchants, both East and West. In this paper, we examine how this process is expressed in the stories of Tang dynasty. ‘사농공상’이라는 말이 증명하듯이 전통 시대 유교 문화권에서 상인은 가장 천시 받는 직업군 중 하나였다. 상인이 생산 활동에 직접 참여하지 않을 뿐 아니라 나아가 생산물의 올바른 분배도 혼란스럽게 하는 부정적 존재로 비춰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을 ‘사농공상’으로 함께 묶은 점은 ‘상’에 대한 비판과는 별개로 그것의 사회적 역할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음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상인에 대한 일반적인 연구주제와 달리 당대 소설 속 상인의 역할을 이질적 세계의 ‘매개자’라는 관점에서 살펴본다. 같은 맥락에서 상인이 주로 활동하는 ‘시장’ 또한 전혀 다른 세계로 들어가는 ‘경계’의 공간이 될 수 있다. 매개의 주체인 상인과 그 공간인 시장은 서로 다른 이질의 세계인 인간계와 선계를 이어준다. 인간이자 신선인 선인(仙人)이 상인의 형상으로 시장에서 활동하며 사람들을 신선의 세계로 인도하는 것이다. 바로 여기서 상인이 가진 매개의 본성이 작동한다. 그리고 당나라의 여러 도시에서 활동한 서역의 호상들은 비현실적인 행동, 비상식적인 거래 방식 등을 통해 사람들로 하여금 이질 세계와 접촉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상인과 시장의 본질인 중개의 역할이 단순히 상품이나 금전의 매개를 넘어 서로 다른 세계의 매개로까지 확장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동양과 서양을 막론한 상인의 보편적 특성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당대의 이야기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

      • KCI등재

        협력형 온라인 지식정보서비스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

        정광훈,김유승,Jung, Kwang-Hun,Kim, You-Se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1

        21세기 지식정보사회로의 발전과 변화에 대처하여 세계 각국의 도서관들은 다양한 전자적 매체를 이용한 협력형 온라인 지식정보 서비스 개발에 큰 힘을 쏟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온라인 지식정보서비스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와 질의응답 실험을 통해 국립중앙도서관이 주도적으로 시범 운영하고 있는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서비스의 활성화 및 고도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온라인 지식정보 서비스의 정의와 유형을 살피고,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는 한편, 실질적 연구로서 KDC 대분류를 기준으로 한 30개의 즉답형 질문을 생성하여, 응답시간 및 방법을 비롯한 실제 서비스에 대한 종합적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결론으로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서비스 발전을 위한 현재적 그리고 미래적 과제를 제시한다. To deal with a new environ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he 21 Century, many libraries around the world have made great efforts to develop online knowledge-information services. In Korea, the National Library initiated an online knowledge-information services, <Ask Librarian> in 2008. Through case studies and practical tests of online knowledge-information services, this article discusses plans for developing <Ask Librarian>. The article explores definitions and types of online knowledge-information services, and analyzes online knowledge-information services in Denmark, Sweden, Finland, and Korea. Futhermore, practical reviews on the four services are conducted through 'question-answer' tests. As a result, the article discusses present and future tasks for improving <Ask Librarian>.

      • 조기 고 수상 석고 고정에 의한 소아 대퇴 간부 골절의 치료

        정광훈,심종섭,성기선,박승준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2

        목적 : 조기 고 수상 석고 고정에 있어서 적절한 적응증 및 수기와 조기 및 후기 합병증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석고 고정을 한 후 2년 이상의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31명, 32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환아의 평균 나이와 몸무게는 각각 5년 2개월과 19.1㎏ 였다. 석고 고정의 술기는 일단 환측 하지에 단하지 석고 고정을 시행한 뒤, 환아를 수상 석고 탁자 위에 올려 놓았다. 고관절과 슬관절을 약 90도로 굴곡하여 대퇴 골절부위의 길이와 정열을 정복, 유지하였으며, 골절부위에는 약간의 외반력을 주어 molding하였고, 슬와부도 역시 조심스럽게 molding을 하였다. 방사선 추적 관찰은 조기 고 수상 석고 고정을 시행한 후 대퇴골 전후면 및 측면 사진을 찍고, 이후 3일, 1주, 2주, 3주, 석고 제거 시 까지 연속적으로 찍어 추적 관찰하였다. 이 후 6개월 간격으로 최종 추시 까지 하지의 회전 변형에 관한 이학적 검사 및 대퇴골 과 다리길이 측정을 위한 방사선 촬영을 하였다. 결과 : 고 수상 석고 고정 당시 총검중첩은 평균 1.1 ㎝이었고 석고 제거 시는 평균 1.5 ㎝으로 4 ㎜의 추가적인 단축이 석고 내에서 발생하였다. 9명(28.1%)의 환아에세 석고 쐐기형 교정을 시행하였으며, 석고 쐐기형 교정을 시행한 환자군과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은 평균 나이가 각각 5년 3개월과 5년으로 양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p=0.15), 몸무게 (percentile)는 각각 65 percentile과 42 percentile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1). 최종 추시에서 심각한 기능적, 미용학적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환자선택 및 석고 고정 시 조심스럽고 주의 깊게 석고를 감아야 하며, 고정 후에는 주기적으로 방사선학적 평가를 통한 관찰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 To investgate the porper indication, technical point and complcation of the early hipspica cast. Materials and Methods : Thirty-one children with thirty-two fractures more than 2-years follow up were include. The patient's average age and weight were 5 year 2 months and 19.1 ㎏ respectively. Spica cast was applied as follow. First short leg cast was applied and then patient was placed on the spica cast table. During the cast incorporation, the hip and knee flexed sufficiently to maintain length and alignment of the fracture, and popliteal fossa was well molded and padded. The meticulous valgus molding of the fractures site was also needed. Results : Average bayonet overriding of the fracture was initially 1.1㎝, however it increased to 1.5㎝ during cast immobilization. In the 9 patients (28.1%), cast wedging correction were needs to 3 to 14 days after initial cast immobilization and the cause of correction was related to patients weight. At the final follow up, there was no serious functional or cosmetic comlications. Conclusion : For the successful treatment, the proper patients selection, meticulous cast application and careful radiographic assessment after cast application were needs.

      • KCI등재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敦煌 經卷 「大般涅槃經」 卷第三과 高麗大藏經 비교 연구

        정광훈 한국서지학회 2014 서지학연구 Vol.58 No.-

        Dunhuang Manuscripts discove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t Mao Cave of Dunhuang, the city of northwestern China, are highly important materials not only in art, religion, sociology, history, literature but also in the history of book and publication. These manuscripts, mostly made in the type of hand-copied scrolls, indicate how the Buddhist Sutra was written and produced for people to see before the age of print. In the course of the years from its discovery, Dunhuang Manuscripts were dispersed to several countries and a couple of them was introduced into Korea in the middle of 1940s. Mahaparinirvana Sutra in Yeungnam University Library was identified as a manuscript of the Sui(隋) Dynasty by Pan Chong-gui who is a prominent scholar of Dunhuang Studies and also it has a distinct philological value as a hand-copied scroll. In spite of its high value of philological study, rare research on this manuscript was conducted after the simple introduction about 30 years ago. Therefore, this paper resurfaces the academic value of this manuscript and examines the differences between those two types of the Sutra in the philological point of view by comparing with the printed Goryeo Daejanggyeong. 20세기 초 중국 돈황의 막고굴에서 발견된 돈황 사본은 예술, 종교, 사회, 역사, 문학 등의 학문분야 뿐 아니라 도서와 출판의 역사에서도 대단히 중요한 자료이다. 대부분 두루마리로 된 이 사본들은 인쇄의 시대가 시작되기 전에 어떻게 경전의 텍스트들이 기록되고 사람들이 볼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었는지 알려준다. 이 돈황 사본들은 발견 후 수년 사이에 해외와 중국 각지로 흩어졌는데, 그 중 몇 건이 1940년대 중반에 한국에도 흘러들어왔다. 영남대도서관 소장 돈황 사본 「大般涅槃經」 卷第三은 세계적인 돈황학자 판충구이(潘重規) 선생이 隋나라 때에 제작된 것으로 감정하였으며, 잔편이 아닌 온전한 하나의 두루마리로서 상당한 문헌학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돈황 사본은 약 30여 년 전에 해제와 함께 학계에 소개된 이후로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 영남대 소장 돈황 사본의 연구가치를 재조명하고, 고려대장경 인경본과의 비교를 통해 서로 다른 형식의 두 불경이 어떤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지 문헌학적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 KCI등재

        우리나라 대통령기록물의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정광훈,남영준 한국문헌정보학회 201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7 No.1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inciples and outcome of the development for a classification scheme of presidential records to manage efficiently and provide them as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productively. First, this scheme accommodates a management aspect, taking consideration into the aspect of archival records as the results of government administrative duties. Additionally, governance aspects are embraced into this scheme since presidential records can be seen as the results of governing purpose. We are considering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 public records too. As a result, this scheme adopts both management and governance aspect. Focusing on reflecting both functional and governance aspects, first analyzes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s in domestic and abroad. Finally, this study proposes 24 first-level, 114 second-level, and 179 third-level classification categories. Archivists and classification experts examined the classification scheme for verification by advisory meetings.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통령기록물의 효율적 관리와 대국민 기록정보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분류체계를 개발한 원리와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행정수반으로써 대통령이 정부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업무결과물인 대통령기록물의 성격을 고려하였다. 또한 국가최고통치자로써 대통령이 정부를 통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통치자료로써 대통령기록물의 성격도 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공기록물이 갖는 기능적 측면도 고려하였다. 한편 행정안전부 공공정보분류체계를 비롯하여 국내외 주요 분류체계에서 시사하는 철학과 원리도 준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대분류 항목 24개, 중분류 항목 114개, 소분류 항목 179개의 대통령기록물 분류체계를 최종적으로 제안하였다. 제안된 분류체계항은 기록관리전문가와 분류전문가의 자문과 검증을 통해 분류체계로써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