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색동직물의 배색 선호도에 따른 이미지 연구

        정경임,박혜원,조오순 창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2 생활과학연구 Vol.-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confirming about image research by color scheme of saekdong textile fabrics used modern Korean traditional costume. Method of this study is taste analysis by ten person who is specialized in clothing at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ten person of the general about seven samples of saekdong that is selling Korea in domestic.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mage of saekdong arrangement of color are dim, noble (stimulus1,4), unpretending-ness(stimulus5,6), calm, sharp(stimulus7), and activity, splendor(stimulus2,3). 2. Stimulus 1 liked everything is most for taste of saekdong arrangement of color. If apply saekdong in design development according to consumers' changed mark and demand, is expected that can do popularization.

      • SCIESCOPUSKCI등재
      • 생활한복의 상의 원형에 관한 소고

        정경임,김여숙,조오순 창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2 생활과학연구 Vol.- No.6

        To exhibit the basic patterns of upper garments of ideal Seng-Whal-Hanbok (Korean everyday dresses), with the investigations of their characteristics, the needful measurements and calculated values between Hanbok (Korean traditional dresses) and Seng-Whal-Hanbok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following the presentation of their drafting method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eng-Whal-Hanboks, their collar shapes, length of upper garment, and curved line of trimming parts were commented. Second, as the results from the needful measurements, both Jugori(upper garment of Hanbok) and upper garment of Seng-Whal-Hanbok were in need of the measurements of their chest circumference, back length and Wha-Jang (length up to the wrist born from cervical vertebral). As results from calculated values, Seng-Whal-Hanboks have more than enough space in the width of gill (waist), longer in their lengths and lower armpit point of Jin-Dong(armhole) consequently leading to the sufficient and comfortable feeling Third, it was considered that the basic patterns of ideal Seng-Whal- Hanboks have differences in the space added to B/4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upper garments, changes in the circumference of Jin-Dong and the front drooping (2.5-3cm) shorter than that of the short upper garments (4.0-5.0 cm) in their slopings. This is that the front drooping is largely necessary when their lengths of upper garments are short, while the small front droopings are given when their lengths become long. Instead of possible darts in the basic patterns of dresses in Western style, a sufficient front drooping (sloping) was given to the patterns with the treatment of the trimmings with curved lines. We also drafted our special front width able to arrange their front openings, leaving sufficient spaces for Seng-Whal-Hanbok instead of outer collar with enough space for the basic patterns of Jugori in Hanbok..

      • 단백질-다당질 복합겔의 용해도 및 전기영동 특성에 미치는 몇가지 첨가제의 영향

        정경임,이동선,하정옥 경남대학교 신소재연구소 1996 論文集 Vol.6 No.-

        본 연구에서는 닭고기에서 조제한 근원섬유 단백질(MP)과 MP와 유청 단백질 분리물(WPI)의 혼합물, MP와 대두 단백질 분리물(SPI)의 혼합물 등의 3가지 종류의 단백질과 다당질로서 methyl cellulose, sodium alginate, xanthan gum을 택하여 단백질-다당질의 복합겔을 만들고 NaCl, NaSCN, propylene glycol, 2-mercaptoethanol들의 처리에 의해 단백질-다당질간의 상호작용에 기인하는 겔의 용해도 및 전기영동에 의한 겔 용해에 따른 상징액의 변화 등을 조사함으로써 단백질 식품의 기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 보았다. 겔 용해도는 대체로 모든 다당질에 대해 낮은 용해도를 나타냈으나 세 가지 단백질 시료에 대해 2-mercaptoethanol 처리시 가장 많은 단백질이 용해되어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2-mercaptoethanol은 단백질간 상호작용, 즉 겔 망상구조를 이루는 sdisulfide 결합을 크게 방해함으로써 가장 높은 용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모든 시료에 대해 NaCl과 NaSCN 용액에 대해서는 아주 낮은 용해도를 보였는데, 이것은 NaCl과 NaSCN은 저 농도일 경우, 단백질 구조를 안정화함으로써 단백질간의 상호작용이 크게 증가되어 용해되는 단백질의 양이 극히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Xanthan gum은 가장 겔 용해도가 낮았고, 특히 MP와 xanthan gum으로 이루어진 겔에서는 아주 극소량의 단백질이 용해되었다. Methyl cellulose 겔의 경우, 모든 용액에서 단백질이 거의 용해되어 나오지 않았다. 그러나, 1% WPI를 혼합한 경우 역시 겔 용해도가 낮았으며 여전히 MP의 단백질 성분은 용해되어 나오지 않았고 WPI의 주요성분인 α-lactalbumin과 β-latcoblobulin이 많이 용해되어 나왔다. 1% SPI을 혼합한 겔은 셀 용해도도 여전히 낮았으며 전기영동 결과에서도 SPI 성분의 단백질 band가 아주 미약하게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WPI는 다소 불안정한 겔을 형성하여 용해도를 증가 시키고 반대로 SPI는 겔을 안정화하여 단백질 용해도를 감소시켰으리라 짐작된다. Sodium alginate 겔의 경우, 단백질 용해도는 아주 낮았으나 3 가지 단백질 시료 모두 용해되어 나왔다. 이것으로 sodium alginate는 단백질과 다소 불안정한 겔을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X무소무 gum 겔에서도 역시 MP와 MP+SPI 혼합겔은 아주 낮은 겔 용해도를 뒷받침하듯 단백질 band를 거의 확인할 수 없었으나 WPI를 혼합한 겔만이 WPI의 주요성분인 α-lactalbumin과 β-latcoblobulin 성분이 용해되어 나왔다. 즉, methyl cellulose와 xsanthan gum 겔의 경우, 근원섬유 단백질은 거의 용해되어 나오지 않았고 유청 단백질 분리물의 성분이 많이 용해되어 나왔으며 대두 단백질 분리물은 단백질과의 결합력이 커 용해된 단백질 성분이 아주 미약했다. Sodium alginate 겔의 경우 모든 단백질 성분이 용해되어 나온 것으로 보아 sodium alginate는 단백질과 결합하여 불안정한 겔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teractions between polysaccharides and proteins occur widely in biological system. Their interaction in food system often plays a role in determining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these systems. The effects of various reagents such as NaCl. NaSCN. propylene glycol and 2-mercaptoethanol on the gel solubility of heat-induced gels of protein and polysaccharide were studied. Protein samples were myofibrillar proteins(MP) extracted from chicken breast muscle and the combinations of MP plus whey protein isolate(WP1) and MP plus soybean protein isolate(SP1). As polysaccharides in preparation of gels, methyl cellulose, sodium alginate and xanthan gum were used. Protein- polysaccharide composite gels were formed by heating at 80 C for 30 min. In the effects of reagents on gel solubility, 2-mercaptoethanol had higher solubility than other reagents. indicating that 2-mercaptoethanol cleaved disulfide bonds in the protein-polysaccharide composite gels. In order to indicate the composition of protein solubilized from gels by the treatment of various reagents such as 0.1 M NaC1. 0.1 M NaSCN. 20% propylene glycol, 0.04 M 2-mercaptoethanol, the solubilized proteins were analyzed by SDS-PAGE. In methyl cellulose and xanthan gum gels. less protein was solubilized by reagents, but MP gels with WPI was solubilized more abundantly than SP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